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6.8℃
  • 박무대전 5.6℃
  • 박무대구 6.5℃
  • 구름많음울산 10.3℃
  • 박무광주 8.8℃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5.3℃
  • 구름많음제주 15.4℃
  • 맑음강화 4.4℃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3.6℃
  • 맑음강진군 7.2℃
  • 구름조금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과 함께 하는 우리말 생각    
머릿돌과 정초





정초가 머릿돌로 바뀌는데 꼬박 37년 걸렸군요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정초4[定礎]
[명사] 1 사물의 기초를 잡아 정함.2 기초 또는 주춧돌을 설치하는 일.

머릿돌/주춧돌 로 쓰면 좋은데도 60년대는 왜'정초'라고만 썼을까요?

1)유식해 보인다
2)남들이 다 그렇게 쓴다
3)아무 생각이 없다
4)건설업자 탓이다

답이 있나요?  
<5지 선다형> 입니다.
5) 말글의 중요성을 모르고 관습에 젖은데다가 한자로 쓰면 유식해보이니까

긴 것이  답이라 (5)번입니다.

우리는 살고 있다하지만 때때로 '아무 생각없이' 살고 있으므로
곧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일 때가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생각하며'사시는 것 맞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