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개성상인 복식부기 장부’ 문화재 등록

근대 시기에 기록된 현대 방식의 복식부기 회계장부

[그린경제/얼레빗 = 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근대 시기 회계장부인 개성 복식부기 장부를 등록문화재 제587호로 등록하였다. 

개성 복식부기 장부는 근대기 개성지역에서 활동했던 박재도(朴在燾) 상인 집안의 회계장부 14책과 다수의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회계장부는 1887년에서 1912년까지 25년 동안의 대략 30만 건의 거래 내역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회계 자료는 복식부기로 작성되어 있어 현대식 회계 방식과도 정확히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 개성 복식부기 장부(14책)

   
▲ 어음, 증서, 서간 등

특히 입출금과 잉여금의 분담 등에 있어서 회계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성실성과 진정성이 담겨 있어 근대 회계방식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고, 일기장(분개장), 장책(원장), 주회계(결산서) 등 회계장부가 서양부기 못지않게 합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투자자와 경영인과의 이익배분계약 관계까지 확인시켜 주는 근대 시기에 기록된 현대 방식의 복식부기 실무회계기록이라는 회계사적 의의를 갖추고 있다. 

이 회계장부 14책과 문서는 개성상인들이 이미 19세기에 현대식 복식부기를 사용했음을 확실하게 입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근대 회계방식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근대문화재적 가치가 뛰어나 문화재로 등록하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근대 시기 주요 분야에 대한 심층적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문화재를 발굴하고 등록·보존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