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방에 무덤을 쓴다?” 제목 자체만 보면 엽기적(?)인 느낌을 준다. 이건 대체 무슨 말인가? 방에다 무덤을 쓰는 것을 일본말로는 자택묘(自宅墓), 가묘(家墓), 택묘(宅墓)라고 한다. 물론 일본도 한국처럼 대부분은 무덤이 있어 거기에 조상을 모신다. 일본의 장례는 일왕(日王)가를 제외하고는 거의 화장(火葬) 문화이기에 한국처럼 매장(埋葬) 문화는 없다. 따라서 무덤을 오하카(お墓)라고 하여 유골단지를 땅에 묻는 형식이다. 어쨌거나 이러한 유골단지를 묻는 형식일지라도 무덤은 존재한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무덤을 찾아가기도 여의치 않은데다가 자손들의 나이가 많다 보니 오하카마이리(墓参り, 성묘)도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을 위해 시가현(滋賀県)에서 유골단지를 140년째 만들고 있는 우라베석재공업(浦部石材工業)에서는 집안에 모실 수 있는 유골함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이 유골함은 올해 4대째인 사장 우라베 히로키(浦部弘紀, 49살)씨가 5년 전에 처음 고안해낸 야심작(?)이다. 쉽게 생각하면 유골함을 방에 모시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우라베 사장이 이런 고안을 하게 된 것은 “5년 전쯤부터 조상대대로 사용하던 무덤 관리가 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봄이다. 이 산 저 산에 봄꽃이 활짝 피는 봄이 왔다. 제주의 매화를 시작으로 구례의 산수유꽃에 이어 수도권인 양평 산수유마을에도 산수유꽃이 손짓하는 계절이다. 생존 여성독립운동가이신 오희옥 지사께서 뇌경색으로 쓰러지신 뒤 어느 새 만 3년의 시간이 다가온다. 1926년 생인 오희옥 지사는 올해 만 95살로, 3년전 쓰러져 병원 신세를 지기 전인 92살까지는 '독립운동의 산 증인'으로 활약하셨던 분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장기간 입원 중인데다가 코로나19로 면회 조차 자유롭지 못하다. 이번 면회는 지난 설날 전에 뵌지 한달 만이다. 코에 튜브를 꽂아 영양을 섭취하고 계시는 통에 뵈러 갈때마다 오희옥 지사님을 기쁘게 할 선물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 무엇이든 잘 잡숫는다면 병원 식사에서 드실 수 없는 것을 손수 만들어 대접해드리고 싶지만 그것도 어려운 일이라서 더욱 그러하다. 망설이다 화사한 꽃다발을 하나 마련해 가지고 갔다. 유달리 꽃을 좋아하시는데 예전에 집에 계실때 군자란 등 소소한 화분을 가꾸며 즐거워 하시던 생각이 났기 때문이다. 현재 병문안은 병원 로비의 지정된 공간 외는 허락이 나질 않는다. 약속시간에 맞춰 간병인이 미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부동산ㆍ주택 사이트 「SUUMO 살고 싶은 도시 순위 2021 관동판 (SUUMO 住みたい街ランキング2021関東版) 발표회가 그제 8일(월) 있었는데 요코하마가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관동권이라고 하면 도쿄도, 카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이바라키현을 말하며 이곳에 거주하는 20살부터 49살의 남녀를 대상으로, 오리콘뉴스(ORICON NewS)에서 살고 싶은 도시를 조사했다. 해마다 실시하는 이 조사에서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이 한해 내내 이어졌지만, 상위권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1위부터 7위까지는 지난해와 똑같았다. 1위를 차지한 요코하마는 교통 편리성, 상업시설의 확충, 영화관과 미술관 등의 문화적 내실화와 이미지 개선 등의 이유로 인기를 얻어 20대부터 40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표 기사에 관한 댓글은 부정적인 의견도 꽤 보인다. 두어 개 보자. “요코하마에 산 지 30년. 요코하마는 살기 힘들다. 우선 일본 최악의 도로행정, 항상 도로는 막힌다. 도시 자체가 언덕투성이로 평지가 없다. 게다가 세무서 발표에 따르면 요코하마는 세금낭비 행정이 많다고 한다. 요코하마가 살기 좋다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경기도 이천의 옛 절터 답사는 관고동에 있는 석조여래입상부터 찾아 보기로 했다. 이천의 옛 절터 답사 역시 당일치기로 6~7곳을 둘러보아야 하는 일정이라 아침 6시가 되기 전에 일산 집을 출발했다. 일요일이지만 다음날이 삼일절 공휴일이라서 고속도로는 한산했다. 관고동 석조여래입상까지는 1시간 반이 채 걸리지 않았다. 답사 치고는 이른 시각이지만 서둘렀다. 석조여래입상이 있는 자리는 예전에 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소방서를 비롯한 사무실, 주유소 등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어 돌부처님을 일부러 찾아 나서지 않고는 지나치기 십상인 자리에 있었다. 다행히 석조여래입상 뒤쪽은 야트막한 야산으로 이마저도 없었다면 돌부처님은 아마 숨이 콱 막혔을 법했다. “비교적 규모가 큰 불상이며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게 표현되었다. 귀는 어깨까지 흘러내리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이며 왼손을 아래로 향하고 오른손은 손바닥이 밖으로 향한 채 손목을 구부리고 아랫배에 붙이고 있다. 몸에 비해 손을 크게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불상의 높이는 4미터. 폭은 1.1미터이다. 고려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사지총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만일 해외여행 중, 머무는 호텔 로비에 작은 인형들이 산더미처럼 장식되어 있다면 손님들의 반응은 어떠할까? 인형을 호텔 로비에? 혹시 어린이 호텔 아니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런 호텔이 일본에 있다. 그것도 어린이 호텔이 아닌 일반 성인을 위한 호텔이다. 호텔 로비에 층층이 계단을 쌓고 붉은 천을 깐 뒤 그 위에 인형을 장식해 놓은 곳은 니가타현 태내시 나쓰이(新潟県 胎内市 夏井)에 있는 로얄태내 파크호텔이다. 이곳에는 약 200구의 히나인형(ひな人形)이 장식되어 있는데, 365일 장식하는 게 아니라 해마다 3월 3일, 여자어린이를 위한 히나마츠리 축제날에 맞춰 장식하는 게 특징이다. 타이나이시(胎内市) 관광협회에서는 해마다 호텔이나 온천 로비에 히나인형을 장식해 두어 이 지방을 찾는 손님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히나마츠리(ひな祭り)란 3월 3일, 딸이 있는 집안에서 해마다 딸의 건강과 무사 성장을 비는 일본 전통 행사로 내일(3월 3일)이 히나마츠리날이다. 일본에서는 딸아이가 태어나면 할머니들이 ‘건강하고 예쁘게 크라’라는 뜻에서 히나인형을 선물하는 것이 보통이다. 히나마츠리는 혹시 모를 미래에 딸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인정(1859~1934)ㆍ송재만(1891~1951)ㆍ한운석(1884~1950) 선생을 2021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고 밝혔다. 세 명의 선생들은 대호지면ㆍ정미면(현 당진시)에서 일제에 맞서 민ㆍ관이 하나 되어 주도면밀하게 준비하고 다양한 계층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4ㆍ4 독립만세운동의 주역들이다. 선생들은 고종의 국장과 3․1독립만세운동을 목격하고 내려온 대호지면 유생들과 협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일을 주도적으로 수행했다. 먼저, 이인정 선생은 대호지면 면장으로 만세운동 준비를 전반적으로 지휘했으며, 송재만 선생은 만세운동을 위해 작성한 도로 수선 공문을 면내 8개 마을 이장 집을 직접 방문해 전했고 마을 주민들에게 만세 내용을 안내했다. 도호의숙에서 학생을 가르치던 한운석 선생은 만세 계획과 애국가 작사를 요청받은 뒤 그 자리에서 애국가를 작사하고 참여계획을 논의했다. 4월 4일 대호지면 면사무소 앞에 집합한 면민 400~500명에게 이인정 선생은 “도로 수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조선독립운동을 위해 모이게 한 것이다.”라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여성독립운동가라는 명명 속에 얼마나 다양한 고민과 경험, 인생 역정이 담겨 있는지 전하고 싶었다. 또한 서술 방식에서는 일반적인 역사 서술과 달리 1인칭과 3인칭, 인터뷰, 다큐멘터리, 편지 등등 여러 형식을 활용해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독립운동사라는 익숙한 틀을 벗어나 그들을 한 명의 인간으로 오롯이 느끼게 하고픈 마음이었다.”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한겨레출판사)를 쓴 작가 김이경 씨는 이렇게 머리말을 썼다. 이 책은 ‘세상을 뒤흔든 여성독립운동가 14인의 초상’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며칠 전 필자는 이 책을 학고재 출판사로부터 선물 받았다. 이 책은 여성주의 미술의 대가인 윤석남 화백과 김이경 작가가 3·1절과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권기옥, 김마리아, 김명시, 남자현, 정칠성, 이화림, 박자혜, 김옥련 등 여성독립운동가 14명의 삶을 글과 그림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의 첫 장에서 43년의 화업(畫業)을 이어오고 있는 윤석남 화백은 10년 전부터 서양화에서 한국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했다. 윤 화백은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을 만났을 때 놀랐다고 하면서 조선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3‧1절 제102돌을 맞아 1920년 독립전쟁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의 아들로 함경남도 정평에서 일본군 토벌대와 전투 중 순국한 홍양순 선생 등 275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36명(애국장 28, 애족장 108), 건국포장 24명, 대통령표창 115명으로, 포상자 가운데 생존 애국지사는 없으며, 여성은 33명이다. 건국훈장ㆍ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102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수여된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분은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건국훈장 11,400명, 건국포장 1,392명, 대통령표창 3,893명 등 모두 16,685명(여성 526명)에 이른다. 국가보훈처는 앞으로도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독립운동 사료수집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고, 나라 안팎 소장 자료를 지속해서 수집함으로써 독립유공자 발굴ㆍ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다양한 유형의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하는 데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3‧1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회(회장 김원웅)는 창립 제56돌을 계기로 시상하는 제1회 ‘민족정기 상’에 3·1운동 기념사업을 비롯하여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사적지 확대와 복원, 독립운동사 연구지원, 나라사랑채 건립운영으로 독립유공자 예우 지원 강화에 힘쓰고 있는 문석진 서울 서대문구청장을 뽑고, 26일 시상식을 했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문 구청장은 2010년 7월부터 현재까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청장으로 재직하면서 3.1운동 기념사업, 서대문독립민주축제 등을 통해 숭고한 독립정신을 되새기고 기리는 데 힘써 왔으며, 나라사랑채,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사적지 확대와 복원 및 독립운동사 연구지원 등 독립유공자 예우와 지원을 강화하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애국심을 드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라고 뽑은 까닭을 밝혔다. 이날 문석진 구청장은 수상소감을 통해 “항일독립운동과 민주주의운동의 성지인 서대문형무소가 있는 서대문구 지방정부의 장으로서 미약하나마 할 수 있는 일을 했을 뿐인데, 이렇게 상을 주셔서 감사하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자유롭고 평화로운 대한민국에서 살 수 있는 것은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수많은 선열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그분들의 역사를 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회(회장 김원웅)와 조달청(청장 김정우)은 26일 서울 광복회관에서 일본인 명의 재산의 국유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두 기관의 전문성을 활용한 유기적 협력기반을 마련해 친일재산과 귀속ㆍ은닉재산 조사과정에서 발견되는 일본인 명의 재산의 국유화 추진을 위해 공동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광복회는 협약을 통해 친일재산 추적과정에서 귀속ㆍ은닉재산으로 의심되는 토지의 증거자료를 수집해 조달청에 제공하기로 했다. 조달청은 그동안 축적된 자료와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일본인 명의 귀속ㆍ은닉재산의 국유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두 기관은 관계부처 간 공동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조사자료 확보 근거 마련을 위한 법령과 제도 정비를 함께 진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조달청과 광복회는 상대기관이 필요로 하는 정보공유, 교육제공, 인적교류 등 일본인 명의 재산의 국유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그동안 조달청은 일본인 명의 재산으로 의심되는 모두 4만 3천여 필지를 모두 조사하여 지금까지 여의도 면적 1.5배에 해당하는 5,477필지(429만㎡, 공시지가 기준 1,293억 원)에 대해 국유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