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단풍(돌연변이종)이 잎을 내고 있다. 본래 모든 식물은 봄에 푸른 잎을 내고 가을이면 빨갛고 노랗게 변하는 법인데.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사.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본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 문화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함초롬히 핀 어여쁜 금강초롱(사진작가 이소정) 아름다운 금강초롱은 화방초(花房草)라 불렸는데 이는 초대 일본공사 하나부사 요시타다(花房義質,1842-1917)이름을 딴 것이다. 그래서 지금 이꽃의학명은 (hanabusaya asiatica)이다. 어째서 이 아름다운 꽃에 하나부사의 이름이 붙었을까? 금강초롱에 하나부사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타케노신(中井猛之進1882-1953)이다. 그는 동경제국대학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조선에 건너와 조선식물연구라는 명목으로 방방곡곡의 식물을 조사하게 되는데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의 조선연구가 모두 그러하듯 식물연구 역시 조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 실적을 올리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금강초롱 같은 조선의 꽃이름에 일본인들의이름을 붙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1907년 제주에서 발견한 어니스트 H 윌슨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 특산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의종소명 이름에 코레아나라고 이름을 붙였다. 금강초롱처럼 일본인들이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풀꽃에 자신들의 이름을 붙인 것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많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 부처님 오신날이 다가오는 가운데 상현달이 멀리 떠있습니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사.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본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 문화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 최우성 기자] . ▲ 5층목탑이 특이한 합천 황매산 법연사. 쾌청한 날씨애 산뜻한 경내. ** 최우성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본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 문화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부처님 오신날을 앞두고 오색 연등으로 가득한 봉은사 미륵불전 앞에서 연등을 다는 모습.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 최우성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본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 문화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부처님 오신날을 앞두고 조계사 안에 있는 천진불이 오색등으로 둘러싸여있는 모습. 천진불이란 어린이의 형상을 한 부처님을 뜻함.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를 외치며 태어났다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아기시절 모습..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 이른 새벽부터 제빛을 뽐내는 황매산 철쭉,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 삼천포와 남해도를 잇는 창선대교아름다운 유채꽃밭과 잘 어울립니다. [그린경제=최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