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보살이 해질녘 손말틀(휴대폰)로 풍경을 찍고 있는 모습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절의 중요 전각들의 추녀나 사래끝에 매달린 풍경(바람에 울리는 종) 바람이 불면 은은한 소리로 덩그렁 거리면서 운치를 더해준다. 풍경은 종처럼 생겼으나 종의 안쪽에 '+'자형의추가 있고 그 아래는 붕어모양의 장식물이 붙어있다. 그래서 산들바람이 불어와도 붕어가 흔들리고 그 흔들임에 '+'자형의추가 종을 치게 되는 것이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세계로 수출하는 한국의 상품들이 모여서 나가는 곳! 컨테이너도 크레인도 바삐 움직이길 빌어봅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최우성 기자] 거제도 남부면 도장포마을 해금강 유람선을 타는 선착장이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해져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바람의 언덕이란 언덕위에 풍차가 있고 풍광도 아름답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붙여진 이름이다. 주변에는 해풍을 맞으며 견디어온 동백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이때쯤이면 빨간 동백꽃을 피운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오랫만에 눈꽃밭이 된 불국사! 부처님 나라가 눈꽃이 핀다면 이런 모습일까요?? 딱딱한 돌을 너무도 자연스럽게 쌓은 석축도 일품입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2월 이면 사자바위와 섬사이로 태양이 떠올라 많은 이들이 찾는 거제도 사자바위. 바다안개에가려 해돋이 보지 못하고 갈매기만 보고 옵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남양주시 불암사의 설경이다. 오랫만에 내린 눈으로 포근한 설경을 볼 수 있었다. 처마끝에 수정고드름도 오랫만에 보는 정경이고 돌동자의 해맑은 모습도천진스럽다.깊은 산 속은 아니지만 눈내린 고요한 절을둘러보자니 마치 깊은 산 속에 들어 와 있는 느낌이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화성시 서산면궁평항의 해넘이장면! 먼 섬과 멋진 정자가 있어 아름다운해넘이를 볼 수 있는 곳이라 황홀한 해넘이 순간을 보려는 많은 사람들이 몰렸으나 그 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해는 구름속으로 숨어버렸다. 잔교를 걷는 연인의 모습속에 궁평항 해넘아의 아쉬움을 달래본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첩첩산중 삼각산 눈속의 도선사 원경, 일주문을 돌아서 저 멀리 도선사의 경내가 보인다. 고립 무원의 도선사 경내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신라말기 풍수지리설의 대가인 도선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도선사. 신라경문왕 2년(862) 창건되었으며 1000년이 지난 말법시대에 다시금 크게 융성할 것이라는 도선국사의 예언이 맞았는지 근래 청담스님이 중창한 이후 서울의 가장 큰 명찰중의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수천개의 큰 항아리속에 우리의 맛이익어가는 곳 안성 서일농장의 바다같이 넓은 뜰에 가득한항아리들! 한국인의 장류문화는 저 큰 항아리속에서 숙성되어야 제맛을 냅니다. 슬로우 푸드의 대표적인 한국음식은 저런 숨쉬는 항아리를 만들 수 있었기에 가능했던 음식문화였고, 이제 세삼스럼게 세계적인 관심과 함께 새롭게 각광 받고 있습니다. 그 동안 못생겼다고 구박받던 항아리들이 이제야 제대로 대접도 받고있고, 앞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갈 날을 기대해 봅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추운 겨울의 막바지에서 새봄을 기다리는 궁궐의 나무들. 앙상한 가지에도 물이 오르고 푸른 잎들이 피어나고 꽃도 피어나겠지요? 겨울이라는 말을 풀이하면 겨우겨우 목숨만 부지하면서 견디는 계절이라고 하니 죽지않고 살아만 있으면 곧 따스한 봄이 오고 또 여름이 온다는 뜻입니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