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슴벅이다/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슴벅이다 [뜻]눈꺼풀이 움직이며 눈이 감겼다 떠졌다 하다.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보기월]여느 때는 눈을 슴벅이고 나면 밝게 보였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어제는 경남갈배움한마당(경남교육박람회)겪음자리(체험부스)를 까는 날이었습니다.앞낮에 챙길 게 몇 가지 있어 나름대로 바빴는데 다 챙기지 못하고 낮밥 먹을 때가 다 되어 있었습니다.미처 못 챙긴 것들을 챙겨 주는 살림빛이 있어 빠뜨린 것 없이 챙길 수 있었습니다. 바람은 차가웠지만 햇살이 포근한 뒤낮,그동안 도움을 준 분들과 함께 짐을 싣고 길을 나섰는데 참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가서 보니 챙기지 못한 게 한 두 가지가 아니었습니다.해 본 적이 없으니 그럴 수 있다고 좋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좀 더 꼼꼼하게 챙기지 못한 제 탓이었습니다.그래도 같이 간 분들이 힘과 슬기를 모아 일을 잘 마무리할 수 있어 참 고마웠습니다. 남들이 저녁을 먹고 치울 무렵 창원에서 나섰는데 진주에 와서 저녁을 못 먹고 헤어진 분들이 있어서 마음이 아팠습니다.제가 일부러 그렇게 하려고 한 것은 아닌데 일은 일대로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제철 토박이말]7 /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올해도 이제 보름 남짓 남았습니다.날씨는 갈수록 겨울다운 날씨가 되고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겨울철에 알아두고 쓰면 좋을 제철 토박이말 몇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겨울이 되면 많이 하기도 하고 듣기도 하는 말 가운데 하나가‘감기’입니다. ‘감기’를 뜻하는 토박이말이 있지요.제가 어릴 때만 해도 어른들께서‘고뿔’이라는 말을 많이 쓰셨답니다.그리고 요즘 많이 듣는 말‘독감’을 뜻하는 토박이말도 있답니다. ‘독감’이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전염성 있는)감기인데 이런 감기를‘돌림감기’, ‘돌림고뿔’이라고 합니다. 겨울 날씨는 추운 게 겨울다운 날씨입니다.그래서 날씨가 차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차가운 것도 그냥 차가운 게 아니라 아주 맵고 차가울 때는‘맵차다’라고 합니다.날씨가 추운 날 바람까지 세게 불면 더 춥습니다.그렇게 매섭게 부는 바람을‘된바람’이라고 합니다. 겨울이 깊어져 더 추워지면 얼음이 꽁꽁 어는 곳도 있습니다.매우 단단하게 꽁꽁 언 얼음을‘매얼음’이라고 하지요.이런 말을 알고 있으면 쓸 일이 많은 철이 아닌가요?저는 우리 아이들이 이런 말을 잘 알고 쓰고 싶을 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엉기정기/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엉기정기 [뜻]몬(물건)을 여기저기 벌여 놓은 모양을 나타내는 말 [보기월]제 책상 위에는 여러 가지 종이가 엉기정기 놓여 있어서 어지럽습니다. 날씨가 추워진다는 알림을 듣고 따뜻한 옷을 입고 나왔습니다.하지만 아침에는 그렇게 춥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아이들도 따뜻한 바람을 틀어 달라고 하지 않더라구요.옷이 두꺼워 거추장스러울지도 몰라 조금 가벼운 옷을 가져 갔는데 낮에는 그 옷을 입었습니다.참 잘했다 싶었습니다. 할 일이 있어서 남아 일을 했습니다.해야 할 일들과 챙겨야 할 것들을 갈무리한 다음 하나씩 챙겼습니다.토박이말 찾기 놀이 종이를 만들고 토박이말 짝찾기 놀이 딱지 밑감을 만들었습니다.이제 알맹이를 채운 여러 가지 모음에는 이름을 붙여야 하고 놀이 딱지를 만드는 게 남았습니다. 요즘 제 책상 위에는 여러 가지 종이가 엉기정기 놓여 있어서 어지럽습니다.여기저기 적어 놓은 것들도 있고 여러 가지 일을 챙기다 보니 봐야 할 게 많기 때문입니다.그렇지 않아도 갈무리가 잘 안 되어서 깔끔할 때가 많지 않은 것이 참일입니다.경남 갈배움 한마당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스러지다/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스러지다 [뜻] 4)살이(생물)들이 죽거나 시들다 [보기월]겨울이 되면 스러질 배추로 김치를 담그는 슬기를 물려주신 한아비(조상)께 고마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지난 닷날(금요일)밤까지 남아서 일을 도와 준 두 사람이 있어서 든든했고 짜장 고마웠습니다.한 사람은 배곳 안 사람이고 한 사람은 배곳 밖 사람이라 더 뜻이 깊었습니다.저마다 가진 솜씨로 도움을 주니 일이 하나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엿날(토요일)은 마침배곳(대학원)배움 마지막 날이라 배움닫기 잔치를 했습니다.나름대로 배움을 도우려고 애를 썼는데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나서 나눈 이야기들이 앞으로 하게 될 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밝날(일요일)은 가시집에 모여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갔습니다.다섯 집에서 먹을 것을 담그다 보니 만만하지 않았습니다.양념을 바르는 일만 했는데도 다리,허리가 아파 힘이 들었습니다.그렇게 제 손을 보태서 일을 끝내고 새로 담근 김치와 돼지고기를 곁들인 낮밥은 꿀맛이었습니다.겨울이 되면 스러질 배추로 김치를 담그는 슬기를 물려주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요즘은 갈배움 때마다 토박이말을 알려 주는 재미로 삽니다.하루를 빼고 날마다 여섯 때새(시간)를 아이들과 보내지만 힘이 든다는 느낌도 없습니다.아이들도 옛날 배움책을 본 뒤부터는 새로 알게 된 토박이말 익히는 데 더 마음을 쓰는 듯합니다.그래서 아이들 배움과 삶을 가깝게 해 주고 싶은 제 마음도 더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경남 갈배움 한마당(경남 교육 박람회)갖춤을 하느라 날마다 남아서 하고 있긴 하는데 생각만큼 얼른 일이 되지 않습니다.다른 일에 자꾸 발목이 잡혀서 끝내고자 마음 먹었던 일을 다 하지 못하다 보니 그렇습니다.날마다 남아서 일을 해 주는 사람이 있어 큰 도움이 됩니다.곁에 누군가 있기 때문에 더 든든함을 느끼는 거겠지요.^^ 이 이레(이번주)에 맛본 토박이말을 되새기는 날입니다.예쁜 토박이말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는 글갚음을 해 주신 분이 있었습니다.예쁘지 않더라도 살면서 쓸 수 있는 말을 넉넉하게 많이 알아 두는 것이 나쁠 것은 없을 것입니다.이런 되새김으로 토박이말이 여러분과 한 발 더 가까워지게 되기를 바랍니다. [토박이말 되새김]12-1 /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4350해 섣달 여드레 닷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엉기다/ (사)토박이말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엉기다 [뜻] 1)일을 척척 하지 못하고 굼뜨며 허둥거리다 [보기월]이 일도 저 혼자 했다면 엉기기만 했을지 모릅니다. 아침에 일어나는 게 힘든 것은 아이들도 마찬가지인가 봅니다.배곳(학교)에 늦게 오는 아이들이 많습니다.이불 밖으로 나오기 싫은 것은 마찬가지인 거겠지요?아이들 옷을 보면 날씨를 알 수 있습니다.그만큼 어머니들께서 잘 챙겨 입혀 보내십니다. ^^ 어제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모임을 했습니다.추운 겨울에 알고 쓰면 좋은 토박이말,눈과 아랑곳한 토박이말 맛보기에 이어 첫눈이 들어간 노래와 노랫말을 톺아보았습니다.이어서 토박이말을 넣은 줄글 쓰기를 했답니다.처음에는 글쓰기를 짐스러워 하셨지만 삶이 그대로 묻어나는 글에 토박이말을 넣어 아주 좋은 글들을 써 주셨지요.그런 자리를 만들어 드리지 않았다면 볼 수 없을 값진 글이었습니다. ^^ 올해 마지막 달이 되고 보니 마무리와 아랑곳한 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토박이말 놀배움도 돌아보면 아쉬운 게 많습니다.하지만 토박이말바라기 푸름이,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는 잘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이 일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슬기주머니/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슬기주머니 [뜻]남다른 솜씨(재능)을 가진 사람을 빗대어 이르는 말 [보기월]그곳이 타고난 슬기주머니인 아이들이 마음껏 놀 수 있는 토박이말 놀이터가 되면 좋겠습니다. 날이 추워진 것도 추워진 것이지만 낮이 짧고 밤이 긴 것도 기운이 없는 까닭이 되지 않은가 싶습니다.그래서 그런지 고뿔에 걸려 배곳에 나오지 못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고 하니 걱정이 됩니다.무엇보다 다른 사람에게 옮길 수 있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몸을 따뜻하게 하고 손발을 깨끗이 씻도록 잘 챙겨야겠습니다. 하려고 마음을 먹고 짜 놓은 일들을 해 나가는데 새로운 일이 자꾸 생깁니다.그래서 각단이 나지 않은 일도 있고 깜빡하고 잊는 일도 있습니다.옆에서 챙겨 주는 사람이 있어서 하긴 했지만 깜짝 놀라기도 했습니다. 일을 마치고 남아 일을 해 주는 분들이 있어서 경남 갈배움 한마당(경남 교육 박람회)은 하나씩 하나씩 잘 갖춰가고 있습니다.그 분들께 드는 고마운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습니다.그 분들의 발걸음도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키고 북돋운 발자국으로 오래오래 남을 것입니다. '토박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될 수 있는 대로=가능한 한,둘레=주변,가지가지=각종,나날이=매일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은4283해(1950년)만든‘과학공부4-2’의34, 35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먼저34쪽 둘째 줄과 셋째 줄에 걸쳐‘고무대롱’이 보입니다.요즘 배움책에는‘고무호스’로 나오니까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께‘고무대롱’은 낯선 말일 것입니다. 셋째 줄과 넷째 줄에 걸쳐‘들이마신’이 있습니다.요즘에는‘흡입’이라는 말을 많이 쓰니까 이것도 낯선 말이긴 마찬가지일 것입니다.그 아래‘내쉬는’이 보이는데‘들이쉬고’ ‘내쉬고’라고 썼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5쪽 둘째 줄에‘허파’가 보이고 여섯째 줄에‘될 수 있는 대로’가 보입니다. ‘가능한 한’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이 많아서 저한테는 참 반가운 말입니다.열둘째 줄에‘둘레’가 보입니다. ‘주변’이라는 말보다 많이 쓰지 않는 말이긴 합니다.하지만‘둘레’라는 말을 많이 쓰면 좋겠습니다. 열넷째 줄에 나오는‘가지가지’와 열일곱째 줄에 있는‘나날이’가 짜장 반갑습니다. ‘각종’, ‘매일’이라고 쓸 수 있습니다.하지만 어린 아이들이 보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엉구다/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엉구다 [뜻]여러 가지를 모아 일이 되게 하다 [보기월]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엉구는 것은 한 사람이 하더라도 힘과 슬기는 모이면 모일 수록 좋기 때문입니다. 일에는 다 때가 있는데 그 때를 맞추지 못해서 일이 안 되거나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지난 닷날 저는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고 왔습니다.이를 뽑고 그 자리에 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틀니를 해 넣었는데 잘 맞지 않아서 새로 맞춰 놓고 왔었습니다. 그런데 이 일 저 일을 핑계로 미루다 거의 세 이레가 지난 뒤에 갔더니 잘 맞지 않는 것이었습니다.손을 봐서 다듬어 넣었는데 그게 잘 맞지 않아 잇몸이 아파 다시 가서 손을 봤지요.맞춘 다음 바로 갔더라면 하지 않아도 될 걸음과 아픔이었습니다. 경남 갈배움 한마당(교육 박람회)이 열흘 남짓 남았습니다.앞생각(계획)에 따라 하나씩 챙기고 있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엉구는 것은 한 사람이 하더라도 힘과 슬기는 모이면 모일 수록 좋기 때문입니다. 오늘 토박이말바라기 꾸림빛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날씨가 하루만에 아주 달라졌습니다.포근한 날씨였는데 갑자기 겨울 바람이 불면서 추워졌습니다.날씨를 미리 알려 주어서 옷을 잘 챙겨 입고 나와서 떨지는 않았습니다.갈잎이 바람에 날리고 나뭇가지도 많이 흔들렸습니다.긴핫옷을 입은 아이들을 보니 참 따뜻하겠다 싶었습니다.^^ 경남 갈배움 한마당(교육 박람회)가 이제 보름 앞으로 다가왔습니다.마음으로는 한 달 앞부터 챙기고 있었는데 끊임없이 이어지는 일때문에 해 놓은 게 없습니다.보여 드릴 거리도 하나씩 챙겨야 하고 사야 할 것들도 사야 합니다. 그래서 갈침이 모임 젊은 분들과 함께 남아서 일을 했습니다.토박이말바라기가 두 해 동안 걸어온 발자취도 갈무리하고 그 동안 실렸던 기별글도 뽑았습니다.벌써 했어야 할 일들이었기 때문에 얼마나 속이 시원했는지 모릅니다.함께하는 사람들의 힘이 얼마나 세고 값진 것인지를 잘 알게 해 준 분들이 짜장 고마웠습니다. 그동안 맛보신 토박이말을 되새기는 날입니다.이렇게 되새김을 하면서 우리 삶 속으로 한 발짝 더 다가오게 되기를 비손하는 마음까지 담아 올립니다. [토박이말 되새김]11-5 / (사)토박이말바라기 두루빛 이창수 4350해 섣달 하루 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