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4284해(1951년)만든‘과학공부6-1’의12쪽과13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2쪽에 보면‘껄껄하다’는 말이 보입니다.이 말은‘느낌이 부드럽지 못하고 꺼칠꺼칠하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껄끄럽다‘는 말은 많이 들어 보셨을 테지만 조금 낯선 말일 것입니다.하지만 옛날에는 이렇게 흔히 쓰는 말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헤엄치다’는 말이 보입니다. ‘수영하다’는 말을 많이 쓰다 보니‘헤엄’이라는 말은 잘 쓰지 않습니다. “너 수영할 줄 아니?”라고 하지“너 헤엄칠 줄 아니?”라고 묻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수영 배운다.”고 하지“헤엄 배운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이렇게 토박이말이 설 자리를 잃어 가는 것을 보여 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에‘미역감다’는 말이 보입니다.말모이(사전)에는‘미역’이‘목욕’에서 나온 말이라고풀이를 하고 있습니다.하지만‘미역’은‘멱’에서 온 것으로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우리가‘멱살을 잡는다’고 할 때‘멱’이 어디인지 잘 알 것입니다.그‘멱’을 감는 걸로 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서로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어느 쪽이 우리말을 풀이하는 것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얼거리 [뜻] 일의 줄기(뼈대)만을 간추려 잡은 줄거리[보기월] 속속들이는 아니고 일의얼거리만 들었는데 무슨 일인지 알 것 같았습니다. 아이들 사이만 생각하자는 제 말이 어버이들 마음에 가 닿았는지 꼬여 있던 일이 하나 풀렸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일과 서로 주고받은 말들 때문에 앙금이 가시지 않은 때인데도 넓은 마음으로 자리를 해 주셔서 참 고마웠습니다. 아이들도 서먹함을 이기고 서로 손을 잡고 안아 주는 게 어른스러웠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더운 날이었는데 제 마음은 시원했습니다. 날은 더워지고 다툼이 잦아지기 쉬운 철이 돌아왔기 때문에 서로가 마음을 써야 합니다. 다른 뜸에서 또 일이 있다고 하는데 잘 풀리면 좋겠습니다. 속속들이는 아니고 일의얼거리만 들었는데 무슨 일인지 알 것 같았습니다. 사람에 따라 받아들이는 게 다 다르기 때문에 끼어들기가 참 조심스럽습니다. 그리고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그것을 스스로 이겨내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렇지 못 해서 일이 커지는 때도 있는 게 참일입니다. 일이 일어난 까닭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서로가 무엇을 바라는지 이야기를 나누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솔가리 [뜻] 1)말라서 땅에 떨어져 쌓인 솔잎[보기월] 마른 솔잎이 '갈비'인데 대중말(표준말)로는 '솔가리'라고 합니다. 지난 엿날(토요일)은 토박이말바라기가 또 한 걸음 나아간 날이었습니다. 배움이들을 만나 이야기를 하고 싶어도 그런 자리가 없어서 참 많이 아쉬웠습니다. 그런데 이제 토박이말 배움터에 언제 자리를 마련해 놓았으니 오고 싶은 사람은 마음껏 오라고 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토박이말바라기가 이바지 받음터(봉사활동 수요처)가 되었기 때문에 모든 배움이는 말할 것도 없고 어른들도 이바지를 하러 올 수 있습니다. 배움터에서 토박이말을 일으키고 북돋워야 하는 까닭을 듣기도 하고 여러 가지 토박이말 놀배움을 겪기고 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는 밖으로 나가 여느 사람들에게 그 일에 함께해야 한다는 것을 널리 알리는 일까지 하게 될 것입니다. 그날은 꽃배곳, 가온배곳, 높배곳, 한배곳 배움이들이 골고루 와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멀리 전주에서 오신 모람 세 분과 어버이 동아리 으뜸빛, 버금빛 두 분까지 오셔서 더 뜻이 깊었습니다. 그리고 쉬는 날에도 와서 도움을 준 두 갈침이께도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되새김] 들여름달 네이레(5월 4주) 어제는 아침부터 갈배움 갖춤을 하려고 조금 일찍 집을 나섰습니다. 여느날보다 일찍 토박이말을 맛보여 드리고 갖춤을 할 생각에 마음이 바빴습니다. 마음이 바쁘면 꼭 놓치는 게 있더라구요. 어제도 글을 다 올려 놓고 보니 보기월이 달랐지만 하나하나 고칠 겨를이 없어 그냥 넘어갔습니다. 아이들이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올리고 '오늘 토박이말'을 쉬었더니 토박이말을 왜 안 올렸냐며 따지듯이 물었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느냐고 눈을 동그랗게 뜨고 묻는 게 아주 귀여웠습니다. 이렇게 마음을 써 주는 아이들이 있어서 얼마나 든든한지 모릅니다. "고맙다 애들아~"^^ 어제 저녁 토박이말 갈배움 닦음(연수)에 자리를 꽉 채워 주신 분들도 참 고마웠습니다. 좋은 말씀을 해 주시는 김수업 선생님이 계시기 때문이란 것을 잘 압니다. 저는 그 분들이 아이들과 함께 어두운 말글살이를 토박이말로 환하게 밝히는 길잡이가 되어 주실 거라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또 이제껏 맛본 토박이말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다 보거나 들은 적이 있어서 낯이 익는 말이라서 쉽게 맞히실 수 있을 것입니다. 토박이말 되새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쪽빛 [뜻] 짙은 파랑[보기월] 쪽물을 들여 본 사람들이쪽빛을 가장 잘 알 것입니다. 어제는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임을 하는 날이었습니다. 새로 오신 세 분까지 열한 분이 오셔서 자리가 꽉 찼습니다. 먼저 이바지 받음터(봉사활동 수요처)가 된 것을 알려드리고 더 많은 분들께 널리 알려 주십사 말씀을 드렸습니다. 토박이말을 챙겨 일으키고 북돋우어야 하는 까닭을 되새겨 보고 말씀 드리지 않은 나머지를 알려드렸습니다. 토박이말을 잘 살린 노래를 들어 보고 노랫말에 나온 토박이말을 알아보고 노래 이름에 나온 '해'와 아랑곳한 토박이말 몇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햇볕'과 '햇살'은 무엇이 다르며 '햇살'과 '햇발'은 또 어떻게 다른지 풀어 드리고 햇귀, 돋을볕, 해무리, 해돋이, 해넘이, 해맞이의 뜻도 가려 보았습니다. 이어서 토박이말 딱지놀이를 했는데 아이들처럼 아주 즐거워하셨습니다. 놀면서 토박이말을 하나씩 알아가는 게 재미있다고 하시며 모임이 끝나자마자 하나씩 사야겠다고 하셨습니다. 이렇게 하나씩 가져가시는 토박이말 씨앗이 집집마다 싹을 틔우고 뿌리를 내려 튼튼한 나무로 자랄 수 있도록 더욱 힘껏 도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 4284해(1951년) 만든 ‘과학공부 6-1’ 10쪽, 11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0쪽에 보면 ‘거울은 빛을 되쏜다’는 말이 보입니다. ‘되쏜다’는 오늘날 배움책에는 ‘반사하다’로 나오기 때문에 보신 분들이 거의 없고 처음 보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되쏘다’는 처음 보기 때문에 낯설고 어렵게 보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이들도 ‘활을 쏜다’는 말을 알고 쓰기 때문에 ‘되쏜다’는 말을 쉽게 알아차립니다. 11쪽에는 ‘들이쏘다’는 말도 보입니다. ‘입사하다’는 말을 많이 써서 이 또한 처음 보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빛살’도 ‘광선’이라는 말 때문에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입사 광선’은 ‘들이쏨 빛살’, ‘반사 광선’은 ‘되쏨 빛살’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요즘 ‘배움 중심 교육’, ‘학생 중심 교육’을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배우는 아이들 자리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바라보고 또 아이들 쪽에 서서 배우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해 주고자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렇다고 한다면 저는 그런 분들이 이런 우리 토박이말 갈말(학술용어)에 마음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참으로 아이들이 배우는 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얼개 [뜻] 일몬이나 모임의 온몸을 이루는 짜임새=구조[보기월] 배움책에 나오는 '구조와 기능'은 '얼개와 하는 일'이라고 하면 쉽습니다. 어제 아침 다어진꽃배곳 어버이들을 뵙고 왔습니다. 저는 나름대로 짧고 굵게 잘하고 왔다고 생각하는데 어버이들께서 어떻게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토박이말을 어릴 때부터 넉넉하게 알려 주는 것이 우리다움을 찾아 다지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먼저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배우는 데 들이는 힘을 덜어 주려면 배움책에 있는 어려운 말을 쉬운 토박이말로 바꾸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는 제 이야기에 다들 고개를 끄덕여 주셨습니다. 요즘 아이들과 배우고 있는 배움마당 이름이 '식물의 구조와 기능'입니다. 아이들 배움책에는 '구조'를 '생김새'로 풀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배우기 때문에 '얼개'라는 말이 더 알맞은 말이라 생각합니다. '구조'는 쓰이는 곳에 따라 '생김새', '짜임새', '얼개'로 가려 써야 합니다. '기능'은 '하는 일'을 뜻하지요. 배움책에 나오는 '구조와 기능'은 '얼개와 하는 일'이라고 하면 쉽습니다. (사)토박이말바라기가 이바지 받음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솔깃하다 [뜻] 사람이 어떤 일에 마음이 끌리다.[보기월] 무슨 이야기부터 해 드려야 솔깃하실까여러 모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밝날 뒤낮에는 어김없이 토박이말바라기 푸름이 아이들과 함께했습니다. 아이들에게 토박이말을 일으키고 북돋어야 하는 까닭을 풀이할 때 쓸감을 만들어 보도록 했습니다. 이제껏 마련해 놓은 것들을 바탕으로 만들어 보라고 했고 아이들 나름대로 만들어 가는 것을 보며 조금씩 도움말을 해 주었습니다. 그것을 보며 왜 우리가 토박이말을 살려야 하는지 그 까닭을 풀이를 해 주어야 될 만큼 되어 버렸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쓰렸습니다. 이미 만들어진 커다란 흐름을 바꾸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알지만 아이들보다 못한 어른으로서 아이들에게 미안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오늘은 다어진꽃배곳(집현초등학교) 어버이들을 뵈러 갑니다. 무슨 이야기부터 해 드려야솔깃하실까여러 모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이들은 우리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기를 바라는 어버이들시니 아이들 이야기를 먼저 하는 게 좋겠다 싶습니다. 아이들에게 미안해 하지 않아도 되는 어른들이 되자는 말씀과 함께 토박이말 놀배움 씨앗을 넉넉하게 나눠 드리고 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어제는 토박이말 갈배움 힘 기르기 닦음이 있는 날이었습니다. 나다움 우리다움을 찾아 다짐으로써 한국인답게 되는 지름길이 한국말 가운데 가장 한국말다운 토박이말을 잘 알고 쓸 수 있게 하는 것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토박이말을 일으키고 북돋우는 일이 꽃병에 꽂힌 꽃들처럼 시들어 가는 우리말에 뿌리를 만들어 주는 일이라는 말과 함께 말입니다. 옛배움책에서 찾은 토박이말 '금'과 '곧은금'을 가지고 '줄'과 '금'도 제대로 못 가리게 된 우리 말글살이 모습을 돌아보기도 했습니다. 옛배움책에 있던 '곧은금'을 '직선'으로 바꾼 것이 참으로 아이들을 생각해서 한 일인지 따져 볼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배운 사람들이 나서서 쉬운 말을 두고 어려운 말을 쓰게 만든 이것을 하루 빨리 바로잡는 데 힘과 슬기를 보태자는 말씀도 빠뜨리지 않았습니다. 벌써 토박이말 되새김을 하는 날입니다. 익은 말이라서 바로 생각이 나는 말도 있을 것이고 어떤 말은 처음 봐서 생각이 나지 않는 말도 있을 것입니다. 생각나지 않으시면 그 말만 다시 되새겨 보면 됩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머지않아 우리 모두가 알고 쓰게 될 날이 올 것입니다.^^ 4350. 5. 19.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쪽박 [뜻] 작은 바가지[보기월] 그거 한다고 얻는 것도 없고 안 한다고쪽박을 찰 일도 없는데 왜 그렇게 매달리느냐고 말입니다. 다들 일이 많아서 바쁘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저도 일이 적은 게 아니지요. 그런데 제가 토박이말 일에 힘을 쏟는 걸 보며 옆에 사람이 묻습니다. 그거 한다고 얻는 것도 없고 안 한다고쪽박을 찰 일도 없는데 왜 그렇게 매달리느냐고 말입니다. 그러면 저는 힘주어 말합니다. 이걸 못 살리면 우리 앞날은 없다고 말입니다.^^ 나라 일도 챙겨야 할 것들이 많아서 무엇부터 어떻게 챙겨야 할지를 놓고 많은 사람들이 슬기를 모으고 있겠지요. 그래서 앞뒤 차례를 매기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쪽 일을 먼저 챙기기 마련일 것입니다. 제가 하고 있는 일을 두고 잘 모르는 제가 봐도 고쳐야 될 게 보이는데 다들 저보다 나으신 분들이니 얼마나 많이 보이실까 싶기도 합니다. 지난 달에 아이들한테 안 좋은 일을 겪은 게 있었는지 알아보는 걸 한 달 가까이 했습니다. 슬기틀을 써서 하면서 이름을 밝히지 말고 마음 놓고 있었던 일을 써 보라고 했습니다. 많은 돈을 들여서 만든 풀그림(프로그램)으로 알아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