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70년대 초, L.A에 <재미국악원>이 발족하여 3.1절이나, 광복절 등 국가적 행사, 교포사회의 문화 행사, 그리고 <연꽃축제>와 같은 아시아인의 행사 등에 초청되어 그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나 정작 자체적인 정기연주회는 미루어 오다가 궁중과 민속의 악무 10여 종목을 준비해서 <창립기념연주회>를 갖게 되었는데, 부래들리 L.A 시장의 축하 인사와 정부가 파견하는 문화 사절도 오기 어려운 시기에, <재미국악원>의 역할이나 이에 대한 기대가 높아간다는 총영사의 격려사도 소개하였다. 그렇다. <재미국악원>의 정기 연주회가 있던 1976년 당시의 한국은 지금과 같이 잘 사는 나라가 아니었다. 또한, 70년대는 외국을 여행한다는 그 자체가 어려웠던 시기였다. 국악학교를 졸업한 젊은 국악인들이 미국 L.A에 모여 살게 되면서 한국의 전통음악을 미국 문화의 일부로 키워가려는 시동을 걸게 된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미국은 다양한 민족이 모여 사는 다민족 사회다. 그래서 각 소수민족의 문화를 존중하고 키워 감으로써 미국문화의 다양성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난해 5월 1일, 제126대 일왕 곧 나루히토(徳仁, 1960.2.23. ~)가 즉위하면서 일본의 레이와(令和)시대가 열렸다. 이는 일본 헌정 사상 최초로 아키히토(明仁, 1933.12.23 ~ ) 일왕이 생전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고 해서 화제가 된 바 있다. 새 일왕이 즉위하여 1년 반이 지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지난 9일(월) 이세신궁(伊勢神宮)에서는 아주 특별한 의식이 있었다. 아주 특별한 의식이란 황태자를 정해 나라 안팎에 선포하는 ‘입황사의 예(立皇嗣の礼)’로 일본의 종묘사직에 해당하는 이세신궁에서 했다. 보통은 일왕의 아들 또는 손자로 왕위를 정하지만, 이번의 경우에는 현 일왕이 아들이 없기에 일왕의 동생(秋篠宮, 54살)이 왕위 서열 1위가 되었다. 일왕의 아들이라면 ‘입태자의 예(立太子の礼)’라고 하지만 일왕의 동생이라 ‘입황사의 예(立皇嗣の礼)’라는 이름으로 의식이 거행되었다. 일본의 종묘사직에 해당하는 이세신궁에서의 의식은 9일에 있었고 이에 앞서 도쿄 황거(皇居)에서는 황태자 선언식이 8일(일)에 있었다. 일본 일왕가의 역사 속에서 일왕의 동생이 왕위 서열 1위에 오른 예가 없었던 관계로 지난 9일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김동석과 파사디나 시(市)에서 열리는 <장미꽃 축제>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이 축제는 전 세계에 TV 중계가 될 정도로 유명한 행사였고, 그의 참여가 축제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영향이 컸다는 점도 이야기하였다. 규모가 큰 행사일수록 연습량이 비례하는 법인데, 그 힘든 길거리 행진을 잘하기 위해서 마음고생이 많았다는 점, 누가 시켜서 하는 일이 아니라, 그가 미국에 살면서 한국의 전통문화, 한국인의 정신을 지켜가려는 충정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한 바 있지만, 미국 L.A에 거주하고 있는 젊은 국악인 10여 명은 1973년 5월, <재미국악원>을 발족시켰으며 그해 9월 23일에는 <창립기념연주회>를 갖게 되었다. 당시 남가주에 거주하는 한국인 수는 1만 명 수준이었고, 특히 예술인들은 그리 많지 않았던 때였다. 대표적인 예술인 단체를 꼽는다면 남가주 <음악가 협회>,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안에 <음대 동창회>, 그리고 <미술가 협회> 등이 있었을 정도였다. 그런데 새롭게 <재미국악원>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선생님은 의연히 슬퍼하지 않고 편안하게 돌아가셨다. 영력 264년(1910) 경술 8월 28일이다. 전날 밤에 지진이 일어나고 큰 안개가 가로질러 걸쳐 있었다. 곡기를 끊은 지 23일 만에 임종하셨다. 몸은 수척하고 파리해졌으며 탈구된 상태였으며 입은 건조하고 혀는 메말라 말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돌아가시기 전에도 오히려 정신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도 이불과 옷깃을 손으로 만지고 계셨다. 간혹 집안사람들을 문인으로 착각하셔서 ‘학문의 정진은 절도일 따름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이는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일제에 나라를 강탈당하게 되자 단식 23일 만에 순국한 의당 박세화(朴世和, 1834~1910) 선생의 마지막 모습에 대한 기록이다. “9월 선생은 문경에서 왜군들에게 붙잡혀 서울로 송치되어 구속되었다. 왜인들이 갑오년(1894) 이후로 국정을 탈취하고 때로 위압을, 때로 복덕으로 베풀어 전행하다가 이때 와서 주(州)와 군(郡)을 합치고 성인을 모신 문묘를 헐고 합방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선생께서 그 말을 듣고 크게 슬퍼하여 말씀하시길 ‘나라를 합방하고 성인을 모신 문묘를 훼손하는 것은 나라와 도가 함께 망하는 것이다. 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Don Kim, 김동석 교수가 상쇠로 코리안 퍼레이드를 이끌었던 이야기를 하였다. L.A의 명물 <코리안 퍼레이드>는 1974년부터 현재까지 45년을 이어 오고 있는데, 그 중심에 풍물패가 있고, 김동석이 꽹과리를 치며 지휘를 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또 하나 1975년 말, 헐리웃 은막의 거리에서도 30만 인파의 환호 속에 크리스마스 시즌의 막을 올리는 행사가 텔레비전 생방송으로 중계되었을 때에도 그 주인공은 우리 풍물패였다는 이야기, 아마도 이민 역사상, 미 주류 사회에 소개된 첫 퍼레이드가 아닐까 한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1984년은 미국 LA올림픽이 개최되어 이와 관련된 행사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었고, 4년 뒤에는 서울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이어서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었다. 때마침 미국 내에 김동석이 이끄는 한국의 무용단이나 음악단, 풍물패 등이 알려져서 위상에 걸맞은 문화의 강국답게, 한국을 상징하는 전통음악과 춤이 다양하게 준비되고 있었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L.A 올림픽이 개최되는 기간 내에 소수민족 예술단체 가운데서는 김동석이 이끄는 단체가 공식적으로 공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지금 단풍의 계절이다. 특히 이맘때면 빛깔 고운 천년고찰의 단풍 구경을 위해 몰려드는 관광객들로 유명세를 타는 일본의 절들은 몸살을 앓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여의치가 않다. 그런 절 가운데 한 곳을 꼽으라면 시가현의 백제사(百濟寺, 햐쿠사이지)를 빼놓을 수 없다. “당산(堂山)은 스이코왕(推古天皇) 14년(606)에 성덕태자의 발원으로 백제인을 위해 지은 절이다. 창건 당시의 본존불은 태자가 손수 만든 관음상이라고 전해지며 본당 (대웅전)은 백제국의 용운사를 본떠서 지었다. 개안법요 때는 고구려 스님 혜자를 비롯하여 백제스님 도흠(道欽)과 관륵스님 등이 참석하였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이 절에 주석하였다.” 이는 백제사 누리집에 올라와 있는 이 절의 유래 가운데 일부다. 백제사는 일본 최대의 호수인 비파호(琵琶湖)를 끼고 있는 시가현(滋賀縣)에 있으며, 교토와 오사카에 면해 있는 유서 깊은 도시다. 이곳은 1건의 세계문화유산을 비롯하여 55건의 국보 그리고 806건의 중요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도시로 국보 보유로 치면 교토부, 도쿄도, 나라현, 오사카부 다음으로 많다. 에도시대에는 강남, 강서, 강동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Don Kim, 김동석 교수의 국악사랑 이야기를 하고 있다. 리틀엔젤스 공연을 마치고 돌아와 1971년 6월, 유학길에 오르게 되었다는 이야기, 유학 초기의 어려웠던 생활을 해결하기 위해 치과기공학교를 들어가 기술을 배웠고, 사업을 하면서 C.S. University에서 종족음악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이야기, 1970년대 초, L.A 지역의 국악인 10여 명이 <재미국악원>이라는 단체를 조직하여 창단 기념식과 연주회를 했는데, 한국의 ‘수제천(壽齊天)’을 미국 땅에서 처음으로 연주하게 되어 감회가 남달랐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당시 L.A 지역신문에도 미국 내에 처음으로 한국 전통국악의 연구 보급을 맡은 <재미국악원>이 정식 발족 됐다는 소식과 함께, 앞으로 국악강습회와 실연, 방송을 통한 국악 보급에 앞장설 것을 다짐했다는 기사를 소개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남가주 교포사회의 다양한 행사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공식 행사도 국악이 참여하게 될 것이고, 또한 미 주류사회의 여러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조직에 실무를 담당하게 된 사람이 바로 김동석이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의 ‘야후제팬’에는 <모두의 의견>이라는 꼭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날마다 다양한 주제로 설문 조사를 하고 있다. 방법은 온라인 투표 형식이며 실시간 투표자가 %로 표시된다. 이곳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일본사회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흥미롭기도 하고 더러는 생소하기도 하다. 이번 일본 이야기에서는 그 가운데 몇 가지 설문을 소개한다. 1) 스가 수상은 코로나 대책 본부에서 10월 이후, 해외로부터의 입국 제한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결정했습니다. 관광객 이외에 대해서는 검사를 한 뒤 가능한 한 왕래를 재개해 나갈 방침이라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정부의 이러한 ‘입국제한 완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77,003명 투표 중, 반대 84.2%, 찬성 13.9%, 기타 1.9% 2) 전국 각지에서 곰이 출몰하여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곰의 먹이가 되는 너도밤나무와 참나무의 흉년 외에도 '철부지 새끼곰이 마을에 나타나 뛰어다니는 문제'로 어미곰이 출몰한다고 합니다. 당신은 야생곰과 만난 적이 있습니까? → 8,940명 투표 중, ‘만난 적이 있다’ 73.7%, ‘만난 적이 없다’ 26.3%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 이어 김동석 교수(Don Kim)의 국악사랑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는 대학 2년 때 조영남, 문호근, 이건용 등과 <서울음대 연극부>를 만들어 공연하기 시작하였고, 3학년 때에는 <중앙여자고등학교>의 가야금 강사로 위촉되어 한 학년 전체 학생들을 지도하였다는 이야기, 군 복무를 마치고 <리틀엔젤스 어린이 무용단>의 음악담당 교사가 되어 미국 닉슨 대통령이 있는 백악관과 일본에서는 천황 부부가 참석한 자리에서 공연하여 주목을 받았다는 이야기, 그러나 그의 관심은 UCLA에 민족음악학과가 있다는 사실과 그곳으로의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다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리틀엔젤스와 해외 공연을 마치고 돌아온 김 교수는 유학 준비를 서둘렀다. 우리말에 쇠뿔도 단김에 빼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 결과 오래지 않아 UCLA로부터 입학 허가를 받았고, 1971년 6월, 꿈에 그리던 유학길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외국, 특히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며 일상생활을 영위한다는 것이 그렇게 쉽고 녹록한 일이 아니란 점은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의 구구절절한 회고담이 유학 초기의 어려움을 잘 말해
[우리문화신문=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 흔히 철새라고 하면 철 따라서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새를 일컫는데 만일 나비들이 이런 행동을 한다면 무엇이라 부르면 좋을까? 철나비? 철새나비? 얼른 적당한 이름이 떠오르질 않는다. 이런 나비가 우리나라에 있기는 있나 싶은데 이웃나라 일본에는 이런 나비가 있다. 요즘 심심찮게 아름다운 모습의 나비들이 일본 신문을 장식하고 있는데 바로 철새나비다. 이 나비를 아사히마다라(浅葱斑)고 부른다. 이 녀석들은 여름은 기후현과 나가노현 등의 고원에서 보내고 가을이 되면 온난한 지역으로 남하를 시작한다. 마야산 텐죠지(摩耶山 天上寺)에서는 이 나비를 불러들이기 위해 홍백의 벌등골나무(후지바카마)를 일부러 심어 두었다. 예년대로라면 이 절에서 철새 나비를 볼 수 있는 것은 앞으로 10일 정도 볼 수 있다. 이동하기 전에 쉬어가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 나비가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서 조사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전반부터이다. 그러한 생각을 하게 된 사람들은 모두 오키나와에 살던 경험자였다고 한다. 나가미네 구니오(長嶺 邦雄) 씨는 1962 무렵부터 오키나와 본섬에서는 여름에 유충이나 성충도 없으며 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