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4월 1일)는 105년 전인 1919년, 천안 아우내(병천)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날이다. 흔히 아우내 만세운동이라고 하면 유관순 열사를 떠 올리지만 사실 이날 아우내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은 성공회 병천교회에서 운영하던 진명학교 교사였던 김구응(1887-1919.4.1) 열사와 그의 어머니 최정철(1854-1919.4.1) 열사로 이들은 모자(母子) 관계다. 이 사실을 가장 정확하게 알려주는 역사적 기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사료편찬회 위원이었던 김병조 선생이 쓴 《한국독립운동사략》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천안군 병천시장에서 의사(義士) 김구응이 남녀 6,400명을 소집하여 독립선언을 할 때 일본헌병(일경)이 조선인 기수(旗手, 행사 때 대열의 앞에 서서 기를 드는 일을 맡은 사람)를 해치고자 했다. 조선인들은 맨손으로 이를 막느라 피가 낭자했다. 그러자 일본 헌병은 이들의 복부를 칼로 찔러 죽음에 이르게 하는지라 김구응이 일본 헌병의 잔인무도함을 꾸짖자 돌연 총구를 김구응에게 돌려 그 자리에서 즉사케 했다. 김구응은 머리를 맞아 순국했으나 일본 헌병은 사지(四肢)를 칼로 난도질했다. 이때 김구응의 노모(최정철)가 일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가 아직 옷깃을 여미게 하는 어제(3월30일) 낮 11시, 향남읍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장짐리)에 있는 이정근 의사 창의탑에서 <발안 3·1독립운동의 선구자, 순국 105주기 탄운 이정근 의사 추모제>가 (사)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회장 김겸) 주최로 열렸다. 1919년 3월 1일, 서울의 만세시위를 시작으로 이곳 발안지역은 3월 31일 발안장날을 기해 일어났는데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는 제자들과 지역민들을 포함한 1천여 명을 이끌고 만세시위에 앞장섰다. 이날 이정근 의사는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대를 이끌다 일경의 총검에 복부를 난자당하면서도 복부에서 흐르는 피를 손에 움켜쥐어 일경의 얼굴에 뿌리며 숨이 끊어질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외치다 장렬히 순국의 길을 걸었다. 터졌구나 터졌구나 / 독립성이 터졌구나 / 15년을 참고참다 / 이제서야 터졌구나 피도 대한 뼈도 대한 / 살아 대한 죽어 대한 / 잊지마라 잊지마라 (2절 줄임) -탄운 이정근 의사의 ‘3.1독립가’ - 어제 추모제에는 화성시보훈단체협의회 박영민 회장을 비롯하여, 광복회 화성시 지회,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아들아 / 왜놈 칼에 / 붉은 피 쏟으며 / 숨져간 아들아 에미는 저들이 / 네 심장에 꽂은 / 칼을 보고 / 피가 끓었다. 천인공노할/ 조선인 학살에/ 피울음 토하며/ 네가 쏟은 피 /에미가 흘린 피 / 결~코/헛되질 않길 / 아우내 동포들 / 손잡고 함께 외쳤노라. -이윤옥 '최정철,김구응 열사를 위한 헌시'- 1919년 충남 아우내만세운동을 이끈 최정철(1854-1919), 김구응(1887-1919) 열사는 모자(母子)관계로 이 두 분은 4월 1일 아우내만세운동의 최전선에서 시위대를 이끌다 현장에서 일경에 의해 순국했다. 그동안 역사의 뒤안길에서 잊혀있던 이 두 분의 고귀한 순국 정신을 이어나가기 위해 아우내에서는 2022년 4월 1일 김구응열사기념사업회를 출범한 이래 올해 4월 1일, 제5회 아우내 4.1문화제를 충남 아우내 성공회 병천교회 및 아우내 일원에서 연다. 3.1만세혁명105주년을 맞아 열리는 제5회 아우내4.1문화제는 낮 1시, 최정철ㆍ김구응열사 별세 성찬례 (성공회 병천교회)를 시작으로 낮 2시, 김구응열사조형물 건립추진위원회 출범식 (성공회 병천교회 시몬관), 낮 3시 '아우내4ㆍ1혁명의길 함께 걷기 (15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 주상하이한국문화원(원장 강용민)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년 4월 11일) 105주년을 맞이해 주상하이한국문화원에서 임시정부의 역사를 만날 수 있는 전시회 ‘대한민국임시정부 : 거대한 뿌리’를 3월 26일(화)부터 5월 4일(토)까지 개최하고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음악공연과 뮤지컬 등 다양한 한국문화행사를 진행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부터 활동, 귀국, 계승까지 전시 먼저 총 5부로 구성한 기념 전시회에서는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활동, 임시정부 요인들의 귀국 과정, 서울운동장에서 성대하게 열렸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선 전국 환영대회 등 관련 유물 67점을 만나볼 수 있다. ▴ 1부 ‘승리하고 돌아가리라’에서는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역대 수반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특히 1940년대 임시정부의 외교와 군사 활동을 알린다. ▴ 2부 ‘가자, 조국으로!’에서는 광복 이후 귀국을 선언한 임시정부가 중국, 미국과의 협상 끝에 돌아오는 모습을 소개한다. ▴ 3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선하다’에서는 1945년 12월, 당시 종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05년 전, 기미년(1919) 3월 1일을 기해 일제침략에 맞서 당당히 빼앗긴 나라를 찾고자 만세운동을 벌였던 선열들의 투지를 기념하는 행사가 어제(21일) 용인에서 있었다.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근현대미술관담다(관장 정정숙)에서 낮 2시부터 열린 <3.1운동 105주년 특별기획전> 개막식은 105년 전 3월 21일, 용인지역 첫 만세운동을 기려 해마다 이날을 잊지 않고 선열들을 기리는 추모행사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별기획전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어제 막을 연 용인지역의 3.1만세운동 기념 <3.1운동 105주년 특별기획전>은 “기록ㆍ기억ㆍ기념”을 주제로 한 '예술로 승화된 특별기획전'으로 매우 의미있는 개막식을 열었다. 개막식에서 정정숙 관장은 특별기획전을 여는 인사말로 “용인지역에는 3대(代) 독립운동가 오광선 장군님 가족, 2대(代) 독립운동가 홍재설 지사님 가족, 그리고 신민부 집행위 원장이셨던 김혁 장군님 등 수많은 분이 계십니다. 올해는 특별히 독립군가, 광복군가, 애국가, 국치가 등 잘 알려지지 않았던 노래 악보와 가사 등도 전시되며 한국 첫 여성 의병 윤희순 지도자가 직접 쓴 가사집도 공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19년 충남 아우내만세운동을 주도한 최정철(1854-1919), 김구응(1887-1919) 열사는 모자(母子)관계로 이 두 분은 4월 1일 아우내만세운동의 최전선에서 시위대를 이끌다 현장에서 일경에 의해 순국했다. 그동안 역사의 뒤안길에서 잊혀있던 이 두 분의 고귀한 순국 정신을 이어나가기 위해 아우내에서는 2022년 4월 1일 김구응열사기념사업회를 출범한 이래 올해 4월 1일, 제5회 아우내 4.1문화제를 충남 아우내 성공회 병천교회 및 아우내 일원에서 연다. 3.1만세혁명105주년을 맞아 열리는 제5회 아우내4.1문화제는 오후 1시, 최정철· 김구응열사 별세 성찬례 (성공회 병천교회)를 시작으로 오후 2시, 김구응열사조형물 건립추진위원회 출범식 (성공회 병천교회 시몬관), 오후3시 '아우내4· 1혁명의길 함께 걷기 (15:30 묘제, 가전리 산8-6 묘소) 등의 일정으로 예정되어있다. 이번 행사는 주최 김구응열사기념사업회, 주관 천안역사문화연구회, 후원은 김구응 열사유족회 성공회 병천교회가 맡는다. 문의 : 041-579-0034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제105돌 3·1절을 맞아 온라인으로 만세운동에 동참할 수 있는 게임형 콘텐츠 ‘대한민국 만세대전’에 18만여 명이 참여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국가보훈부는 지난 2월 26일부터 3월 8일까지 12일 동안 ‘대한민국 만세대전’을 운영한 결과, 18만여 명의 국민이 참여해 모두 5억 8천만 번의 누적 만세 횟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만세대전’은 게임형 콘텐츠를 통해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전달하고 당시 만세운동에 참여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각 지역의 독립운동가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또한, 참여자가 자신의 거주지역을 선택해 만세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전국 각 지역으로 퍼져나갔던 3·1만세운동을 온라인 공간에서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지에스이십오(GS25)와 협업해 만세 1회당 31원씩 적립, 만세 횟수 1~3위 지역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을 위한 기부금을 적립했는데, 콘텐츠 공개 2시간 20분 만에 100만 번이 넘는 만세를 외쳐 적립 목표액 3,100만 원을 조기에 달성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에 따라 지에스이십오(GS25)는 콘텐츠 운영기간 누적 만세 횟수 1위를 기록한 경남 창원시(2,500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부산진일신여학교(이하 ‘일신여학교’)의 3・1운동을 도운 호주 선교사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2022년 애족장), 이사벨라 멘지스(2022년 건국포장), 데이지 호킹(2022년 건국포장)을 <2024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1919년 서울에서 인쇄된 독립선언서가 부산ㆍ마산 지역에 전달되었으며, 서울에서 내려온 학생대표들은 부산 학생대표들을 만나 만세 시위를 촉구했다. 이에 따라 일신여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3월 11일 저녁, 사전에 준비한 태극기를 들고 ‘독립 만세’를 외치며 만세 시위를 펼쳤다. 호주 빅토리아주 출생(1887년)의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는 1910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 일신여학교 교무주임을 지내다 1914년부터 교장을 맡았다. 또한, 1919년 3월 11일 학생들의 만세 시위에 참여해 학생 인솔 및 보호에 앞장서다 일제에 의해 체포된 뒤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1940년대에는 일제가 기독교 학교에도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신사참배를 강요받는 학교를 경영하지 않겠다’라는 호주 장로회의 방침에 동의하면서 일신여학교가 폐교되자 호주로 귀환했다. 호주 빅토리아주 출생(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선생님의 고난일생 지성일념이 이러했거늘 마지막에 원수 아닌 동족의 손에 피를 뿜고 가시다니요. 이것이 선생님에게 바친 최후의 보답입니까? 동포 형제여, 가슴을 치고 통곡하십시오. 선생님! 천지가 캄캄하고 강산이 적막합니다. 무대에서 임진택 명창이 오열한다. 어제 3월 1일 낮 3시 3.1절 105돌을 맞아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와 백범김구기념관, 김구재단이 함께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백범 김구' 창작판소리 공연이 펼쳐졌다. 판소리 ‘백범 김구’는 백범 김구 선생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담은 창작판소리다. 창작판소리의 핵심 내용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으로 조국의 독립과 광복 이후 분단과 남북한의 단독정부 수립을 막기 위해 노력하다 안두희의 총탄에 삶을 마감한 김구의 일생을 담았다. 백범 김구 선생의 자서전인 ‘백범일지’를 기반으로 임진택 명창이 판소리 대본인 창본을 직접 쓰고 장단을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의 첫 공연은 2009년 백범 서거 60주년 당시, 김구재단과 함께 제작한 것으로 1부 '청년 역정', 2부 '대한민국임시정부', 3부 '해방시대' 모두 3부로 구성돼 이후에도 지속해서 공연을 진행해 오고 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동지를 팔아먹지 마라 결코 팔아먹지 마라 혼절 속에 들려오던 아버님 말씀 새기던 나날 광야의 육사도 그렇게 외롭게 죽어 갔으리 뼈 삭는 아픔 숯 검댕이 영혼 부여잡으면서도 그러나 결코 비굴치 않았으리라 먼데 불빛처럼 들려오는 첫 닭 우는 소리를 어찌 육사 혼자 들었으랴. - 이병희(1918~2012) 애국지사 시 가운데- 동포들아 자유가 죽음보다 낫다 목숨을 구걸치 말고 만세 부르자 졸업장 뿌리치고 교문 밖 뛰쳐나온 열일곱 소녀 무안거리 가득 메운 피 끓는 심장소리 뉘라서 총칼 겁내 멈춰 서랴 항구의 봄바람 머지않아 불어오리니 삼천리 금수강산에 불어오리니 -김귀남(1904~1990) 애국지사 시 가운데- 의성 김 씨 김진린의 귀한 딸 시집와서 남편 이중업과 두 아들 동흠 중흠 사위마저 왜놈 칼 맞고 비명에 보낸 세월 쉰일곱 늘그막에 기미년 안동 예안 만세운동 나간 것이 무슨 그리 큰 죄런가 갖은 고문으로 두 눈 찔려 봉사 된 몸 두 번이나 끊으려 한 모진 목숨 11년 세월 그 누가 있어 한 맺힌 양가(兩家)의 한을 풀까? -김락(1863~1929) 애국지사 시 가운데- 이 시들은 필자가 지난 십수 년 동안 여성독립운동가들을 기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