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제105주년 3・1절을 맞아 충남 아산군 신창면에서 만세시위를 이끈 강달성 선생(애족장), 암살단 단원으로 친일파 처단에 앞장선 김화룡 선생(애족장) 등 103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라고 밝혔다. 강달성 선생은 1919년 4월, 충남 아산군 신창면 읍내리 학성산에서 독립만세를 외친 뒤 신창면사무소 및 헌병주재소 앞에서 시위에 참여하고 신창보통학교 앞에서 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았다. 강달성 선생은 판결에 불복하는 한편 법정에서 “만세시위는 조선 민족의 정의ㆍ인도에 기초한 행동이므로 무죄”라며 만세운동의 정당성을 당당히 밝혔다. 김화룡 선생은 1920년 3월 의열투쟁 단체인 암살단에 가입, 1920년 8월 미국 의원단 내한을 앞두고 조선 전역에 독립의식을 드높이고자 독립운동 격문인 ‘암살단 취의서’ 약 4천 매를 인쇄ㆍ배포하고 시위를 준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다. 이와 함께 학생 신분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 선전활동에 참여한 이임창 선생(대통령표창), 독립운동 비밀결사 소척대를 결성한 한인택 선생(대통령표창), 일본 동경에서 비밀결사 무우단 단원으로 활동한 강증룡 선생(애족장)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가보훈부 서울지방보훈청(청장 남궁선)은 오는 2월 29일(목)부터 3월6일(수)까지 서울역 3층 대합실에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화전을 연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대한민국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기리기 위한 목적이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헌신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삶과 업적을 널리 알리고, 그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시화전에 전시되는 시화작품들은 여성독립운동가의 삶을 재조명하고 기록하며 헌시를 써온 이윤옥 시인의 시에 한국화 화가 이무성 화백의 그림을 넣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 <암살>에서 독립운동가 저격수 ‘안옥윤’의 모티브가 된 남자현 열사 등 모두 40여 점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장은 서울역 3층 대합실에 마련될 예정이며, 시민 누구나 오고 가며 관람이 가능할 수 있다. 남궁선 서울지방보훈청장은 “3.1절을 맞아 독립운동에 관한 관심을 드높이고,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쳐 투쟁한 여성독립운동가를 기억하고자 전시를 개최하게 되었다”라고 밝히며 “국민이 이번 전시관람을 통해 여성독립운동가의 희생을 기억하고 독립을 향한 의지를 공감하길 원한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삼일절을 맞이해 일제강점기 때 작성한 일기자료와 함께 그 속에 담긴 기미년 만세운동의 기록들을 재조명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020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국학진흥 청년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하면서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저술 번역’ 성과를 빠른 속도로 축적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번역 성과들을 집대성해 디지털화함으로써 독립운동의 역사를 다각도에서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류영희일기》, 《흑산일록》 등 일기에서 찾은 기미년 만세운동의 기록 안동의 전주류씨 함벽당종가에서 맡긴 《류영희일기》는 농포(農圃) 류영희(柳泳熙, 1890~1960)가 1909년부터 1960년까지 50여 년 동안 작성한 일기다. 류영희는 해마다 일기의 제목을 다르게 붙였는데, 1919년의 일기는 ‘우성록(寓省錄’)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진다. 2월부터 3월, 4월까지 서울과 평양의 만세운동 소식과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을 여러 경로로 전해 듣고 기록하고 있다. 손에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며 ‘우리는 독립대한의 사람이다.’라고 부르짖는 모습과 혈서의 독립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는 모습, 일제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수원시청 맞은편 올림픽공원에는 한 독립운동가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수원 출신 독립운동가 필동(必東) 임면수(林冕洙, 1874~1930) 선생이다. 동상 옆에 임면수 선생의 삶을 소개하는 안내판이 있다. “근대 수원을 대표하는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대한제국기 삼일학교를 설립하고 국채보상운동 등 수원지역 애국계몽운동을 이끌었다… 신흥무관학교 분교인 양성중학교 교장으로 독립군을 양성하고 부민단 결사대로 독립항쟁의 최전선에서 싸웠다…” 임면수 선생은 독립군을 양성한 독립운동가이자 수원의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운동을 위해 전 재산을 희사한 애국계몽운동가였다. 또 인재 양성을 위해 수원에 삼일학교를 설립한 교육자였다. 제105돌 삼일절을 맞아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수원 출신 독립운동가 임면수 선생의 삶을 소개한다. 올해 탄생 150돌을 맞은 임면수는 1874년 6월 10일 수원군 수원면 북수리(현 북수동)에서 태어났다. 북수동 팔부자 거리의 한 집이었을 정도로 부유한 가정이었다. 1892년 전현석(1871~1932) 여사와 혼인했다. 임면수가 만주에서 독립운동할 때 전현석 여사는 다친 독립군을 치료해 주고, 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조국독립을 위한 무장투쟁 단체인 정의부 설립 100돌을 맞아 정의부에 소속되어 만주에서 무장 독립투쟁을 펼친 김창환(1963년 독립장), 이진산(2014년 독립장), 윤덕보(1995년 독립장), 김원식(1968년 독립장) 선생을 <2024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라고 밝혔다. 1919년부터 만주에서는 많은 독립운동단체가 일제에 무장투쟁으로 저항하였다. 이에 일제는 1920년 경신참변을 자행했고, 불안정했던 재만 한인사회는 독립운동 전선 복구를 위해 8개 단체가 모여 1924년 정의부를 설립하였다. 경기도 광주 출생인 김창환(1872년) 선생은 대한제국 육군으로 복무하다 일제에 의해 국권을 빼앗기자, 비밀결사 단체인 신민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대한통의부에서는 의용군 사령장으로 근무하면서 대한제국 육군 출신으로서의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으며, 정의부에서는 재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당시, 한국독립군 부사령으로 일제와의 전투에서 전과를 올렸으며, 이후 조선민족혁명당에서 주요 간부로 활동하다가 중국 남경에서 세상을 떴다. 경상북도 의성 출생의 이진산(1880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14일) 낮 12시, 서울 서대문에 있는 순국선열유족회(회장 이동일) 강당에서는 아주 조촐한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이날의 주인공은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디플랜네트워크 출판)》라는 책을 쓴 석주 이상룡(石洲 李相龍 1858-1932) 선생의 증손자인 이항증 씨였다. 밖의 날씨는 다소 풀렸지만, 출판기념회가 열리는 지하 강당은 온기가 없이 축하하러 온 삼십여 명의 어르신들의 체온으로 지탱했다. 요즘은 별 의미 없는 책 한 권을 내도 화려한 호텔이나 그럴싸한 기념관을 빌려 호화판 출판기념회를 하는 세상인 것에 견주면 대한민국 초대 국무령(대통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 증손자 출판기념회 치고는 소박하다 못해 다소 쓸쓸한 분위기였다. 그러나 열기만큼은 어떤 출판기념회 못지않은 뜨거웠다. “경북 안동에 있는 <임청각(臨淸閣)>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500년이 된 고성 이씨의 종택이다. 이곳은 임시정부 수반이었던 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선생의 형제와 아들 손자 등 독립운동가 11명을 배출하는 등 4대에 걸쳐서 독립운동을 한독립운동의 산실이다. 어찌 이뿐인가. 사위와 처가 쪽에서도 40여 명의 독립운동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지익표 애국지사가 11일(일), 향년 98살로 세상을 떴다고 밝혔다. 지익표 지사는 1942년 전남 여수공립수산학교 재학 중 독서회를 조직하여 민족정신을 드높이고, 조선인을 모욕하는 일본 교사들에게 항의하며 징병거부 투쟁을 벌이다 치안유지법 등 위반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기소유예처분을 받은 바 있다. 정부는 이와 같은 공로를 인정하여 지익표 지사에게 2019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했다. 지익표 지사는 노환으로 서울 혜민병원에 입원 중이던 11일(일) 새벽 0시33분 병세가 악화되어 임종을 맞았으며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7호실(12~13일은 14호실)에 빈소가 마련됐다. 고인은 14일(수) 아침 6시 45분 발인한 뒤 국립서울현충원 충혼당에 안장될 예정이다. 지익표 지사가 세상을 뜸에 따라 생존 애국지사는 6명(국내 5명, 나라 밖 1명)만 남게 되었다. 국가보훈부는 고 지익표 지사와 그 유족에게 국민적 예우와 추모를 위해 안장일인 오는 14일(수), 세종 본부는 물론 전국 지방보훈관서와 국립묘지, 소속 공공기관과 보훈단체에 조기를 게양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국가보훈부에서 선정한 ‘2024년 이달의 독립운동가’를 국민과 함께 기억하고자 특별 전시를 연다. ‘이달의 독립운동가’는 국가보훈부에서 해마다 각 월별 독립운동가를 선정하여 국민에게 알리는 사업이다. 2024년 현재까지 501명(여성 51명, 외국인 21명, 중복 포함)을 선정하여 기획전시, 추모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세계 속의 한국독립운동”을 주제로 세계 각지에서 활동한 38명의 독립운동가를 소개한다. 2023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는 " 초지일관 열혈 독립운동에 헌신한 부부독립운동가, 문일민․안혜순 선생" 이었다. 이들은 1920~30년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시정부 또는 임정) 및 의열투쟁 계열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어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달의 독립운동가는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https://e-gonghun.mpva.go.kr) 이달의 독립운동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시안내> 기간 : 1월1일~ 12월 31일 장소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12옥사 주최, 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국가보훈부, 광복회 문의 : 02-360-8590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머님(오희옥 애국지사)은 3주 전, CT촬영시 팔이 골절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긴급히 깁스를 해야하는 위급한 상황에 놓여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지금은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다만 호전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오희옥 지사님의 아들 김흥태 선생은 이렇게 최근 어머님의 근황을 전했다. 노환에 그러잖아도 기력이 쇠해가는 판에 골절까지 생겨 고생하고 계시는 어머님의 상태를 지켜봐야 하는 가족들의 안타까움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생존해 계시는 유일한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께서 병원 생활을 한 지 올해로 어언 만 5년을 넘기고 이제 다시 새해를 앞둔 지금, 어제(11일)는 모처럼 병원을 찾은 반가운 사람들이 있었다. 오희옥 지사께서 입원 중인 서울중앙보훈병원을 찾은 사람들은 경기도 용인의 영문중학교 강연수 교사와 학생들이다. 이들은 손수 오희옥 지사께 드릴 목공예품 선물 ‘뒤주’와 아름다운 꽃 그리고 호두과자와 정성스런 편지를 써 가지고 와서 오희옥 지사의 쾌유를 빌었다. 코로나19가 해제되긴 했어도 병실 면회는 여전히 금지되어 있는 가운데, 병문안 온 학생들은 오희옥 지사께서 입원해 있는 병실에는 들어가지 못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평생을 함께하며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부부 독립운동가 문일민(1962년 독립장), 안혜순(2019년 건국포장) 선생을 〈2023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라고 밝혔다. 삶의 동반자이자 부부 모두가 독립운동에 투신해 고난을 함께하며, 가정뿐만 아니라 나라를 되찾기 위한 항일운동을 지속해서 펼친 부부독립운동가들의 굳센 의지와 헌신은 조국 광복을 이뤄낸 귀중한 토대였다. 또한, 부부 가운데 여성독립운동가는 남편과 함께 의열투쟁에 가담하거나 광복군 대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임시정부에서는 지도자와 독립운동가들을 살피는 한편, 때로는 남성들과 함께 총을 드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평안남도 출생의 문일민(1894년) 선생은 1919년 3ㆍ1만세운동 당시 만세 시위에 참가한 뒤 그해 7월, 남만주 서간도 지역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후 남만주 독립운동 단체인 한족회에 가입, 평양에 잠입하여 애국청년회의 연락기능과 조직을 강화하고 만주로 복귀했다. 선생은 1919년 대한청년단연합회에 가입하여 별동대 회원으로 활동했다. 아울러 당시 광복군총영에서 서울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