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이 그림 <감귤봉진(柑橘封進)>은 1702년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제주에서 이루어진 감귤 진상을 그린 장면입니다. 특히 진상용 감귤을 가려 뽑고 포장하기 위한 여러 작업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포장 작업은 제주목 관아 망경루(望京樓) 앞에서 차일을 드리우고 진행되었지요. 머리를 틀어 올린 여인들이 바구니에 감귤을 담고 붉은색 물감의 작은 점으로 표현된 감귤이 바구니에 가득 차 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진상용으로 가려 뽑은 것은 당금귤(唐) 678개, 감자(柑子) 25,842개, 금귤(金) 900개, 유감(乳) 2,644개, 동정귤(洞庭) 2,804개, 당유자(唐柚子) 4,010개 등으로 감귤 종류만 해도 무려 12가지나 됩니다. 제주에서 보내진 감귤은 성균관 사학 유생들의 사기를 높이고 학문을 권장하기 위해 그들에게 일부를 나누어주면서 과거가 시행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황감제(黃監制)'라는 과거 시험이지요. 조선시대 제주에 살거나 제주에 유배가 된 경우가 아니라면 거의가 진상품을 하사받아서야 감귤을 접했습니다. 감귤은 임금이 내려주는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에 감귤 진상 장면은 임금에 향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맛 좋고 먹기 편한 우리 만감류 품종이 소비자는 물론 농가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만감류는 만다린과 오렌지를 교배한 감귤로, 그동안에는 ‘부지화(한라봉)’, ‘감평(레드향)’, ‘세토카(천혜향)’ 위주였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윈터프린스’와 ‘미래향’은 12월부터 수확할 수 있어 연내에 수확, 유통하는 감귤 종류를 다양화하는 데 보탬이 되고 있다. 2020년 품종 등록한 ‘윈터프린스’는 껍질을 벗기기 힘든 기존 만감류와 달리 열매가 성숙하면서 과육과 껍질이 점차 분리되는 특징이 있어 어린아이들도 쉽게 껍질을 까서 먹을 수 있다. 과즙이 풍부하고 과육이 부드러우며 당도(12브릭스)와 산도(1%)가 조화로워 온라인 시장에서는 ‘환타맛 귤’로 유통 중이다. 현재(2024년) 재배 면적은 77.6헥타르에 이르며, 올겨울에는 200톤가량이 유통될 것으로 추정한다. 2024년 품종 등록을 마치고 소량 유통을 시작한 ‘미래향’도 ‘윈터프린스’처럼 껍질 벗김이 쉽고 새콤달콤(당도 12브릭스, 산도 1.0%)한 맛에 과육이 부드러워 기대를 모으고 있다. ‘미래향’은 겨울 현장 평가회에서 같은 시기 생산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