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지난해 자체 제작 공연으로 관객과 평단의 뜨거운 호응을 얻은 무용작품 <상선약수(上善若水)>를 오는 6월 27일(목)과 28일(금) 이틀 동안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다시 올린다. <상선약수>는 민속춤의 본질에 다가가는 깊이 있는 해석과 절제된 무대 구성으로 주목을 받은 작품으로, 이번 재공연은 초연 이후 이어진 관객 반응과 내부 평가를 바탕으로 마련되었다.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전통춤을 토대로 새로운 형식과 표현을 시도하며 쌓아온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성숙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민속춤의 경계를 허물고 본질을 향해 흐르다 <상선약수>는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기존의 재현 중심의 전통춤에서 나아가 창의적인 해석을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작품이다. 의식무용인 ‘일무’를 시작으로 궁중정재, 민속춤, 연희 등 한국 전통춤의 다양한 흐름이 한 무대 안에서 구성되며, 그 안에서 각 장르의 고유성과 상호 호응을 탐색한다. 음악은 궁중음악인 수제천과 대취타를 비롯해 사물놀이, 국악관현악 등 전통과 창작을 아우르며 장르 간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든다. 춤과 음악,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오는 12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사흘 동안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송년공연 ‘나례(儺禮)’(연출 박동우)를 선보인다. ‘나례’는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그믐날 밤 궁중과 관아, 민간에서 묵은해의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태평한 새해를 맞이하고자 고려부터 조선까지 700여 년간 행해졌던 의식이다. 궁중에서 펼쳐진 ‘나례’는 궁중 예인을 비롯해 민간의 으뜸 광대들이 함께한 잔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난장(亂場)의 날에는 사관도 입시(入侍)하였으나 기록하지는 않았다.”라고 할 만큼 자유로운 날이었으며, 연화대무, 학연화대처용무합설 말고도 민간에서 유행했던 각종 공연을 펼쳤다. 궁중 나례는 계급 간, 계층 간 벽을 허문 왕실의 연말 문화이자 새해맞이 의식이었던 것이다. 국립국악원은 이러한 궁중 나례의 의미를 담아 송년공연 ‘나례’를 무대에 올린다. 송년공연 ‘나례’는 2022년 무용단 정기공연으로 펼쳐진 ‘신 궁중나례’를 기본으로, 재담꾼과 가상의 역신을 등장시켜 나례의 연행 모습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본래 궁중나례의 절차는 연향을 비롯해 각종 놀이에 참여하고 공연을 관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