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물결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드넓은 바닷가 갯벌에 물이 빠져나간 뒤 남은 얕은 물결 자국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잔잔한 큰못(호수) 위로 바람이 스칠 때 겹겹이 이는 잔물결은요? 어느 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마치 그 물결 모양을 그대로 본떠 하늘에 펼쳐 놓은 듯한 구름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아름다운 하늘의 무늬, '물결구름'입니다. '물결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물결의 모양을 닮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얇은 구름 조각들이 위아래로 겹쳐지거나 나란히 이어지면서 하늘 가득 잔잔한 물결이나 비늘 같은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물결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고적운이나 층적운의 하나.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 이어져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서 이어진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물결 모양'으로 '겹쳐 이어져 있다'는 점을 짚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적운(高積雲)'이나 '층적운(層積雲)' 같은 한자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지요? 이는 하늘의 높이나 구름의 생김새에 따라 구름을 나누어 부르는 이름입니다. '고적운'은 '높쌘구름'이나 '높은 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