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과 조계종 제25교구본사 봉선사(주지 호산스님)는 제55주년 지구의 날을 맞아 4월 22일(화) 광릉숲에서 소등 행사를 함께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내 으뜸 산림생물 연구기관으로서 산림생물종을 보존하는데 앞장서는 국립수목원과 한글역경화 도량이자 부처님의 가르치심을 산사 자체로 펼쳐 보이는 교구본사 봉선사는 오랫동안 광릉숲을 함께 지켜 온 이웃 사이이다. 두 이웃은 지구의 날을 맞아 바쁜 일상을 잠시 멈추고, 천혜 자연의 보고인 광릉숲을 돌보면서 자신의 내면도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캠페인은 낮 1시부터 2시까지 1시간 동안 소등하여 지구와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고자 한다. 소등은 전등뿐 아니라 작업중인 컴퓨터 및 기타 기기들도 모두 해당된다. 소등 행사 시간 동안 국립수목원의 직원들은 각자 재사용백을 지참하여 광릉숲의 환경정화도 실시할 예정이다. 소등을 통해 전력 소비도 잠시 멈추고, 따뜻한 봄을 맞이하여 광릉숲을 방문하는 국민에게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국립수목원 임영석 원장은 “오랜 이웃인 국립수목원과 봉선사가 광릉숲의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현판은 참 매력적인 소재다. 건축물의 이름을 써 놓는 현판에는 건축물의 주인이나 당대 사람들이 지향했던 이상향과 가치관이 응축되어 있다. 그들이 지향한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창도 되거니와, 글씨도 훌륭하여 예술 작품으로도 손색이 없다. 한문학 전공자인 박진형이 쓴 이 책, 《멈추면 보이는 한 줄의 역사, 현판》은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현판 15개를 역사적 이야기를 곁들여 풀어낸 책이다. 지은이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이야기를 모으고, 한문으로 된 많은 문헌을 해석하여 풍부한 설명을 곁들였다. 책에 소개된 현판은 서원에 임금이 써서 내린 어필 현판부터 한옥으로 된 성당에 걸린 현판, 송시열과 같은 대학자가 쓴 현판, 종갓집에 걸린 현판 등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그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현판 두 개는 순천 선암사에 걸린 ‘대복전(大福田)’ 현판과 남양주 봉선사에 있는 대웅전 첫 한글 현판, ‘큰법당’이다. 전남 순천의 선암사에 있는 ‘대복전(大福田)’ 현판은 순조가 직접 쓴 것이다. 순조의 탄생은 무척 특별했다. 정조가 문효세자를 병으로 잃고 후사를 근심하다가, 특별히 절에 세자 탄생 기도를 부탁해 천신만고 끝에 얻은 아들이기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7월이 되면 여름의 한복판으로 접어들어 신록이 가장 무성하다. 이때가 되면 열대지방에서 온 연꽃이 제철을 만나 아름답게 꽃피는 계절이다. 연꽃은 불교에서는 진리의 상징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꽃이다. 연꽃은 뿌리는 더러운 진흙속에서 자라지만, 잎과 꽃은 물밖에서 피어나면서도 물에 젖지 않는다. 이것은 더러운 세상속에서 살아가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항상 맑은 본성을 가지고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하는 삶을 살아가라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연꽃은 일반 꽃과는 달리 꽃과 함께 열매가 동시에 맺혀 깨달음과 중생구제는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으로 그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연꽃은 우주의 창조와 생성의 의미를 지닌 꽃으로 여겨 옛부터 불교에서는 서방정토에 다시 태어날 때 연꽃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뜻으로 연화화생(蓮華花生)하기를 염원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부처님이 앉아있는 좌대를 대부분 연화좌대로 만들어 꾸미기도 한다. 이처럼 불교의 꽃인 연꽃은 여름이면 모든 절에서 볼 수 있도록 심어두는데 특히 서울 경기지역에서 가장 화려하게 연못을 잘 가꾼 절로는 남양주시 봉선사가 있다. 봉선사는 광릉(조선 세조의 능) 바로 옆에 있어서,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