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예조에서 아뢰기를, "중국어를 배우는 것은 큰 나라를 대하는 데 있어 먼저 처리해야 할 요긴한 일지만 책이 드물어 학자가 쉽게 얻어 보지 못하니, 청컨대 우선 《박통사(朴通事)》와 《노걸대(老乞大)》를 각각 1벌씩 황해도와 강원도에 나누어 보내어 판각하게 하고, 교서관(校書館)에 보내어 찍어서 널리 반포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이는 《세조실록》 세조 4년(1458년) 1월 19일 기록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외교관의 한 사람인 역관이 있어서 외국과 교역하고 소통했습니다. 그리고 외국어 전문 교육기관인 사역원(司譯院)에서는 4대 외국어인 중국어, 몽골어, 만주어, 일본어를 가르쳤고 외국어 학습교재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세조 4년 당시 외국어를 가르치는 책이 드물어 이에 대한 대책을 낸 모양입니다. 조선시대 중국어 교재는 《노걸대(老乞大)》와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가 있고, 일본어는 《첩해신어(捷解新語)》, 몽골어는 《첩해몽어(捷解蒙語)》,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등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노걸대의 ‘노’는 우리말의 ‘씨’, 영어로 하면 ‘미스터’쯤 되는 말이고 ‘걸대’는 몽골인이 중국인을 가리킬 때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외교관. 참 많은 것을 떠올리게 하는 직업이다. 낯선 문물에 대한 기대와 설렘이 교차하다가도 한순간에 무거운 나라의 운명을 짊어져야 하는, 멋지고도 위험한 자리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고, 명예와 굴욕이 교차하는 삶이다. 지금이야 전문적인 외교 교육을 받은 직업 외교관이 있지만, 옛날에는 문무대신이 외교관 역할을 겸했다. 일반적인 공무를 보다가 사신이 올 때 영접하거나 타국에 사신으로 가는 방식이었다. 사신으로 잘못 갔다가 죽을 수도 있었다. 전쟁을 결심할 때 사신을 본보기로 처형하기도 하고, 옥에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기도 했다. 게다가 사신을 어떻게 영접하느냐에 따라 중요한 국가적 문제가 결정되기도 했으니,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최은영 쓴 이 책, 《역사를 바꾼 우리나라 외교관들》은 이런 압박감을 뚫고 훌륭하게 국익을 지켜낸 우리나라 외교관들의 이야기다. 흔히 훌륭한 외교관의 대명사로 알려진 고려시대 서희와 오늘날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뿐만 아니라, 김지남, 조엄, 홍영식 등 많이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인물들이 눈길을 끈다. 그 가운데 통역을 담당하던 역관 신분으로 조선의 국경을 지켜내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한 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부산박물관은 5월 12일부터 7월 9일까지 59일 동안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2023년도 특별기획전 「조선의 외교관, 역관」을 열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역관(譯官)을 중국과의 사대(事大), 왜ㆍ몽골ㆍ여진과의 교린(交隣) 등 외교에서 주로 통역의 임무를 맡았던 관직이라고 풀이하면서 역어지인(譯語之人)ㆍ역어인(譯語人)ㆍ역인(譯人)ㆍ역학인(譯學人)ㆍ역자(譯者)ㆍ설인(舌人)ㆍ설자(舌者)ㆍ상서(象胥)로도 불리었다고 기술했다. 그렇다면 역관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종요로운 일을 했던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 박물관들은 여기에 눈길을 주지 않아 역관만을 다루는 전시회를 연 적이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부산박물관이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특별기획전 「조선의 외교관, 역관」을 기획했고, 조선 사신단의 행차 속에서 역관의 외교적 역할과 그들의 활동이 조선 사회에 미친 다양한 이야기들을 150여 점의 유물을 통해 선보이고 있다. 특히 부산의 역사성 그리고 정체성과 연결되는 왜관 이야기, 동래(부산) 현지의 역관인 소통사(小通事)의 활약 등 관련 자료도 한자리에 모았다. 역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