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인슈타인은 이야기합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은 마치 나를 향해 던진 화살처럼 느껴집니다. 아침마다 똑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과연 다른 미래를 꿈꿀 자격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지요. 어쩌면 우린 어제와 조금씩 다른 오늘을 살고 있다고 착각하는지도 모릅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의 하루는 대부분 똑같은 유형으로 반복되고 있지요. 출근, 근무, 퇴근 뒤의 피로감까지도 어제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내일은 더 나은 날이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어제와 똑같은 삶을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다른 미래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의 현재를 바꿔야 하지요.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지만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날마다 아침 더 일찍 일어나 책을 읽거나, 새로운 운동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EBS(사장 김유열)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지역문화진흥원(원장 정광렬)이 함게 기획한 ‘청춘1장 - 어쩌면 우리의 이야기’(이하 청춘1장)의 세 번째 이야기 ‘창작 국악 그룹 - 창작 아티스트 오늘’ 편이 12월 21일(토) 낮 2시 10분에 EBS 1TV에서 방송된다. ‘청춘1장’은 청년 예술가들에게 공연의 기회를 제공하고, 일상 속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9년째 운영되고 있는 ‘문화가 있는 날 청춘 마이크’ 사업의 하나로, 전국 각지에서 활동 중인 청년 예술가들이 전문 예술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선보임 공연을 진행하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청년 예술가들에게 방송 선보임 무대를 제공, 대중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발판과 팬덤 구축의 기회를 마련해주기 위해 기획됐다. 국악과 대중음악 사이에서 방황하던 ‘오늘’, 지도자 윤상에게 얻은 해답은? ‘청춘1장’의 세 번째 주인공 ‘창작 국악 그룹-창작 아티스트 오늘’(이하 오늘)은 부드러운 카리스마의 이끔이자 피아노를 맡고 있는 김성은, 진지하면서도 섬세한 성격의 판소리 담당 양혜원, 팀의 분위기를 이끄는 사람이자 경기민요 담당 조은주, 과묵한 막내이자 청일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