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배영호)은 오는 6월 10일(화)부터 14일(토)까지 지역명인 특별공연 ‘살아있는 시간, 길 위의 명인’을 연다. 이번 공연은 국악진흥법 시행과 ‘제1회 국악의 날’을 기려 국악주간에 진행되는 뜻깊은 무대로, 전국 각지의 전통공연예술 명인들이 서울로 초청돼 동대문 가까이 있는 전통공연창작마루 광무대에서 공연을 펼친다. 각 지역에서 세대를 이어 예술의 맥을 지켜온 지역의 명인들이 출연해 향토성 짙은 전통예술의 깊이와 감동을 관객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평소 서울에서 접하기 어려운 일노래나 민속예술을 만나볼 수 있어 의미를 더한다. 1일 차는 이북 5도의 무형유산을 주제로 한 무대로, 퉁소신아우보존회 동선본 회장과 은율탈춤 보유자 박일흥 명인이 출연한다. 퉁소와 탈춤을 통해 북녘의 숨결을 되살리며 소리와 몸짓으로 ‘이북의 숨소리’를 그려낼 예정이다. 2일 차는 ‘영남연희’로, 금회의 외북과 무을의 양북을 만나는 무대가 펼쳐진다. 구미무을농악의 박정철 명인, 금회북춤의 배관호 명인이 출연해 영남 북춤의 진수를 선보인다. 3일 차는 바다와 들판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 노동요의 무대가 펼쳐진다. 진도 조도닻배노래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민속악단(예술감독 유지숙) 정기공연으로 <일노래, 삶의 노래>를 오는 5월 23일(목)과 24일(금) 이틀 동안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인다. 삶의 현장 어디서나 불리던 토속민요 중 일노래와 관련된 소리를 중심으로 엮어 구성한 무대다. 노래 부르기를 매우 좋아하는 우리 겨레는 고된 노동의 현장뿐 아니라 슬플 때나 기쁠 때, 삶의 현장 어디서나 노래를 불렀다. 노래에는 정서적 치유와 공동체정신을 북돋우는 힘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전국 곳곳에 많은 토속민요가 흩어져 있었으나 사회환경의 변화로 대부분 사라지거나 잊혀버렸고, 그 자리는 대중음악이 대신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때에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토속민요에 숨겨진 값어치를 찾아내고 다듬어서 보석처럼 빛나는 공연작품으로 재탄생시켜 이번 무대를 꾸민다. 삶의 터전인 산과 들, 바다에서 울려 퍼진 보통 사람들의 일노래와 아이들의 유희요, 아낙네들의 시집살이 설움을 달래던 소리를 한 자리서 들을 수 있다. 논과 밭, 바다에서 부르던 일노래, 삶의 고비 고비를 넘던 삶의 노래 한 해 농사의 시작과 풍년을 기원하는 축원의 소리인 고축(告祝)으로 시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