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어느덧 초여름이다. 녹음이 슬슬 짙어지는 계절, 전등사 경내를 장식하고 있는 검붉은 작약꽃이 카메라를 든 작가들을 유혹한다. 작약은 한방에서 귀한 약재로 쓰기도 하지만, 5월 말이면 화사하게 피어난 꽃송이가 청순한 듯 맑고 깨끗하면서도 정열적으로 느껴져 많은 사람들로 부터 사랑받는 꽃이다. 작약꽃은 노란 수술을 둘러싼 큼지막한 꽃잎이 매혹적인데 색깔은 검붉은 자색, 알록달록한 색, 흰색 등이 있다. 원래는 꽃술 주변에 한겹으로 꽃잎이 피어나지만 요즈음에는 개량종이 나와 겹꽃들도 많이 눈에 띈다. 강화도 전등사는 고구려시대에 창건한 절로 마니산 남쪽에 있으며 군사유적으로 정족산성이 있는 안쪽에 자리하고 있다. 강화 정족산성의 남문은 전등사의 출입문이기도 하며 정족산성은 단군의 아들이 쌓은 성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초여름을 알리는 아름다운 전등사의 정열적인 검붉은 작약꽃을 보면서 새시대 새정치를 기대해본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강화도 마니산 아래에 자리잡은 천년고찰 전등사는 고구려시대부터 있었던 유서깊은 절이다. 전등사는 마니산 정족산성 안에 있는데, 정족산성은 단군의 세아들들이 지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그런 연유로 '삼랑산성'이라고도 불린다. 유서깊은 마니산 전등사에 지난 설날(29일) 내린 눈이 소담스럽게 쌓여 고요한 산사를 포근하게 감싸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