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보다 더 재밌는 우리 땅ㆍ인물ㆍ역사 이야기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소설. 말 그대로 ‘작은 이야기’라는 뜻이다. ‘소설’이라 하면 무언가 긴 호흡의 이야기를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이 책에서 다루는 ‘소설’은 보통 10분 이내로 할 수 있는, 원고지로 따지면 10매 안팎의 짧은 이야기다. 지은이 조용헌은 재야의 기인과 고수들을 두루 만나 천문, 지리, 인사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며 한국 고유의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다. <조선일보>에 ‘조용헌 살롱’을 인기리에 연재하고 있고, 동양철학을 재미있게 풀어내는 작가로 이름이 높다. 이 책, 《조용헌의 소설》은 짧은 이야기 261편을 두 권으로 나누어 전달한다. 조선일보에 연재된 칼럼을 기반으로 구성했고, 10분 이내로 충분히 할 만한 ‘작은 이야기’ 가운데 세간의 여론, 재미, 정보를 두루 담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 가운데 눈길을 끄는 이야기 세 편이 있다. 첫째는 ‘푸레독’ 이야기다. 검으면서 푸르스름한, 신비로운 색감을 자랑하는 푸레독은 유약을 바르지 않은 옹기다. 코팅 효과를 내는 유약을 쓰지 않고 1,200도 온도에서 굵은소금을 넣는다. 솔가지를 태우면서 발생한 연기가 그릇으로 침투해 검으면서 푸르스름한 색깔을 빚어낸다. 푸레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