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만고영웅 호걸들아 초한 승부(楚漢勝負) 들어보소. 절인지용(絶人之勇) 부질없고 순민심이 으뜸이라”로 시작하는 서도 좌창, 초한가(楚漢歌>는 초(楚)패왕 항우와 한(漢)패공, 유방(劉邦)의 전쟁 이야기이다. 이 싸움에서 항우가 패하고, 유방이 이긴 내용을 서도특유의 창법으로 부르는 노래가 바로 초한가인데, 그 첫대목의“절인지용 부질없고 순민심이 으뜸”이라는 말이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다, 곧 남이 따를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용기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백성들 마음에 순응하는 순민심(順民心)이 더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어서 더더욱 감동적이다. 상대의 마음에 순응하여 그들의 마음을 얻는 일, 그 일이 어찌 전쟁이나 정치에만 한정되는 말일까? 우리의 일상에서도 수없이 확인되는 대상이 분명하다. 다시 말해 아주 사소한 일이라도 매사가 상대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나와 그가 진정으로 통하는 길은 없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지난번 인천에서 개최된 2025년도 <유춘랑 서도소리 발표회> 무대에서 그의 선창(先唱)으로 시작한 서도좌창, <초한가(楚漢歌>는 초와 한나라의 싸움을 주제로 부르는 노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창(唱)이란 목소리의 울림으로 시작되지만, 부르는 이의 마음가짐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그래서 갑(甲)이 부르면 공감이 크나, 을(乙)이 부르면 그렇지 않은 현상을 보이는 것도 창자(唱者)의 마음가짐에 따라 다양한 소리 색깔이 나타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인천소재 무형유산 전수교육관 <풍류관>에서 첫 발표회를 열게 된 유춘랑은 어려서부터 가족들이 불러주는 서도의 소리들을 들으며 자라났다고 했다. 그만큼 환경적 영향은 누구에게나 중요하다는 점을 입증하고 있다. 우리 어린이들에게 어려서부터 좋은 음악을 들려주어야 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당위의 이유가 여기에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유춘랑이 그가 지도해 온 제자들과 함께, 그리고 찬조 출연자들과 함께 무대]에 올린 주요 곡목들은 서도좌창, <초한가(楚漢歌>를 비롯해서 <초로인생(草露人生)>, <봉황곡(鳳凰曲)>, <전장가(戰場歌)>, <공명가(孔明歌)>, <장한몽(長恨夢)>, <영변가>, <연지도 가무> <맹꽁이타령&g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부산의 경서도 소리꾼, 하인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지난해 상주(尙州) <전국민요경창대회>에 출전, 대상(대통령상)에 올랐다는 이야기, 여러 사람 앞에서 소리를 하거나, 발표회, 경연대회를 치를 때에는 누구나 긴장하게 마련이어서 실력 발휘가 어려운 법인데, 연습과정이 탄탄하여 무난히 목표점에 도달했으며 명창의 반열에 올랐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그가 부른 곡명들은 수심가 토리인 <공명가-孔明歌>, <초한가-楚漢歌>, 그리고 <산(山)염불>이었다. <경 토리>를 비롯하여 <수심가>, <육자배기>, <메나리> 등등, 각각의 소리제에는 오랜 세월을 그 지역에서 살아 온 토착민들의 감정이 녹아 있기에 기쁨과 슬픔의 대조적인 표현 등이 노래 속에 자연스럽게 묻어 나오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서도지방의 수심가토리가 어떻게 남쪽에서 확산이 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 궁굼하다. 서도소리의 특징적인 선율형이나 창법, 또는 다양한 표현법 등이 독특하여 명창들의 소리를 통해, 또는 음반을 통해 호감이 가게 되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