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 열풍에 한국은 물론 온 세계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그에 더하여 ‘케데헌’을 만든 매기 강(한국 이름 강민지) 감독이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을 만나고 기자회견을 열면서 언론은 ‘케데헌’ 기사로 도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자회견에서 밝힌 후속작에 관한 생각을 언론들은 일제히 "후속편 구체적 계획 없지만...트로트 알리고 싶어"(스포츠조선), “한국의 트로트 알리고파”(문화일보), "후속편 기대 알고 있어, 트로트도 보여주고 싶다"(YTN), “다음 작품은 'K-트로트'?”(JTBC)이라는 제목을 달아 매기 강 감독이 후속작을 트로트로 정한 것인 양 보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기자들의 얕은 생각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른 언론사의 기사를 보면 "K-POP 다음은 K-트로트ㆍ헤비메탈?!"(스포츠한국)이라고 하여 마치 이어서 보여주어야 할 우리 전통음악이 트로트나 헤비메탈인 것처럼 얘기하기도 합니다. 실제 우리 전통을 잇는 음악은 판소리나 민요, 정가 등인데도 이를 기자들은 애써 외면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실제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11월 22일) 낮 2시 국회 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정동영ㆍ양문석ㆍ김용만ㆍ김준혁 의원이 주최하고 ‘국가만들기 시민모임’, ‘시민모임 독립’ 주관으로 “한일관계 다시본다. 정치ㆍ문화 그리고 역사”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주제발표로는 1. “한미일 군사동맹 - 전쟁으로의 초대장 : 신한일공동선언”을 제목으로 서울대 남기정 교수가 발제하고 전남대 진활민 교수가 토론자로 나섰고, 2. “친일파의 명예회복(?) - 에키타이안(안익태) 사례”를 주제로 한신대 이해영 교수가 발제하고, 민족문제연구소 김순흥 광주지역위원장이 토론을 맡았으며, 3. “한일문화관계의 재조명: 엔카와 트로트, 그 탄생과 음악적 연관성”을 제목으로 한국음악연구소 강태구 연구원이 주제발표를 하고, 문화평론가 김태균 한국음악학 박사가 토론했다. 또 네 번째는 ‘한일 역사문제의 신쟁점’ 가운데 “뉴라이트 역시관”에 관해 이준식 전 독립기념관장이 발제를,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기획실장이 토론하고,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론 기반과 인적 계보”는 전 서울과기대 이재윤 강사가 발제를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유승경 수석연구위원이 토론을 맡아 4시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요즘 트로트가 대세다. 텔레비전 채널을 돌리면, 트로트 가수들의 노래를 쉽게 들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예능에서도 그들의 활약은 대단하다. 이 가운데 눈에 띄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국악인들이다. 국악을 전공한 국악인들이 남녀세대 불문하고 활동하고 있다. 가수 송가인은 TV조선 미스트롯에서 진으로 우승하며 트로트 열풍을 일으킨 사람 가운데 두드러진다. 그녀는 한복 홍보대사와 한국 문화재 재단 홍보대사를 자청하여 맡았고, 서울 청계광장에 나가 국악 교육을 지켜달라며, 현재 초ㆍ중ㆍ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악이 소멸할 수 있다는 우려에 공개 호소를 하기도 하였다. 그녀는 한 인터뷰에서 “전통을 모르고서 어떻게 자기 뿌리를 알겠어요?” 이렇게 되물었는데 송가인은 전통국악인 가족이기도 하다. 어머니 송순단 명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전승교육사이고, 둘째 오빠 조성재는 국악팀 우리 소리 바라지에서 아쟁을 연주한다. 송가인도 광주예술고 국악과를 거쳐 중앙대 전통예술학부를 졸업한 국악인이다. 그녀는 “국악은 내 기초이자 뿌리”라며 “국악을 전공한 덕에 한 서린 목소리를 잘 표현할 수 있었다”라고 말한 적 있다. 가수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