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끔하다'는 무슨 뜻일까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 어제보다 바람이 더 세게 불어서 햇볕도 덜 뜨겁다는 느낌이 들어 좋습니다. 하늘에는 구름 하나 없어서 아침 해라고는 하지만 뜨겁지는 않은데 말입니다. 이렇게 해껏 바람이 불어 주면 좋겠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해끔하다'입니다. 이 말을 듣거나 보신 적이 있으실까요? 말꽃 지음몬(문학 작품)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말이고 나날살이에서도 더러 쓰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보신 분들이 계시지 싶습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조금 하얗고 깨끗하다'라고 풀이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사물이나 그 빛이)곱고 조금 희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풀이를 보더라도 '해끔하다'는 우리가 흔히 쓰는 '희다', '하얗다'라는 말과는 말맛과 속살이 다른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두고 우리말이 다른 나라 말과 다른 것이라고 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희다', '하얗다'라는 말이 있어 그냥 '희다', '하얗다'라고 해도 되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해끔하다'라거나 이보다 더 느낌이 큰 말인 '희끔하다' 라는 말로 그 맛과 느낌을 달리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말집(사전)에 있는 보기월을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