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는 국립민속박물관과 세종시가 2016년 ‘세종민속문화의 해’를 맞아 여는 것으로 행정도시 개발 이전과 이후의 민속을 비롯하여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이주 과정과 생활상 등을 두루 보여준다. 이 전시는 7월 27일부터 10월 17일까지 서울에서 연 바 있는데, 충청도민은 물론 나라안팎 관람객의 열띤 호응을 받았던 전시를 세종시로 옮기면서 일부 내용을 수정ㆍ보완하여 선보이는 것이다.
2005년과 2015년 민속조사가 오롯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2005년에 행정도시 예정지 33개 마을에 상주하면서 민속조사를 진행했다. 2015년에는 마을을 떠나 여러 곳에 흩어져 사는 반곡리 마을주민을 추적 조사하여 이들의 생활환경 변화와 공동체문화의 흔적을 기록·수집하였다. 이번 특별전에 선보이는 유물 중 600여 점은 국립민속박물관이 2005년 시행한 민속조사에서 수집하거나 기증받은 자료들로서, 세종시의 전통과 현재 10여 년의 이야기를 읽어내는 증거가 된다.
고향과 이향, 그리고 회향
전시는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 : 고향(故鄕)-대대로 살아오다’에서는 고대부터 2005년까지 세종시 전통문화의 모습을 ‘갈운리 미륵’, ‘태양십이경과 반곡식목서’등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또 ‘제2부 : 이향離鄕-흩어지다’에서는 2005년 이후 마을주민들이 보상을 받고 마을을 떠나 타지로 이주하는 과정을 ‘마을회관 현판’, ‘묘지 출토 명기’ 등을 중심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제3부 : 회향回鄕-다시 모이다’에서는 2012년 세종시의 출범과 첫마을아파트 입주 등 새로 건설된 세종시에 원주민들이 돌아와 도시인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마을사진과 가족사진’, ‘상량문 목판과 쌀바가지’ 등을 중심으로 그린다.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상전벽해(桑田碧海)와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속담이 있다. 이 말처럼 세종시는 그동안 엄청난 변화를 이뤄냈고, 이를 반영한 이번 특별전은 2005년과 2015년 시간을 아우르는 변화 속에서 전통이 면면히 흐르는 세종시의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