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난 12월 7일부터 오는 12월 30까지 서울 중구 정동길 ‘국립정동극장’에서는 뮤지컬 <딜쿠샤> 공연이 열리고 있다. 인왕산 언덕 위 은행나무 옆 그곳에 붉은 벽돌집, 딜쿠샤가 있다! 2022년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뮤지컬 <딜쿠샤>가 올겨울, 한층 더 따뜻한 이야기로 돌아왔다! 실존 역사를 모티브로 상상력을 더한 이야기와 마음을 울리는 음악, 무대 위 실력을 갖춘 배우와 실황 밴드가 만들어 내는 화성은 관객들에게 따뜻하고 잔잔한 위로를 선사한다. 당신에게 '집'은 어떤 의미인가? 집, 그리고 그곳에서 함께했던 가족과 사랑에 대한 의미를 돌아볼 수 있는 작품! 누군가에겐 그리움의 상징, 또 다른 누군가에겐 벗어나고 싶은 공간. 누군가에겐 갈 곳 없어 눌러 앉아버린 피난처이자 보금자리. 그 모든 시절의 경험과 기억들을 함께하는 그곳. 굴곡진 백 년의 세월을 함께 지켜온 모든 삶에 대한 희망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 <딜쿠샤>는 뮤지컬 배우에서 예술감독으로 변신한 양준모가 선택한 두 번째 작품이다. 양준모는 뮤지컬 <포미니츠>에 이어 예술감독으로 변신하여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빨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12월 8일) 저녁 7시 30분 서울 홍대 근처 ‘가온스테이지’에서는 <철의 원소 기호 ‘Fe’>라는 이름을 단 세계양금협회 한국지부 회장 윤은화의 4번째 공연이 열렸다. 이번 공연은 2023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 프로젝트로 주최ㆍ주관 윤은화, 기획 설현주(국설당 대표), 서울특별시ㆍ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다. 피아노의 먼 친척뻘이며, 국악기 가운데 유일하게 쇠줄을 쓰는 악기 양금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공연이다. 객석을 가득 메운 것은 물론 서서 보는 사람들까지 제법 있었고, 연인끼리 또는 아이들과 함께 온 가족이 출동하여 공연은 관객들의 흥분으로 시작되었다. 공연은 먼저 윤은화가 작곡한 ‘오로라’로 윤은화는 양금과 운라를 함께 연주한다. 취타대를 더욱 화려하게 해주는 ‘운라’는 보통 공연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악기인데 이날 공연에서 새로운 시도로 화려한 날개를 다는 것이다. 양금처럼 철로 만든 악기 운라와 양금을 함께 연주하며 두 악기의 대화를 표현하는 모습이 대단하다는 느낌이 들게 한다. 두 번째 곡은 윤은화는 항아리(Udu) 드럼의 정주리, 핸드팬의 조현과 함께 ‘안개의 유희(Pla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역을 대표하는 오페라단인 (사)경상오페라단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추진하는 2023년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예술지원 사업 창작의발표 공모에 뽑혀 오는 12월13일(수), 14일(목) 저녁 7시 30분 경남문화예술회관에서 마당극 오페라 <말뚝이 가라사대>를 이틀 동안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어린이 청소년을 주요 관객으로 하며 경남지역 초ㆍ중ㆍ고 학생들에게 학습과 즐거움을 동시에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말뚝이 가라사대>는 경남지역 대표 문인이자 시인인 이달균 작가의 시조집을 각색한 대본에 경남지역 중견 작곡가 전욱용이 곡을 붙여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 전통 가면극 소재인 말뚝이와 해학적인 내용의 양반전을 소재로 국악적인 작곡기법과 서양 작곡기법을 접목하여 창작되었다. 이 작품은 서양 오페라와 우리나라 마당극을 적절히 융합하여 각각의 문화를 비교 체험할 수 있는 훌륭한 교육의 마당이 됨과 동시에 교과서 내 고전문학에서 단순히 학습하던 양반전과 가면 마당극 말뚝이 공연을 실제로 관람함으로써 체험 교육을 통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관람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