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와 공간은 달랐지만, 아버지를 억울하게 잃고 어머니에 대한 깊은 애증을 갖고 있는 두 남자, 정조와 햄릿이 만나 그들의 아픔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풀어가는 이야기가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공연은 국가무형문화재 제21호 가곡 보유자 김경배 명인의 언락(言樂) ‘벽사창(碧紗窓)’으로 문을 연다. 이어서, 정치적인 이유로 할아버지(영조)가 아버지(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이는 장면을 목격한 어린 정조의 이야기는 창작 판소리와 함께 구성했다. <홍재전서> 제7권에 수록된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며 쓴 시를 가사로 심청가의 한 대목인 창작 판소리 ‘추월만정(秋月滿庭)’을 남원시립국악단의 임현빈 명창의 소리로 감상한다.
* 언락(言樂):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한 곡조
햄릿이 어머니 거트루트와 삼촌 클로디어스의 불륜을 의심하는 장면은 처용무보존회의 ‘처용무’로 새롭게 구성하였다. 늦은 밤 아내의 방에서 아내와 함께 누워있는 역신을 물리쳤다는 처용설화와 햄릿의 이야기를 엮어 관객에게 선보인다.
공연의 절정은 임금으로 등극한 정조가 끊임없는 암살 위협을 받고 복수와 탕평 사이에서 갈등하지만 새로운 미래를 선택하는 부분으로 남사당놀이보존회의 남사당놀이와 함께 구성했다.
공연신청은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누리집(www.gung.or.kr/culture)을 통해서 가능하며, 입장은 무료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전화(☎02-580-3281)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