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최초의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 등 등록문화재 추진한다

[우리문화신문= 윤지영 기자] 서울시는 ▴고려말 최고 문학가 이숭인의 ‘도은선생시집’,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최고수준의 고려사경 ‘묘법연화경 권6’,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5’ 2점, ▴ 팔만대장경본 인본 ‘대승법계무차별론’ 1점을 국가문화재(보물)로 신청하고 ▴ 최초의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를 등록문화재로 신청하고 ▴19세기 불화 ‘마하연 제석천룡도’ 1점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도은선생시집」은 1406년(태종 6)에 이숭인(1074~1151)의 시문과 그의 시문을 칭송한 국내의 저명한 문인과 중국에서 온 사신의 서발을 엮어서 만든 문집이다. 「도은선생시집」은 2006년에 보물 1465호로 계명대 소장본 목판본이 지정된바 있다. 본 「도은선생시집」신청본은 활자본으로서 계명대 소장본보다 먼저 간행되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큰 관심을 받을거라 생각된다.





「도은선생시집」은 전체 5권(시집 3권, 문집 2권) 중에서 2권이 남아있지만, 활자 계미자본으로 인쇄된 것이 소수에 불과하며, 보

물 1465호 계명대 소장본보다 일찍 간행되어 국가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최고수준의 고려사경 2점「묘법연화경 권6」,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5」와, 팔만대장경 인본 「대승법계무차별론」, 그리고 최초의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도 함께 추진중이다.


『사민필지』는 한글로 된 세계지리교과서이다. 이 책은 호머 베잘렐 힐버트(1863~1949)가 편찬 간행한 것으로 당시 조선인의 세계지리인식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순전히 한글로 저술된 까닭에 더 많은 조선인들이 새로운 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와 한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였다.


『사민필지』는 네 번에 걸쳐서 간행되었는데, 본 신청본은 최초로 힐버트가 간행한 초간본으로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육용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당시 근대식 정장 제본이 아닌 노끈으로 묶은 4침의 책이며 삽입이 어려운 지도를 조선에서 목판으로 제작하여 인쇄하였다는 점에서 국가 등록문화재로 등록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19세기 불화‘마하연 제석천룡도’도 보존할 필요가 있는 등록문화재로 제석천룡도의 색채는 적·녹색 위주로 황색계열 구름과 연 하늘색을 채색하여 전반적으로 밝은 느낌이다. 상부에는 제석천과 위태천, 좌우 천신이 묘사되었고, 하부에는 용왕신 등 천룡팔부신중 4위가 배치되어 있다.


적절한 존상의 비례와 자연스러운 묘사, 황색과 연하늘색 계열의 색채 채용으로 밝은 느낌을 주는 등 19세기 전반 경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밖에 지난 8일(목) 도선사 석조관음보살 등 총 3건의 문화재가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신규 지정되어, 서울시에는 유형문화재 364건, 기념물 38건, 민속문화재 30건, 무형문화재 46건, 문화재자료 61건 등 총 539건의 문화재가 서울시 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정상훈 서울시 역사문화재과장은 “앞으로도 서울시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유물들을 꾸준히 발굴해 제도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