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에는 여러 가지 또 다른 이름, 별명이 있습니다. 먼저, 가장 흔히 듣는 ‘작설차
(雀舌茶)’는 차의 술이 참새의 혀와 닮았다는 뜻이며, ‘응조차(鷹爪茶)’는 매의 발톱과
닮았다는 뜻이고, ‘맥과차(麥顆茶)’는 보리의 알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또 ‘죽로차(竹露茶)’는 대나무숲에서 이슬을 먹고 자란 차, ‘춘설차(春雪茶)’는 봄눈이
채 녹기 전에 돋아난 차나무 움과 같은 여린 잎으로 만든 차, ‘감로차(甘露茶)’는
아침이슬이 가시기 전에 찻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하지요.
그 해에 따서 만든 차는 햇차이고, 청명 전에 딴 잎으로 가공한 명전차(明前茶), 잎을
따는 때에 따라 춘차(春茶), 하차(夏茶), 추차(秋茶)도 있습니다. 차는 가공방법에
따라서 덖음차(전통차)와 찐차(녹차)로 가르는데 이 덖음차를 중국에서는 초청차
(炒靑茶)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부초차(釜炒茶)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