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만물의 씨앗에서 분화된 개체 안에 음과 양이 존재하며 그들의 함량비가 제각각 다양하다. 이들 만상의 에너지를 음양만으로 분별하기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그들의 구성비도 고려하여 다섯 종의 에너지(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로 “생기고 머물다 변하며 사라지는” 세상의 뭇 존재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니 이 같은 이론적 체계를 오행론이라 하였다.
목, 화, 토, 금, 수, 다섯 힘이 원운동 순환으로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 다섯 에너지가 만들어 진다. 오기라 하지 않고 오행이라 한 이유는 행(行)이라는 말에 돌아다닌다는 뜻이 있어 순환을 표현하기 적합했기 때문이다
자연계의 오행
인간계의 오행
간지의 오행
음기 양기라는 표현과 별개로 영역이라는 표현을 쓸 때 목행 화행에 속하는 간지는 양의 영역에 있다고 해석한다. 토행은 중의 영역, 금행과 수행은 음의 영역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같은 행에 속하는 천간과 지지를 좀 더 양적인 양간/양지와 음적인 음간/음지로 구별할 수 있다. 천간 지지가 상징하는 바는 고정 불변이 아니다. 시대에 따라 일부 간지들의 명리적 의미가 사주 간명의 적중률을 높이는 쪽으로 변하게 된다. 아예 간지의 정의적인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는데 그 흔적을 위 표에서도 볼 수 있다. 연해자평에는 오를 양지, 사를 음지로 보고 자를 양수 해를 음수로 보았다. 그러나 현대 명리학자들은 이들의 음양을 위 표와 같이 그 반대로 보고 있다.
※ 다음 연재는 ‘2절 오행의 순환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