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오는 9월 30일 창경궁 집복헌(서울 종로구)에서 창경궁의 600년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상설 전시 「동궐, 창경궁의 시간」을 개관한다. 이와 함께, 9월 30일부터 11월 16일까지 평소 출입이 제한됐던 영춘헌을 특별 개방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전시는 창경궁의 건립과 변천, 왕실 생활과 국정 운영, 일제강점기의 훼손, 광복 이후 복원까지 창경궁이 걸어온 600년의 여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조선의 이궁(離宮)으로서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로 불렸던 창경궁의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 이궁(離宮) : 정궁이 아닌, 따로 떨어진 별도의 궁전
창경궁은 1418년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수강궁에서 출발한다. 이후 성종 14년(1483년) 창경궁으로 확장 건립되면서, 창덕궁과 함께 ‘동궐’이라 불리며 조선 왕실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선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겪었고, 광복 이후 복원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되찾았다.
전시에서는 창경궁 건립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국왕의 집무 공간, 왕실 여성과 세자의 생활 터전, 국가 의례의 현장까지 600년 역사의 다양한 모습을 생생한 자료와 함께 만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창경원’ 시절의 훼손과 광복 이후 복원 노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를 통해 궁궐이 겪은 굴곡진 역사를 되돌아본다. 청각·시각 장애인도 함께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홍보 책자(리플릿)도 제공된다.


이와 함께, 영춘헌 전각 내부를 특별 개방해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람객들은 증강현실 기술로 생생하게 재현한 헌종 14년(1848년) 《무신진찬의궤》 속 왕실 연회 장면을 태블릿 컴퓨터로 보며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인 <동궐도> 속 창경궁 전각들을 찾아 스티커를 붙여 완성해 보는 체험과 궁궐 내부 사진 마당, 휴식공간도 마련돼 있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다.
* 《무신진찬의궤》: 헌종이 순원왕후의 60살와 신정왕후의 41살을 기념하는 연회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
전시와 체험은 사전 예약 없이 누구나 무료(창경궁 입장료는 별도)로 관람하고 참여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매일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에서 확인하거나, 궁능 활용프로그램 전화 상담실(☎1522-2295)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