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756. “부부금슬”은 작은 거문고와 25현 큰 거문고에서 온 말

1756. “부부금슬”은 작은 거문고와 25현 큰 거문고에서 온 말

혼례 때 보면 주례가 꼭 “금슬” 얘기를 합니다. 그 금슬은 어디서 온 말일까요? 원래 금슬은 《시경(詩經)》소아(小雅) 〈상체편(常棣篇)〉에 있는 "妻子好合 如鼓琴瑟 兄弟歸翕 和樂且湛(처자가 마음이 맞는 것이 거문고를 켜는 것과 같고, 형제가 화합하여 화락하고 또 즐겁다)"에서 왔습니다. 여기서 처자는 가족이나 아내의 뜻이 됩니다. 또 《시경》〈관저편(關雎篇)〉에는 "窈窕淑女 琴瑟友之(요조숙녀는 금슬로써 벗한다.)"라고 하여 얌전한 처녀를 아내로 맞아 거문고를 켜며 사이좋게 지낸다는 뜻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금슬(琴瑟)은 국악기 중 현악기인 작은 거문고 곧 “휘금”이라고도 부르는 금(琴)과 25현의 큰거문고 슬(瑟)을 이릅니다. 이 둘은 늘 같이 연주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금슬인 거지요. 그런데 국어사전에 보면 “거문고와 비파를 이르는 말”로 풀이합니다. 원래는 거문고만 이르던 말이 언제부터 거문고와 비파가 되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부부가 금슬좋게 백년해로하라는 덕담을 들으면서 결혼하건만 얼마 안가서 금이 가는 부부들도 요즈음은 흔합니다. 혹시 두대의 거문고 켜던 것을 가리키는 말이 거문고와 비파로 슬쩍 바뀌면서 부터 금슬이 깨지기 시작한 것은 아닌지요. 국어사전은 이를 철저히 조사하여 원래대로 금슬좋게 돌려놓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