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창이 시(詩)를 노래하는 것은 일반 다른 노래와 차이가 없으나 시의 형태가 한문으로 된 시, 그것도 대부분 7언으로 짜인 한문시에 고저를 넣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한문과 가깝지 않은 사람들은 고개를 옆으로 젓게 마련이다. 초장, 중장, 종장으로 짜인 3장형식의 정형시나 또는 틀을 벗어난 엇시조, 자유시에 등에 음의 고저와 장단을 얹어 부르는 시조나 가곡과는 달리, 7언이나 5언으로 된 한문시를 노랫말로 삼는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치 않은 것이다.
7언, 혹은 5언의 영향을 받아서일까? 우리가 기억하는 동요나 창가류에서도 7언과 5언으로 짝을 이루고 있는 시형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푸른하늘은하수-하얀쪽배에, 계수나무한나무-토끼한마리,” 등의 노래나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선생님이우리를- 기다리신다.”와 같은 노래들이 7,5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여하튼 시창은 한글의 노랫말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한문시를 노랫말로 하여 고저를 살려가며 부르는 노래이다.
그 대표적인 노래가 높은 청으로 속소리를 내어 가며 실같이 고운 목소리로 뽑아내는 서도 지방의 관산융마(關山戎馬)라든가, 판소리 춘향가 중 이도령이 어사(御使)가 된 후에, 거지 행세를 하면서 변 사또의 잔치석상에서 부르던 7언 절구의 시(詩)한 수도 시창(詩唱)에 속한다. 시창은 장단없이 긴 호흡으로 낭랑하게 읊어 나가는 것이 멋과 운치가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 도령이 지어 부른 시는 너무도 유명한 시이기에 그 깊은 뜻을 다시 한 번 음미한다는 의미에서 이 기회에 소개해 보고자 한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
金樽美酒 千人血(금준미주 천인혈), 玉盤佳肴 萬姓膏(옥반가효 만성고).
燭淚落時 民淚落(촉루낙시 민루락), 歌聲高處 怨聲高(가성고처 원성고).
7언의 절구를 시창으로 부를 때는 토씨나 접속사로 각 구를 연결하여 다음과 같이 뜻이 통하도록 멋스럽게 읊어 나가는 것이다.
금준(金樽)미주(美酒)는 천인(千人)혈(血)이오,
옥반(玉盤)가효(佳肴)는 만성(萬姓)고(膏)라.
촉루(燭淚)낙시(落時)에 민루(民淚)락(落)이요,
가성(歌聲)고처(高處)에 원성(怨聲)고(高)라.
이를 이해하기 쉽게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다.
金樽美酒 千人血,--- 금잔에 담긴 맛좋은 술은 천 사람의 피 요,
玉盤佳肴 萬姓膏.--- 옥쟁반에 담긴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라.
燭淚落時 民淚落,--- 촛불의 눈물이 떨어질 때, 백성의 눈물 떨어지고,
歌聲高處 怨聲高.--- 노래 소리 높은 곳에 백성의 원망소리 높으니라.
7언의 한문시는 보통 사람들은 읽고 쓰기도 어렵거니와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시창을 즐기고 애호하던 계층은 일반 대중들이 아니라, 오직 글공부를 좋아하는 지식인 계층이어야 가능했던 장르라 하겠다.
이렇게 어려운 한문시이기 때문에 이를 암기하고 쓰고,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읽는 활동만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래서 오랫동안 시를 읊어도 싫증나지 않고 재미있게 읊을 수 있고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 바로 시에 고저를 붙여서 읽는 독서성(讀書聲)일 것이고, 보다 더 음악적으로 세련미를 더하여 발전한 것이 송서, 또는 율창이나 시창이 아닐까 한다.
송서나 시창은 마치 정가와 같은 노래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깊은 창법과 느긋한 한배, 긴 호흡, 그리고 장인굴곡의 가락과 요성, 시김새 등의 음악적 요소들이 정가와 유사한 것이다. 가사(歌辭)나 시(詩) 자체도 좋지만 고저를 넣어 창으로 부르면 더더욱 멋스런 소리가 바로 시창이다. 그래서 시창을 제대로 부르기 위해서는 스승의 소리를 듣고 단순하게 따라 부르는 방법보다는 정가의 창법이나 호흡법을 익히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