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 촉한(蜀漢)의 명재상이었던 제갈량(諸葛亮)을 주제로 하는 노래, <공명가(孔明歌>를 소개하면서 <수심가>나 <관산융마>와 같이 앉아서 손이나 발, 몸의 움직임을 금기(禁忌)시해 온 좌창들을 왜 <잡가>, <긴잡가>라고 부르고 있는가? 아울러 <긴잡가>라는 이름에서 <긴>은 곡조의 길고 짧음이 아니라, ‘느리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이름이란 점도 덧붙여 이야기하였다. 사실, ‘서울의 긴잡가’, 또는‘서도잡가’라는 이름도 어느 특정 부류의 노래들을 가리키는 이름은 아니었다. 과거 전통사회에서 상류사회의 지식인 계층이나 양반들이 부르던 노래는 ‘정가(正歌)’라 통칭해 온 반면, 일반 대중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들은 ‘소리’ 또는 속가(俗歌)’라 불러오기도 했는데, 이러한 속가들을 통칭해서 부르는 명칭이 바로 잡가(雜歌)였다. 여기서 소개하려는 <공명가>를 비롯해서 <초한가>나 <제전>과 같은 노래들을 <서도의 잡가>, <서도잡가>라 통칭하고 있는데, 잡가란 어떤 노래이고 어떤 의미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공명가(孔明歌> 관련 이야기로 공명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 계기는 유현덕의 일편심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공명가>는 중국 촉한(蜀漢)의 명재상이었던 제갈량(諸葛亮)을 주제로 하는 노래인데, 판소리 「적벽가」에는 유비가 공명을 만나러 삼고초려(三顧草廬-멀리 풀밭에 있는 오두막집을 세 번이나 찾아감) 뒤에, 유비(유현덕)의 일편단심에 감복을 받아 견마지력(犬馬之力)을 약조한다는 이야기, 공명을 대하는 지극 정성에 관우와 장비 등이 불평을 쏟아내지만, 유비왈 “공명을 얻음이 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라고 했다는 이야기도 소개하였다. <공명가>의 줄거리는 조조와 대치하고 있는 공명이 오(吳)의 주유와 함께 전략을 논의하는데, 결론은 화공(火攻)이어야 승산이 있다. 그러나 겨울철이니 동남풍(東南風)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공명이 산에 올라가 동남풍을 비는 내용이 곧 <공명가>의 주된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공명의 신통력으로 동남풍은 일게 하였다. 그러나 공명의 이러한 능력이 훗날에는 여러 나라, 여러 사람들에게 걱정이 될 것이라며 동지였던 오나라의 주유는 공명을 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유춘랑 명창이 그의 발표무대에서 독창으로 열연한 서도 좌창, <초로인생(草露人生)>과 관련한 이야기를 하였다, 인생의 존재를 풀잎에 맺힌 아침 이슬에 비유할 정도로 짧다는 점을 강조하는 제목인데, “어화 청춘, 소년들아 이내 한 말 들어 보소. 어제 청춘 오날 백발, 그 아니 비통한가! 로 시작하여 진시황제가 장성을 쌓고, 아방궁(阿房宮) 지은 뒤, 불사약 구하러 삼신산(三神山)에 500인 보냈으나 소식조차 돈절(頓絶, 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짐) 하다는 이야기,「아서라, 초로인생 한번 가면, 만수장림(萬樹長林, 큰숲)의 뜬구름이로다. 살아생전 효도 헐 일, 허면서 잘 살아를 보리~」로 마무리한다는 이야기 등을 덧붙였다. 이번 주에는 서도의 대표적인 긴 잡가, <공명가(孔明歌> 이야기가 한다. 긴잡가를 서도지방이나 경기지방에서는 좌창(坐唱)이라고도 하는데, 노래의 특성상 앉아서 부르는 적절한 노래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좌창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는 가곡이나 가사, 또는 시조, 시창과 같은 노래들은 정좌(正坐)하여 부르기 때문에 손이나 발의 움직임을 불허한다. 민속 성악 가운데서도 앉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