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행복한 삶은 옛 부터 인간의 가장 큰 관심사였고, 건강한 신체는 이를 위한 필수조건이다. 모든 간지술이 여기에 착안했고 명리학도 사주 감정의 결과를 같은 목적에 활용하려 했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십천간과 십이지지의 조화를 보며 인생의 길흉사를 판단하는 간지술은 주나라 시대부터 있어 왔고,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발전한 음양론이나 오행론을 사상적 기초로 하며 인간의 운명을 탐구하는 예언술(점술을 높인 말)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오성술, 구성법, 기학, 육임, 자미두수 등 여러 종류의 예언술이 있었으나, 이들은 감정의 적중률이 저조하여 차츰 대중의 지지를 잃게 된다. 10세기 이후의 동양사회는 군사, 과학, 정치 등 많은 분야의 근거 이론을 명리학에서 구하게 되었다. 명리학의 발전은 9할 이상이 중국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우선 중국의 명리학, 이어서 우리나라 명리학의 발전을 살펴보겠다. 중국의 명리학 명리학은 당나라의 이허중(9세기 인물로 추정)에 의해 학문적 체계가 세워지기 시작하였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는 그간 전해져 내려온 옛법(古法)의 명리학을 출생 연월일시에 태월(잉태한 달)을 더한 다섯 기운으로 감정하는 삼명학으로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인간은 35억 년 전 발생한 생명체로부터 시작된 수많은 우연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인간의 출생은 출생자의 의지와 무관한 우연의 에너지가 총체적으로 집적된 특별한 사건이다. 국적이나 가문, 부모의 인성이나 능력, 건강, 체질, 빈부 그리고 출생자의 성별, 신체의 강약, 유전병, 재능, 인성 등은 출생자의 의지로 어찌할 수 없는 것들이지만 출생자의 인생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명리학은 이들의 에너지가 인간 운명의 본질이며, 인생사에 있어 많은 길흉화복의 근원이라고 관념하였다. 이 관념에 따라 “운명은 출생시 천기(天氣- 하늘의 에너지)에 의해 출생자 인생의 길흉화복으로 예정되며, 이렇게 예정된 에너지를 사주 간지로 확인하여 감정하면 일상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고 정의(定義)하였다. 이 정의는 명리학의 중요한 공리(증명이 필요 없는 자명한 사실이나 진리로 다른 명제의 전제가 되는 원리)가 되었다. 운명은 출생 전에 주어진 것이고 살면서 겪게 되는 길흉화복은 출생 후에 일어나는 일이니 운명이 길흉화복으로 예정되는 시점은 출생 시점일 것이다. 또한 인간을 별의 먼지와 그 에너지로 만들어진 소우주라 하였으니 이러한 예정이 천기에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동방의 조상들은 세상의 뭇 존재들이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나고 죽음을 깨닫고 이로부터 태극 천간 지지 음양오행의 관념(어떤 문제나 주제(主題)에 대하여 합리나 논리에 입각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견해)을 갖게 되었다. 이들이 어우러진 명리학의 우주관은 다음과 같다. 태초의 세상은 시간도 공간도 없었다. 찰라의 순간에 없음(無)의 균형이 깨지고 그 틈으로 우주의 기운을 품은 만물의 씨앗이 태어난다. 곧 이어 씨앗이 터지며 이 세상은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품은 다섯 무리의 존재들로 가득 채워졌다. 이들을 나무를 닮은 무리, 불을 닮은 무리, 흙을 닮은 무리, 쇠붙이를 닮은 무리 그리고 물을 닮은 무리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에너지를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라고 이름 하였다. 이들 에너지의 원운동 순환이 뭇 존재를 생기게, 머물게, 변하게, 사라지게(生住異滅)하는 동력임을 깨달았다. 이들의 순환을 중히 여겨 행(行)이라 불렀다. 이로써 오행론(五行論)은 명리학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오행의 개념은 전국시대 말 형성되기 시작하여 후일 역경에 언급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오행의 뭇 존재들을 하늘의 존재인 10종의 천간(天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현대인을 위한 명리학 입문 글의 차례 1장 총 론 1절 명리학 2절 우주관 3절 운명관 4절 발전사 2장 음 양 1절 기의 물리적 의미 2절 음기 양기의 명리적 정의 3절 기의 생물학적 실체 4절 음기 양기의 맛 5절 인체의 음양 6절 병증의 음양 7절 열증과 한증의 허실 3장 오 행 1절 오행의 여러 가지 모습 2절 오행의 순환력 3절 하도낙서 4절 오행의 맛 1 5절 오행의 맛 2 6절 오행의 맛 3 7절 오행 식단 8절 기 분리 대응 식단 4장 사 주 1절 사 주 2절 역 법 3절 절기의 역법 4절 만세력 5절 사주 확인 6절 간명의 적중율 이글은 주제 별 수필의 형식을 띠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명리학 입문을 위한 순서에 맞게 정열 되어 있습니다. 글마다 독립적인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나 다음 글을 읽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음으로 특정 주제의 글만 따로 읽으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명리학에 일가견을 갖추신 독자라면 1장과 4장만 읽어도 무난하겠습니다. 명리학은 인간 운명의 이치를 탐구하는 동양 고유의 철학이며 사주 감정은 그 쓰임(實用)이다. 사주는 출생 이전에 주어진
[우리문화신문=얼안승열 명리학도] 현대인을 위한 명리학 입문 글의 차례 1 장 총 론 1 절 명리학 2 절 우주관 3 절 운명관 4 절 발전사 2 장 음 양 1 절 기의 물리적 의미 2 절 음기 양기의 물리적 정의 3 절 기의 생물학적 실체 4 절 음기 양기의 맛 5 절 인체의 음양 6 절 병증의 음양 7 절 열증과 한증의 허실 3 장 오 행 1 절 오행의 여러 가지 모습 2 절 오행의 순환력 3 절 하도낙서 4 절 오행의 맛 1 5 절 오행의 맛 2 6 절 오행의 맛 3 7 절 오행 식단 8 절 기 분리 대응 식단 4 장 사 주 1 절 사 주 2 절 역 법 3 절 절기의 역법 4 절 만세력 5 절 사주 확인 6 절 간명의 적중률 <들어가기> 이글은 주제 별 수필의 형식을 띠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명리학 입문을 위한 순서에 맞게 정렬되어 있습니다. 글마다 독립적인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나 다음 글을 읽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특정 주제의 글만 따로 읽으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명리학에 일견을 갖추신 독자라면 1장과 4장만 읽어도 무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