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는 장승과 벅수에 관해서 헷갈립니다. 그러나 쟝승은 길을 가는 나그네와 벼슬아치들에게 빠르고 안전한 '길'을 안내하기 위하여 만들어 세운 단순한 기능의 ‘푯말’(이정표)로 ‘우편제도’가 도입된 뒤인 1895년 기존 ‘역참제도’가 기능을 다하고 폐지되어, 임무가 끝나 우리 땅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장승에는 늘 이 마을에서 어디까지는 몇 리라는 글이 쓰여 있었습니다. 그와는 달리 벅수는 얼굴이 험악하고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는데 '중국땅'에서 몰려오는 무서운 '역병'과 '잡귀'들을 막아내기 위하여, '역병'과 '잡귀'들의 고향땅 중국을 다스리는, 무섭고 힘센 임금이나 ‘장수’의 모습을, '벅수'로 표현하여, 거꾸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또 어떤 벅수는 투박한 모습을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지금은 찾아보기가 매우 귀한 벅수지만 조선시대 말기까지도 마을의 들머리에는 벅수들이 세워졌었지요. 벅수는 주로 나무로 만든 것이 많지만, 더러는 돌로 만들어졌는데, 마을 들머리에서 마을의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벅수는 자연의 신령스러운 기운을 사람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존재였지요. 벅수 옆에는 의례 큰 당산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9월 8일 아침 10시 30분 덕수궁 석조전(서울 중구)에서 허민 청장의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국가유산 정책 추진과제를 발표한다. 국가유산청은 ‘문화강국의 원천 K-헤리티지, 국민 곁으로 세계 속으로’라는 전망 아래, ▲ 국민과 함께 K-헤리티지를 향유하는 ‘열린 국가유산’을 실현하고, ▲ K-헤리티지를 통해 글로벌 유산 강국으로 도약하며, ▲ 조직·인사·예산 혁신으로 국민 중심의 국가유산 행정 효율성을 향상시켜 나갈 것이다. 중점 추진과제는 다음과 같다. 국민과 함께 K-헤리티지를 즐기는 ‘열린 국가유산’ 실현 ① 미래로 이어지는 국가유산 가치 확장 국가유산청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된 분야의 유산과, 제작ㆍ형성된 지 50년 미만인 ‘우리시대’ 유산을 적극 발굴*하고자 한다. 그동안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유산 보존에 치중하였으나, 철도역사, 발전소, 조선소 등의 건축·산업유산과 영화·대중가요 초기자료 등도 유산으로서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아울러, 문화유산 수리제도의 개선과 국립자연유산원 건립 추진, 무형유산의 대중화 등 국가유산 각 유형별 보존·전승 기반을 확충한다. * 중점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회장 정갑영)는 친선대사로 활동 중인 배우 이보영과 함께 모잠비크를 방문해 어린이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한 발걸음을 이어갔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모금 방송 ‘프로젝트 블루’의 하나로, 이보영은 지난 8월 3일부터 8일까지 모잠비크 북동부에 있는 남풀라주를 찾아 기후위기와 아동노동으로 생존의 사투를 벌이고 있는 어린이들의 현실을 직접 마주하고 그들의 삶에 희망을 전했다. ‘프로젝트 블루’는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JTBC가 함께하는 시리즈형 모금 방송으로, 기후위기, 분쟁, 질병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구촌 어린이들의 상황을 조명하고자 기획됐다. 모두 세 명의 유명 인사가 아프리카 및 아시아 개발도상국을 찾아 현지 어린이들을 만나며 희망을 전하는 이야기가 차례로 공개된다. 이보영이 참여한 이번 ‘프로젝트 블루’는 ‘이보영의 희망 연가’라는 제목으로, 반복되는 사이클론(폭풍)과 끝없는 가난으로 황폐해진 삶 속에서도 꿋꿋이 꿈을 키워가는 모잠비크 어린이들을 향한 이보영의 진심이 담겨 있다. 2008년부터 유니세프 카드 후견인으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첫 인연을 맺은 이보영은 이번 모잠비크 방문 이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