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을사늑약 두 갑자 120년, 경술국치 115년, 광복 80년, 나라를 빼앗기고 다시 찾은 지 모두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우리는 정리하지 못한 역사를 대를 이어 우리 아이들에게 남기고 있다. 일본이 이 땅에서 몸은 물러갔지만, 그들의 찌꺼기가 너무나 뚜렷하게 남아있는데도 우리는 보지 못한 채, 때로는 못 본 척 살고 있다. 우리가 날마다 쓰는 말속에, 우리 아이들의 놀이와 노래 속에 일본의 찌꺼기들이 마치 우리 것인 양 자리 잡고 행세를 하고 있다. ‘뗑깡, 나와바리, 신토불이, 고객, 세꼬시, 달인, 호우, 재테크, ...’ 우리들의 일상생활이나 방송에서 날마다 쓰고 듣는 말이 일본말의 찌꺼기들이다. 우리가 학교라는 곳에 들어가 맨 처음 배운 노래가 가사만 바꾼 일본노래들이었고, 우리의 것인 줄 알고 부르던 ‘학교종’이나 ‘퐁당퐁당’ 등이 일본식 음계와 장단을 따른 음악이라는 사실, 심지어는 애국의 상징처럼 불리고 있는 ‘독도는 우리땅’이나 ‘서울에서 평양까지’ 등도 일본식 음계를 그대로 따르는 곡이라는 것을 모르는 채 열심히 부르고 있다. ‘가위바위보’, ‘숨바꼭질할 사람’은 일본의 선율과 가사, 놀이방법들이 모두 같고, ‘쎄쎄
[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국가>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비상계엄>이라는 어처구니없는 폭력이 해를 넘겨 넉 달을 지나 겨우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받았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등의 <비상계엄>뿐만 아니라 그동안, 이 땅에서 일어났던 수많은 <국가폭력>이 제대로 단죄받거나 역사적으로 정리되지 못한 까닭에 아직도 이 땅을 어지럽게 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이라는 어처구니없는 국가폭력에 수많은 시민이 거리에 나섰다. 그중에도 ‘응원봉’을 들고 나온 젊은 세대, 특히 10~30대 소녀들. 기성세대들이 걱정을 많이 하던 <젊은 세대>들이 광장을 차지했다. 영하 수십 도의 강추위에서도 <키세스 탄핵>이라는 문화를 만들어 낼 정도로 이들을 저항에 앞장서게 한 힘은 무엇인가? 1,300만의 관객을 모았던 <서울의 봄>을 통해 글로만 읽고, 말로만 듣던 비상계엄과 쿠데타, 군사독재라는 국가폭력을 비록 영화지만 ‘눈으로 보았고’ 노벨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통해 국가폭력의 무서움에 ‘가슴으로 공감’을 했기 때문이다. 영화와 소설이라는 <예술 작품>을
[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남북분단으로 섬처럼 고립되어 육지이면서도 비행기나 배가 아니면 나라 밖으로 나갈 수 없는 현실. 하늘길이나 바닷길이 아닌 땅길로 시베리아를 지나, 유럽으로, 아프리카 땅끝까지 가보고 싶은 마음을 담은 노래 김순흥 작사, 주하주 작곡 <땅으로 가자>를 소개한다. 땅으로 가자 놀~부 김순흥 우리가 섬이냐 땅으로 가자 헤엄치지 말고 걸어서 가자 배타지 말고 버스로 가자 비행기 말고 기차로 가자 오늘 못 가면 내일 가자 이달에 못 가면 다음 달에 가자 올해 못 가면 내년에 다시 가자 하지만 끝까지 가자 서두르지 말고 가자 싸목싸목 가자 우리가 섬이냐 땅으로 가자 평양을 거쳐 가자 두만강을 건너가자 시베리아를 질러가자 땅으로 가자 베를린을 가보자 암스테르담도 가보자 안달루치아를 지나 땅끝 희망봉까지 땅으로 가보자 ▲ 김순흥 작사, 주하주 작곡 <땅으로가자> - 아쿠스틱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