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관현악시리즈Ⅳ <스위치(Switch)>를 6월 21일(토)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다. <스위치>는 국악관현악과 서양관현악을 대표하는 두 악단이 국악관현악 창작음악 연주곡을 교체해 연주한다는 의미다. 1부는 KBS교향악단, 2부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연주해 각각의 음색이 지닌 매력을 비교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스위치>는 기존 서양 음악을 국악관현악으로 편곡해 연주하는 사례는 많았으나 국악관현악 레퍼토리를 서양 음악 편곡으로 감상할 기회는 드물었다는 점에 착안, 국악관현악 창작곡들을 서양관현악단과 국악관현악단 양쪽의 소리로 감상해 보고자 마련했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그동안 장르, 악곡, 표현방식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꾀하며 시대를 초월해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국악관현악 레퍼토리를 꾸준히 개발해 왔다. 이렇게 개발된 곡은 다른 악단에서도 자주 연주되며 국악관현악계의 주요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이번 무대는 한발 더 나아가 양악과 국악이라는 서로 다른 장르가 만나는 접점을 통해 관현악의 새로운 확장을 제안한다. 지
[우리문화신문= 윤지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과 광주광역시, 옛전남도청복원범시도민대책위로 구성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는 5월 28일(수) 오후 2시, 전일빌딩245(9층 다목적강당)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 전시콘텐츠 관련 대국민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난해 두 차례 열린 설명회에 이어 마련한 이번 설명회에서는 지난해 12월 실시설계 완료 이후 최종적으로 확정한 전시콘텐츠와 일부 전시 영상 등, 현재까지의 추진 현황과 향후 일정을 공개할 예정이다. 설명회가 끝나면 5・18 관계자와 시민 등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해 전시콘텐츠와 사업 진행 상황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앞으로 옛 전남도청 복원 건물의 명칭이나 운영 주체 결정 등과 관련해서도 대국민 토론회를 개최(6월 중)하는 등 5・18 관계자, 시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대국민 설명회로 전시 관련 주요 내용을 공개해 궁금증을 해소하고, 남은 기간의 철저한 공정 관리로 올해 말 준공 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서울시가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7일간 진행한 ‘2025년 제2기 몽골 도시개발 실무자 역량강화 연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연수는 서울의 도시개발 경험을 몽골 도시현안에 접목하기 위한 협력 프로그램으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몽골 실무자 연수는 KOICA와 서울대 한몽도시협력센터, 몽골과학기술대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S-Quad Project(몽골 도시개발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핵심 실행 사업이다. 서울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해당 연수를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국제도시 협력 모델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2기 연수에는 몽골 건설도시개발부, 울란바토르 시청, 몽골과학기술대학교 등 7개 기관의 도시계획, 건축, 환경 분야 실무자 20명이 참여했다. 특히 올해 연수는 1기 연수 당시 제시된 정책 아이디어가 몽골 현지에서 일부 실현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낸 데 이어, 자국 내 정책 적용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연계성을 강화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일정 중 오전 시간대는 서울시의 첨단 교통 시스템, 환경 정책, 도시개발정책 등 전문가들의 강연이 이뤄졌다. 이어서 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제33회 어린이 문화유산 그리기 대회」를 오는 6월 23일 월요일 낮 2시부터 5시까지 국립전주박물관 전시실에서 연다. 전북지역 초등학생 어린이와 같은 또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대회는 오는 5월 30일(금)부터 6월 18일(수)까지 학교 단체접수 및 개인 개별접수 신청을 받는다. 단체접수는 국립전주박물관 누리집(jeonju.museum.go.kr)에서 참가신청서를 내려받아 소속 학교 담당 교사가 참가희망자 명단을 작성한 뒤 소속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공문서로 접수할 수 있다. 반면, 개별접수는 참가희망자 본인이나 보호자가 국립전주박물관 누리집(jeonju.museum.go.kr)에서 직접 참가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누리집 참조) 이번 대회 참가자의 출품작 가운데 가장 우수한 작품을 하나 뽑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에 빛나는 최우수상을 주고, 우수상과 특선, 입선 등은 전문심사위원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뽑은 뒤 부상과 함께 시상할 예정이다. 또한 참가자 전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도 함께 준다. 국립전주박물관 관계자는 “해마다 열리고 있는 그리기 대회는 도내 어린이들이 문화유산을 그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조선조 헌종~고종 연간에 활동했다는 충청도 양반 가문의 비가비 출신, 정춘풍(1834~1901?)의 소개와 그에 의해 불려지기 시작했다는 <소상팔경>을 소개하였다. 소상의 8경은 1.소상야우(瀟湘夜雨) 2. 동정추월(洞庭秋月) 3.원포귀범(遠浦歸帆) 4.평사낙안(平沙落雁) 5. 어촌석조(漁村夕照) 6.강천모설(江天暮雪) 7.산시청람(山市晴嵐) 8.연사만종(煙寺晩鍾) 또 는 한사모종(寒寺暮鍾)등 등이다. 정춘풍의 이 단가는 그의 후진들인 박기홍, 송만갑 등이 이어 받았다고 하는데, 현재는 무대 위에서 만나기 쉽지 않아 전승 위기를 맞고 있다. <소상의 팔경> 가운데 첫 장면인 소상강의 밤 비 내리는 모습을 묘사한 <소상야우-瀟湘夜雨)>에 관한 이야기는 앞에서 소개하였기에 이번 주에는 8경 가운데 두 번째 이야기, 동정추월(洞庭秋月)을 소개해 보기로 한다. 동정추월이란 곧, 동정 호수에 떠 있는 가을 달의 모습이다. 밤하늘의 별이나 달은 어느 곳에서 본다고 해도 아름다운 대상이 분명하다. 그것도 가을밤, 넓디넓은 호수 위에 동그랗게 떠 있는 달의 모습이야말로 얼마나 멋진 광경이겠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이레끝(주말) 잘 쉬셨습니까? 아침에 일터로 오면서 밝은 해를 보니 제 마음도 환해지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햇볕이 모인 낮에는 더워질 수도 있겠지만 말이죠. 저는 쉰다고 쉬었는데 이레끝 앞에 이틀 동안 아이들을 데리고 닦음나들이(수학여행)를 다녀오느라 힘이 들었는지 입술에 물집이 잡혔네요. 이레끝이라고 그저 쉴 수만은 없습니다. 해야 할 일들이 있기 때문이죠. 해야 할 것 가운데에는 쉬는 것도 하지만 이레동안 먹을 것, 쓸 것을 사는 일을 빼 놓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저것 사서 집에 오면 또 해야 할 게 있지요. 짐을 풀어서 바로 넣을 것은 바로 넣고 또 나눠 담을 것은 나눠 담아야 합니다. 나누어 담은 것들은 풀매듭을 해서 넣어 둡니다. 그래야 다음에 꺼내 먹을 때 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풀매듭'은 '풀기 쉽게 맨 매듭'을 가리키는 토박이말입니다. 맬 줄 아는 사람들한테는 쉬운 거지만 모르는 사람한테는 어려운 것이기도 합니다. 풀매듭을 할 때는 고를 내어 매어야 하는데 고를 내지 않고 마구 옳아 맨 매듭은 '옭매듭'이라고 한답니다. 흔히 신발끈을 맬 때 풀매듭으로 묶는데 자꾸 풀리는 게 싫어서 옭매듭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2025년 단오(5월 31일)를 맞이하여 <여름의 시작 단오> 세시 행사를 연다. 5월 29일(목)에는 창포물에 머리 감기 시연과 체험을, 5월 31일(토)에는 단오와 관련된 세시풍속 체험, 특별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에서는 5월 31일(토) 개방형 수장고의 특색을 담아 관람객을 맞이한다. 단오(端午)는 음력 5월 5일을 이르는 말로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예로부터 한해 가운데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왔으며, 이날에는 잡귀를 물리치거나 복을 기원하는 풍속을 많이 행했다. 창포물에 머리 감고 나쁜 기운을 물리쳐요! 창포는 한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식물로, 창포를 베어다 뿌리와 함께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잘 하얘지지 않으며, 잡귀를 쫓을 수 있는 벽사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어왔다. 특히 날이 더워지는 단오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아 나쁜 기운도 물리치고, 건강한 머리카락을 유지하는 풍습을 행했다. 이에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5월 2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오는 5월 28일(수) 낮 11시에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정재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와 함께 차와 이야기, 그리고 우리 음악으로 구성한 ‘다담(茶談)’ 공연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세종대왕 탄신일이 있는 5월을 맞이해 한글의 값어치를 되새기고 우리말의 소중함을 재발견하는 뜻깊은 시간으로 마련했다. ‘한글, 그 매력적인 위대함’을 주제로 방송인에서 우리말 운동가로 거듭난 정재환 대표(방송인,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가 이야기 손님으로 나서 한글이 가진 힘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대해 진솔한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정재환 대표는 1979년 방송 데뷔 이후 개그맨, 방송 진행자로 활동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 30대 중반, 한글의 매력에 이끌려 본격적으로 우리말 운동에 뛰어들었으며, 2000년에는 한글문화연대를 결성하여 우리말글 사랑 운동에 앞장섰다. 이후 조선어학회 활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 국어심의위원회 위원과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우리말을 잘하려면, 우리말을 잘 알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는 정 대표는 EBS <미래특강>, KBS <한글날 특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근현대건축의 문화유산적 값어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보존ㆍ활용을 위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하여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25 근현대건축 문화유산 활성화 공모전」을 연다. 국가유산청이 주최하고, (사)도코모모코리아가 주관하는 이번 공모전은 ‘시간을 잇는 건축, 군산의 새로운 숨결’이라는 주제로, 개항기부터 산업화를 거쳐 우리 생활공간에 남아 있는 근현대 건축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보존과 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 자격은 국내 소재 대학생과 대학원생으로 개인 또는 팀(많게는 3인) 단위로 참여할 수 있으며, 공모 접수는 6월 9일부터 8월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공모는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등 군산시 소재 등록문화유산과 근현대유산이 집중되어 있는 주변부를 대상으로 한 ▲ 단일계획(하나의 등록문화유산) ▲ 복합계획(등록문화유산과 주변 지역) ▲ 경관계획(지정된 범위의 가로나 구역 대상) ▲ 시설계획(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유휴 부지 활용 계획) ▲ 기술계획(구조ㆍ환경ㆍ설비ㆍ재료ㆍ시공ㆍ에너지 관련 계획)의 모두 다섯 가지 분야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이 오는 5월 30일부터 5월 31일까지 대한민국 근·현대사 속 치열하게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간 여성의 삶을 그린 연극 ‘작은 할머니’를 선보인다. ‘작은 할머니’는 영등포문화재단이 올해 처음 선보이는 우수 예술단체와의 협력 프로젝트 공연 ‘YDP Pick!’의 첫 번째 작품으로, 일제강점기 말 혼란의 시기 속에서 당대의 관습과 사회제도가 만들어 놓은 한 여인의 일생을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은 ‘작은 할머니’라는 인물을 통해 절망 속에서도 자기 삶을 놓지 않고 개척한 여성의 강인함을 담아낸다. 손녀의 질문을 통해 서술되는 이야기 구조는 단순하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관객들에게 잊고 있던 어머니, 할머니 세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깊은 공감을 끌어낼 예정이다. 이번 작품을 선보이는 ‘극단 목련’은 2023년 6월 영등포연극협회 지부 산하 극단으로 창단됐으며, 지역에서 연극 예술을 뿌리내리며 모든 세대가 공감하고 감동하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공연은 작은댁 역을 맡은 극단 목련의 권경하 대표를 비롯해 큰댁 역을 맡은 배우 한록수, 다양한 작품에서 감초 역할을 선보인 배우 정종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