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은 한글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오던 디지털한글박물관(http://archives.hangeul.go.kr)을 아카이브형 누리집으로 새롭게 단장해 28일 재개관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디자인으로 전면 개편한 디지털한글박물관은 최신 경향을 반영한 반응형 웹으로 컴퓨터, 슬기말틀(스마트폰) 등 어떤 기기로 접속하더라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이용자 중심으로 메뉴를 신설ㆍ통폐합하였으며, 통합검색창을 전면에 배치하고 유형별, 주제별, 시대별, 출처별 검색 기능을 추가하는 등 검색 서비스를 한층 강화하였다. 아울러, 전국박물관 소장품검색 사이트인 이뮤지엄에서만 검색할 수 있었던 한글박물관 소장품 15,800여 건을 검색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글문화의 가치 공유 및 확산을 위하여 국립한글박물관이 선정한 <한글 100대 문화유산> 10종도 함께 공개한다. 선정된 자료는 원문검색이 가능하며 현존자료, 영인자료, 역주서 및 관련자료 정보도 제공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연차적으로, 훈민정음 창제부터 20세기까지 생산된 한글 유물 중 대표성을 띄는 자료 등을 한글 1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오는 2월 3일은 스물넷 철마디(절기) 가운데 꽃등으로 드는 철마디로(절기), 이른바 봄이 비롯한다는 ‘입춘(立春)’입니다. 오늘은 이 ‘입춘’과 아랑곳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저희 모임에서 쓰는 달자취(달력)에는 ‘입춘’을 ‘들봄(입춘)’으로 적어 놓았습니다. 그걸 보신 분들 가운데 ‘들봄(입춘)’으로 해 놓으니까 ‘입춘’을 ‘들봄’이라고 한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고 ‘들봄’도 ‘봄으로 들어간다’는 뜻인 줄 바로 알 수 있어 좋다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이 ‘들봄’이 들어 있는 달이기 때문에 저희 모임에서는 2월을 ‘들봄달’이라고 한답니다. 옛날부터 ‘입춘’이 되면 ‘입춘축(立春祝)’이라고 하는 글을 집 앞에 써 붙였기 때문에 다들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입춘축(立春祝)’은 다르게 ‘입춘첩(立春帖)’, ‘입춘방(立春榜)’, ‘춘방(春榜)’, ‘춘서(春書)’라고도 한답니다.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손수 써서 붙이고 그렇지 않으면 남한테 써 달라고 해서 붙이기도 합니다. 아마 ‘입춘대길(立春大吉)’만 써 붙이기도 하고, ‘건양다경(建陽多慶)’을 함께 써 붙여 놓은 것을 보셨을 겁니다. 요즘도 어르신들 가운데 사는 집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지난 닷날(금요일)에 진주사랑 5% 밴드 모임 모람이 닷즈믄(5000) 사람이 넘어선 것을 기리는 작은 나눔 잔치를 한다는 기별을 듣고 저희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에서도 하는 게 좋겠다는 으뜸빛(이사장)님 말씀에 따라 작은 나눔을 했습니다. 진주사랑 5%는 안 힘든 사람이 없다는 요즘 서로 기운을 북돋우며 돕고 지내는 아름다운 모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모임에 저도 함께하고 있는 것이 자랑스럽기도 합니다. 엿날(토요일) 낮밥을 먹은 뒤 여러 해 생각만 하고 미루던 제 방을 치웠습니다. 책꽂이 옆에 쌓아 두었던 책들부터 꺼내고 꽂혀 있던 책들도 하나씩 들어냈습니다. 그렇게 비롯한 책 들어내는 일은 저녁을 먹고 누리그물(인터넷)로 열린 경남실천교사모임 모두모임(총회)을 하는 때새를 빼고 밝날(일요일) 밤이 이슥할 때까지 이어졌습니다. 종이 상자에 넣은 것과 묶은 것을 더해 스무 낱 가까이 되는 것을 내다 놓고 들어와 방을 둘러 보니 한결 깔끔해 보였습니다. 아직 더 갈무리해야 할 것이 남아 있는데 마저 하고 나면 남들한테 보여도 부끄럽지 않을 만큼 되지 싶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그루잠'입니다. 이 말은 잠이 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긱 워커’를 대신할 쉬운 우리말로 ‘초단기 노동자’를 꼽았다. ‘긱 워커’는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공유 경제가 확산하면서 늘어난 차량 공유 서비스 운전자, 배달원, 택배 기사 등, 특정 회사나 조직에 소속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1인 계약을 맺는 초단기 노동자들을 일컫는 말로, 계약 기간이 짧게는 몇 시간 또는 며칠 정도일 수도 있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바꿈말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1월 15일(금)부터 17일(일)까지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긱 워커’의 대체어로 ‘초단기 노동자’를 꼽았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말이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외에 언론, 정보통신, 통번역,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SNS)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토박이말 찾기 놀이]1-2 비가 온다고 하더니 제가 사는 곳에도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그리 춥지 않고 포근한 것이 이른 봄 날씨처럼 느껴질 만큼 참 기분 좋은 날씨입니다. 늦은 아침을 먹고 셈틀 앞에 앉으니 지난 이레 한 일들이 생각납니다. 제 스스로 다짐한 대로 '토박이말 살리기' 글을 빠짐없이 썼고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과 '노래에서 길을 찾다'까지 올려 좋다는 말씀을 듣기도 했습니다. 멋지음두레 디자인그룹과 운힘다짐풀이를 했다는 기별을 널리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토박이말 찾기 놀이를 만들어 올리고 있습니다. 토박이말 살리기 6부터 10까지 낱말과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과 노래에서 길을 찾다에서 쓴 토박이말 몇 가지,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에 나온 토박이말을 더한 10가지 토박이말을 가지고 만들었습니다. 지난 글을 다 읽지 않은 사람을 생각해 뜻도 알려 줬으면 좋겠다는 말씀과 지난 글을 다시 보고 싶은 사람은 볼 수 있도록 걸어 주면 좋겠다는 말씀을 해 주신 분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찾기 놀이 밑에서 하실 수 있도록 해 놓았습니다. 도움 말씀 주신 분들께 고맙다는 말씀을 올립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아들, 딸. 어제 저녁을 먹고 마주 앉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참 기뻤다. 좀 나아지기를 바라고 그럴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는 것과 이야기 끝에 말했던 좋은 쪽으로 생각하고 고마운 마음을 갖고 살자는 말은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 오늘 들려 주고 싶은 좋은 말씀은 "우리가 어떤 일을 쉽게 하지 못하는 것은 그 일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그 일을 꾀하지 않기 때문이다."란다. 이 말은 로마의 슬기맑힘이(철학자) '세네카'라는 분이 한 말이라고 하는데 무슨 일이든 쉽고 어렵고를 생각하기 앞서 꾀해 보는 것이 얼마나 종요로운 것인지를 힘주어 나타내고 있는 말이라고 생각해. 흔히 '시도하다'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시도하다'와 뜻이 비슷한 토박이말 '꾀하다'가 있으니까 '시도하다'라는 말을 써야 할 때 '꾀하다'를 떠올려 써 보면 좋겠어. 해 보지도 않고 안 되는 까닭을 찾지 말고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무슨 일부터 하는 게 좋을 것인지, 어떻게 해 나갈 것인지를 하나씩 챙겨서 하면 못 할 일은 없을 거야. 우리보다 먼저 살다 가신 분들이 남겨 주신 좋은 말씀들을 하나씩 되새기며 살다보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디자인 그룹(대표 이정희)과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가 운힘다짐풀이(협약식)를 했다. 한밝달 스무하루(1월 21일) 2시 디자인 그룹에서 디자인 그룹 이정희 대표와 (사)토박이말바라기 강병환 으뜸빛이 운힘다짐글(협약서)에 이름을 쓴 뒤 서로 주고받았다. 두 모임이 앞으로 토박이말 놀배움을 가운데 두고 토박이말 살리기에 뜻을 같이 하는 마음으로 여러 가지 도움을 주고받기로 글다짐을 한 뒤 손을 맞잡았다. 이 자리에서 이정희 대표는 자라는 아이들은 말할 것도 없고 온 나라 모든 사람들이 다 알고 쓰며 살아야 할 아름다운 토박이말 살리기에 함께할 수 있어 좋다는 말과 함께 멋을 지어내는 일과 관련되는 것들부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을 하나씩 찾아보자고 했다. 이에 강병환 으뜸빛은 이정희 대표께서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임도 이끌어 주시고 들말마을배곳 갈침이까지 해 주셨는데 이렇게 더 많은 도움을 주시겠다고 나서 주셔서 더 고맙다는 말에 이어서 앞으로 토박이말바라기가 더욱 나아지도록 함께 힘과 슬기를 모으자고 했다. 두 모임의 운힘다짐으로 토박이말바라기는 디자인 그룹의 일터 안에 작은 일터를 마련해 함께 쓸 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오늘부터 온 나라에 비가 내릴 거라고 하더니 해가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비가 내리는 날이면 까닭 없이 기분이 가라앉는 느낌이 들 때가 있곤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비가 오면 비가 오는대로 기분이 좋습니다. 오늘은 뒤낮(오후)에 기쁜 일이 기다리고 있어서 해처럼 제 마음도 아주 밝답니다. 날마다 고마운 일이 끊이지 않아 고맙다는 말을 자주 하다보니 고마워할 일이 이어서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뒤낮에 있을 일도 토박이말바라기가 좀 더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뒷닫침하는 일이고 토박이말 살리는 일에도 큰 보탬이 될 거라 믿습니다. 무슨 일인지는 뒤에 꼼꼼하게 적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토박이말 '그러께'는 '지난해의 앞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흔히 '지지난해'라고도 하지만 '재작년'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시다 보니 처음 보시는 분도 계시지 싶습니다. 어릴 때부터 '그러께'라는 말을 듣거나 보았다면 이렇게 다른 나라 말처럼 낯설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제라도 알게 되었으니 둘레 사람들한테도 알려 함께 쓰고 살다보면 우리 아이들은 우리처럼 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재작년'이라는 말을 써야 할 때 '그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아이 어른 할 것없이 어쩜 저렇게 좋아할 수 있을까 싶은 일이 어제 있었습니다. 바로 제가 사는 고장에 여러 해 만에 눈이 내린 것이죠. 잠을 자던 아이들도 눈이 온다는 말을 듣고 벌떡 일어나고 어른들은 눈이 오는 것을 찍어 둘레 사람들에게 보내며 남긴 말들에 기쁨이 묻어 있는 것 같았지요. 하지만 눈사람을 만들고 눈싸움을 할 만큼은 아니라서 아쉬워하는 아이들만큼 저도 조금 서운했었습니다. 여러 해를 기다리던 눈이 와서 좋으면서도 좀 더 내렸으면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생각을 했습니다. 우리는 언제 무슨 일로 그늑한 기분을 느낄까 하고 말이죠. 여러분은 언제 무슨 일로 그늑한 기분을 느끼시는지요? 마음먹기에 따라 날마다 여러 가지 일로 그늑함을 느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오늘 토박이말 '그늑하다'는 '모자람이 없이 느긋하다'는 뜻입니다. 그늑한 기분이 든다면 그게 흔히 말하는 '행복'이 아닐까요? 그늑한 기분을 자주 느끼는 날들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토박이말에 마음을 써 봐 주시고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시는 여러분 모두 고맙습니다. 4354. 1. 19. 바람.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은 2021년 1월 19일(화)에 기획특별전 <문자 혁명-한국과 독일의 문자 이야기(Letters in Print–Korea and Germany Compared)>의 전시장을 대중에 공개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해 12월 17일 개막하였으나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한 휴관으로 그간 직접 공개되지 못하다가 재개관을 통해 대중에 선보이게 되었다.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2021년 4월 25일(일)까지 열며 관람료는 무료다. 같고도 다른, 다르고도 같은 한국과 독일의 문자 혁명 지금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문자 생활은 오랜 시간 인간의 노력으로 이루어낸 혁명적 산물이다. 특히 인쇄술을 통한 자국어 문자의 보급과 확산은 한국과 독일의 문자문화 발전에서 핵심적인 사건이었다. 이번 전시는 아시아의 한국과 유럽의 독일에서 자국어 문자문화의 발달 양상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 주요 유물과 사건, 통사적 흐름, 시·공간적 구분을 통해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전시이다. 한국과 독일의 인쇄술 개량과 발명, 자국어 번역과 보급 노력을 통한 문자문화 확산 양상, 인쇄 글꼴의 발달을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