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서울시는 취약계층 반려동물 의료 지원 사업인 「우리동네 동물병원」사업을 오는 3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시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취약계층의 경우, 평상시 양육비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아플 때 지출해야 하는 진료비에 대한 부담이 커 이를 완화하기 위해 ’21년부터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을 시작했으며, ’22년 1,388마리, ’23년 1,864마리, ’24년 2,539마리의 진료비를 지원한 바 있다. 2019년 취약계층의 반려동물 양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외로워서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었다는 답변이 20.4%였으며, 반려동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어려움을 생활비를 줄여 해결한다는 답변이 37.7%로 나타났다. 이처럼 반려동물 의료지원을 통해 동물복지와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함께 높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사업에 참여하는 동물병원이 지난해 113개소에서 134개소로 늘어나 취약계층 반려동물의 의료지원 접근성이 보다 향상되었다. 보호자가 기본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을 제외한 금액은 시·자치구 및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의 재능기부로 지원된다. 개 또는 고양이를 기르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이 반려동물과 함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저번에 펄 벅 여사의 《살아 있는 갈대(Living Reed)》에 나오는 주인공 일한의 아버지를 얼핏 엿 보았다. 펄 벅은 제 나라 전통을 사랑하고 긍지를 깊히 품고 사는, 완고해 보이는 조선 선비를 잘 그려내고 있다. 조금 더 그 선비를 구경해 보기로 하자. 일한의 집안은 안동김씨 명문가다. 중전마마는 일한을 가끔 불러 대화를 나눈다. 일한과 중전은 이성으로서 끌림을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한은 중전이 부르지 않아도 중전을 찾아간다. 일한의 아내는 질투에 시달리기도 한다. 어느 맑은 날 일한이 중전을 만나고 나오자, 대궐 문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기다리고 있다. 일한은 대궐에서 가까운 성안에서 살고, 부친은 대대로 살아온 성 밖의 시골집에서 살고 있다. 아버지는 가정사에 무심하지만 그렇다고 여색이나 도박에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친구 없이는 못 산다. 아버지 집에 친구들이 모이면 으레 같은 이야기를 나누지만 항상 처음 하는 이야기인 양 흐뭇해한다. 그들은 “옛날의 영광을 회상하거나 조국의 영웅에 관한 일화를 이야기하거나, 일본의 불교가 조선을 통해서 건너가 개화했다는 것을 논하거나, 일본의 여러 가지 기념비적인 예술품과 문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조선의 산업 곧 먹고 사는 길은 농업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세종은 농업이 주 산업인 시대에 만약 가뭄이나 장마, 돌림병이 돌면 민생 대책을 어떻게 세웠을까? 《조선왕조실록》에 ‘민생가려’라는 항목을 통해 만약 민생이 어려워졌을 경우 세종은 어떻게 대응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세종의 정치 지도력을 알아보고 있다. 먼저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뭄’에 대해 출현 횟수를 보면 국역에서 모두 3,463건 세종 323건, 성종 454건, 중종 474건, 숙종 224건, 영조 255건 등으로 세종 때는 많은 편에 속한다. 비숫한 ‘장마’를 찾아보면 모두 930건 가운데 세종 105건, 중종 54건, 선조⋅정조 68건, 고종 67건 등이다. ‘장마’는 세종 때 가장 많았다. 실제로 악재를 만났는지 실록의 기록이 충실해서 그랬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세종은 자연의 혜택을 많이 누리지 못한 임금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세종 때 토지 개간이 가장 많았다는 당시 통계는 세종의 가뭄과 농업 대책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하겠다. 지난 연재에서 몇 회 가뭄이나 홍수, 질병 등이 찾아왔을 때 세종이 대응하는 모습을 ‘민생가려’라는 열쇠말을 통해 알아보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이 소장한 「의친왕가 복식(義親王家 服飾)」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의친왕가 복식」은 의친왕비(義親王妃) 연안 김씨(1880~1964)가 의친왕(1877~1955)의 다섯째 딸 이해경(李海瓊, 1930~) 여사에게 전해준 것으로, 왕실 여성의 예복 가운데 겉옷인 원삼(圓衫)과 당의(唐衣) 및 스란치마, 머리에 쓰는 화관(花冠), 노리개, 그리고 궁녀용 대대(大帶, 허리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이 이해경 여사로부터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 * 의친왕비: 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낸 김사준(金思濬, 1855~?)의 딸이며, 본명은 김덕수(金德修). 1893년 간택 과정을 거쳐 고종(高宗)의 다섯째 아들 의친왕(義親王, 1877~1955)과 혼례를 올렸으나 자녀는 없었음. * 이해경: 어린 시절 생모와 헤어져 의친왕비 슬하에서 성장했으며, 경기여고와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1956년 미국으로 유학을 가 현재까지 거주 중 이번에 지정된 의복과 장신구는 유래가 명확하고 착용자의 지위에 따른 궁중복식의 특징과 다양성을 보여 주는 실물 자료로서 학술적ㆍ예술적 값어치가 매우 크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소장 정종익)는 도서출판 창비(대표이사 염종선)와 함께 오는 3월 24일 낮 2시 창경궁 대온실(서울 종로구)에서 ‘창경궁 『대온실 수리 보고서』 책이야기’ 행사를 연다. 창경궁 대온실은 1909년 대한제국 시기에 완공된 우리나라 첫 유리 온실로, 건립 당시의 건축적 특징이 비교적 잘 보존된 근대건축물로, 2004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번 행사는 창경궁 대온실을 소재로 한 김금희 작가의 장편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매개로 근대유산으로서 대온실의 값어치를 친숙하게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김금희 작가와 근대유산 전문가(이연경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를 초청해 창경궁 대온실에 관한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으로 탄생한 소설 속 이야기를 균형 있게 다루고, 독자와의 질의응답, 김금희 작가의 사인회, 기념 촬영과 함께 소설 속 배경으로 등장하는 대온실 권역, 춘당지, 월근문 등을 둘러보는 시간도 마련된다. 일제강점기의 공원화 정책에 따른 수많은 훼손과 변형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창경궁과, 그 안에 있는 한국 근ㆍ현대사의 중요한 건축 유산 가운데 하나인 창경궁 대온실의 역사적 맥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이 문화체육관광부와 17개 광역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는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서류전형 합격자 3,239명의 명단을 발표하였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은 여성 어르신을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파견해 옛이야기와 선현미담을 들려주는 사업으로 2009년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1기 30명 선발로 시작하여 현재 3,2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가 8,300여 개 유아 교육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제17기 이야기할머니 650명 선발에 3,280명 지원, 5:1의 경쟁률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모집은 지난 1월 15일(수)부터 2월 1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650명 선발에 모두 3,280명이 지원해 5: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은 1차 서류전형에 합격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3월 12일(수) 대전을 시작으로 3월 25일(화)까지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원주, 제주 등 권역별로 면접한다. 면접전형에서는 이야기 구연 능력을 포함한 지원동기의 적합성, 유아 인성 교육자가 지녀야 할 자세, 활동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면접전형 합격자는 4월 4일(금) 17시에 누리집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한영 기자] 춘천문화재단(이사장 박종훈)은 춘천시가 법정 문화도시 4년 차 사업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성과평가에서 최우수도시로 뽑혔다고 밝혔다. 이는 춘천시와 춘천문화재단이 지난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펼쳐 왔던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결과로, 특히 지난해에 이어 3년 연속 최우수 문화도시로 뽑힘으로써 춘천시의 문화적 값어치와 잠재력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성과평가에서 제1~4차 법정문화도시 24곳 가운데 최우수 문화도시로 뽑힌 4곳은 다음과 같다. ▲1차 문화도시 : 부산 영도구 ▲2차 문화도시 : 강원 춘천시 ▲3차 문화도시 : 경남 밀양시 ▲4차 문화도시 : 강원 영월군 * 춘천문화재단은 2020년부터 법정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1년 제2차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되었다. 2022년~2023년 성과평가에서 2년 연속 최우수 문화도시로 뽑힌 바 있다. 춘천문화재단의 노력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성과로 이어졌다. 문화도시 협업 프로젝트로 제작된 단행본 <로컬 씨, 어디에 사세요?>는 제8회 한국지역출판대상에서 대상을 받았고, 빈집과 빈 상가를 활용하여 추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서울시 서부공원여가센터는 월드컵공원 내 평화의 공원에서 친환경 예식 <새록결혼식>을 올릴 예비부부를 10월 10일까지 수시로 모집한다. <새록결혼식>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운영한 ‘소풍결혼식’의 새 이름으로, 솔숲정원과 포토존을 신규 조성하여 2025년 3월부터 정식 개장할 계획이다. 예식은 3월부터 11월까지 주중과 토‧일요일 모두 진행되며 1일에 최대 2개의 결혼식만 진행해 여유있는 예식을 치를 수 있다. <새록결혼식>은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모양이란 뜻의 ‘새록새록’을 차용하여 새로이 부부의 인연을 맺는다는 뜻을 담았다. 또한 새록의 ‘록(綠)’은 초록빛을 뜻하는 ‘신록(新綠)’의 의미를 함께 담아 자연 친화적(친환경) 예식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월드컵공원에서 운영하는 친환경 결혼식은 결혼 준비부터 예식에 이르기까지 환경오염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결혼식이다. 친환경 결혼문화 확산과 피로연 문화 개선에 앞장서고 있으며, 2015부터 2024년까지 96쌍의 커플이 참여하여 각자만의 독창적인 예식을 진행했다. <새록결혼식>은 일반 야외 결혼식과 달리 꽃장식, 청첩장 등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00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우리땅)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도동 1번지 동경 132 북위 37 평균기온 12도 강수량은 1300 독도는 우리땅(우리땅)♬♩ 1982년 6월부터 방송을 통해 불리기 시작한 이 노래 「독도는 우리 땅」, 이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지 않은 우리 국민은 없을 것이다. 짧은 4행시 가사가 이어지며 그 행 마지막에 ‘독도는 우리 땅’ 후렴구는 다시 ‘우리 땅’이란 코러스로 받는 이 노래는 경쾌한 동요풍으로서 아무리 들어도 지겹지 않고, 금방 따라 부르며 독도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바꾸는 국민가요가 되었다. 이 노래를 작사 작곡한 분은 방송국 피디였던 박인호 씨다. 본명이 박문영으로 고등학교 때 현악반 반원으로 필자의 1년 선배였던 박인호 씨는 이 노래가 크게 히트한 이후 1990년에는 <우리 역사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이란 노래를 다시 잇달아 발표해 역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의 2집 합창단으로 참여한 서선택 씨는 이후 방송국 레크레이션 진행자였던 자신의 운명을 바꾸었다. 서 씨는 자신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커 피 130년 전 고종이 처음 마신(달) 서양 기호문화의 첫 도입품(돌) 양탕국이라 이름 붙였었네(초) 지금, 검은 욕망의 국민음료(심) ... 25.2.19.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우리나라에 커피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96년 ‘아관파천’ 때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한 고종이 커피를 처음 마시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30년 전의 일이다. 서양에 견주면 아주 최근에 속하지만 근래의 우리나라 커피 붐은 세계가 주목할 만한 수준이다. 동아시아 녹차의 전파 과정이나 음차 전통과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옥광)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