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이 개발한 글루코시놀레이트* 고함량 배추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예방에 효과적임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이 겪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간경변, 간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 글루코시놀레이트: 식물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성분으로, 체내 활성산소 축적을 막아줘 세포 손상을 줄이고 암과 관련된 호르몬 생성과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짐. 농촌진흥청은 2017년 소포자배양 기술*을 이용해 고글루코시놀레이트 쌈배추를 개발했다. 글루코시놀레이트 가운데서도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글루코라파닌과 글루코나스터틴이 일반 배추보다 10배 이상 많이 함유돼 있다. 연구진은 이 배추가 대장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관련 내용을 특허 등록한 바 있다. * 소포자배양 기술: F1 교잡식물의 어린 소포자(꽃가루)를 배양해 식물체를 유기하는 것 경희대학교(이석근 교수 연구팀)와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 유리지방산을 처리한 간세포의 지방이 약 1.5배 증가했으나, 고글루코시놀레이트 쌈배추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지방 축적량은 약 8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현대에 들어서 간의 생리 기능이 대중적으로 알려지면서 간의 건강에 대한 중요성은 모두가 익히 알고 있다. 간은 크게 해독(解毒), 대사(代謝), 저장(貯藏)의 3대 기능이 있다. 성인들의 음주를 해독해주고, 여러 식품첨가물과 악성을 해독하는 등 해독에 대한 능력은 대부분 잘 알고 있다. 한약을 복용할 때도 간의 부담을 항상 신경 쓰며 조심스레 접근하는 경향도 있다. 또한 간의 물질대사도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 되며 건강과 활력의 지표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아울러 간은 에너지 대사의 중심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창고 역할을 하며 이러한 창고의 가용능력이 힘을 상징한다. 이와 같은 간의 기능과 역할은 생명활동을 위한 다양하고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이를 한마디로 ‘인체의 생산 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의 기능이 떨어지고 각종 간질환이 발생하면 신체의 여러 가지 기능도 저하되고 생명활동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이상증세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다행이면서도 위험한 것은, 간질환은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거의 증상이 없는 것이다. 이것은 간의 각종 간 손상에 대비하여 충분한 예비기능을 비축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