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내국인 귀화자, 내국인 이민자 2세와 외국인 인구를 합친 이주배경인구가 전체 인구의 5%를 넘으면 ‘다문화·다인종 국가’로 분류한다. 2023년 우리나라의 이주배경인구는 전체 인구의 4.89%, 인구수로는 250만 7,584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같은 수치는 한국 사회가 본격적인 다문화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에 금천연극협회(회장 박우열)는 ‘금천구 개청 30돌’에 발맞춰 시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축제 한마당 ‘제1회 금천, 다문화를 품다’를 8월 30일 31일 이틀간 금천뮤지컬센터에서 연다. 이 축제는 서울특별시 민간축제지원사업으로 열린다. 8월 30일 ‘다문화사회 세미나’를 시작으로 개막식과 연극 공연 등 알차고 다양하게 진행되는 이번 축제는 ‘시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사회’를 주제로 하여 우리 사회가 다문화인을 이해하고, 소통하고, 함께 마주할 수 있는 사회, 더 나아가 세계시민(global citizen)으로 나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주목할 것은 이 축제에서 선보이는 연극공연 2편이다. 이 공연들은 전문 극단과 배우, 시민과 다문화인들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7월 20일) 저녁 6시 서울 금천구 금천뮤지컬센터에서는 프로젝트팀 창작단 '햇모로' <이끌림, 그리고> 공연이 열렸다. 이 작품의 초연은 인천항구프렌즈페스티벌에서 뽑힌 '운명 같은 인연'의 작품을 극 중심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지난해 8월 22일 GAF 공연예술제 단막극 〈이끌림〉으로 출전한 것을 이번 전문 국악극 연출가, 전문 연극 및 뮤지컬 연출가, 전문국악실내악단, 전문 무용수들과 협업하여 <이끌림, 그리고>로 완성도를 높인 것이다. 일반인들에겐 조금 생소한 장르일 수도 있는 융합극은 무대에 올려진 악기를 통해 표현하는 음악과 춤 그리고 영상과 낭독이 각자의 영역에서 자신의 심중을 드러내지만, 결국 그것은 하나로 향하는 극을 말한다.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몇 사람의 연기자가 중심이 되고 다른 것들은 연기자를 뒷받침하는 것에 불과한 다른 장르와 달리 각자가 나름의 개성을 보여주면서도 마지막으로는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게 만드는 것이다. 무대는 먼저 신새봄 소리꾼이 판소리 <춘향가>의 ‘쑥대머리’ 창에서 시작한다. 눈이 펑펑 내리는 산길 느닷없이 나비가 나타난다. 그리곤 자아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8월 22일 저녁 6시 창작단 햇모로가 제11회 가프(Glocal Acting Fstival) 공연예술제에 뽑혀 금천뮤지컬센터에서 공연을 했다. 융합극, 과연 무엇일까? 공연장에 들어가 보니 무대에는 두 대의 거문고, 그리고 25현 가야금 그밖에 생황과 타악기가 놓여 있다. 또 한편으로는 다이어리가 놓인 책상이 하나 있다. 참으로 생소한 무대다. 시작되면서 거문고에 의한 음악이 극장 안을 온통 휩싸 안는다. 연주는 그저 전통적인 것만이 아닌 활로 밀어내는 색다른 경험도 보여준다. 그리곤 연기자 한 사람이 무대에 나와 독백처럼 몇 마디 하고는 책상 뒤의 의자에 앉으며 다이어리를 펼쳐 든다. 무대 뒤의 막에는 하얀 눈이 소복이 내리고 있다. 곧이어 춤꾼이 무대로 나오면서 사뿐 춤을 춘다. 창작단 햇모로 <이끌림>은 진정한 나를 만나는 여정을 담은 융복합 음악 기반 낭독극으로 내 안의 나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통해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여정을 담았다는 설명이다. 운명 같은 인연은 결국 내 안의 이끌림을 통해 가식의 나를 버려야 찾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인가? 이 작품의 초연은 2015년 인천항구프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