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당나라가 서로 각축을 벌이던 서기 600년대 혼란기에 태어나, 깨달음을 목표로 수행하고 공부하고 포교하며 살았던 당대 스님들들은 왕실안녕과 귀족들의 극락왕생을 위한 불교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그런 시대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역사적 장면을 보았던 한국불교의 대스승 원효대사가 있었기에 이후 전국의 곳곳에는 원효스님의 이름을 딴 많은 절들이 생겨났다. 원효스님은 서기 617년 태어나 686년 입적한 신라 토종 화엄사상을 개척한 스님으로 당시에는 화엄학의 선진국인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화엄사상의 초조(지엄)로부터 화엄종을 도입한 의상대사와 쌍벽을 이루었다. 그런데 원효는 젊어서는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가려고 신라땅을 떠나려했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가는 배가 있는 당진포구 근처의 한 움막에서 하룻밤을 지내다가 한 밤중에 깨어나 목을 축이고자 마신 물이 아침에 일어나 보니 해골물이었음에 갑자기 구역질이 났다. 그리고 고뇌하게 되었다. 원효는 해골물을 마신 뒤 모든 사물과 불교에서 구하고자 하는 진리에 대하여 고심한 결과 문득 깨달은 바가 있어,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다'(일체유심조)임을 깨닫고. 당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우리 일행은 이제 4명이 되었다. 우리는 정 교수의 모교이자 광주의 명문고이며 광주 학생 운동의 본거지인 광주일고를 잠깐 구경했다. 광주 학생 운동 기념탑이 한쪽에 있었다. 광주일고는 원래 변두리에 있었는데, 이제는 시내의 중심이 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근처의 한식집에서 저녁식사를 하였다. 호남 지방을 여행해 본 사람은 잘 알 것이다. 한정식을 주문하면 정갈하고 맛있는 반찬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따라 나온다는 사실을. 왜 이렇게 반찬이 많이 나오는가를 연구한 사람의 글을 읽어본 적이 있다. 이 지방에는 첫째, 손님을 환대하는 전통이 강하였고, 둘째, 은연중에 음식 팔아 돈을 버는 것을 악덕으로 여기는 상도덕이 자리 잡고 있었고, 셋째 물림상 습속이 발달하여 어른이 먹고 나면 사내 식구가 그 밥상을 물려 먹고, 다시 아녀자에게, 다시 종에게 상을 물려 먹다 보니 반찬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아름다운 풍습이 쓰레기 종량제 이후 비판을 받아 요식업자들은 음식 쓰레기를 줄이자는 차원에서 반찬 줄이기 운동을 벌였단다. 그래서 나온 안이 24가지 반찬은 너무 많으니 18가지로 줄이자는 운동이라고 하니 그저 기가 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