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지난 7월 3일부터 오는 8월 24일까지 경기도 수언시 팔달구 행궁로 11. ‘수원문화재단’에서는 《윤동주가 사랑한 한글》 전시가 열리고 있다. 《윤동주가 사랑한 한글》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의 시어를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고 발견한 한글 단어와 예술적인 창의성을 결합한 전시다. 전시를 기획한 사비나미술관은 윤동주의 시 124편을 윤동주기념사업회와 협력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윤동주의 문학에 사용빈도수가 높은 시어 20개를 추출했다.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빅데이터가 뽑은 윤동주의 시어에서 한글이 가진 예술적인 창작성과 문화적 값어치를 탐색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법으로 해석하여 회화, 조각, 설치, 사진,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각예술로 구현해냈다. 전시는 윤동주의 대표적인 작품인 <서시(序詩)>와 <별 헤는 밤>을 열쇠말로 작가들의 작품들이 공간에 구성되며 윤동주의 문학과 시어를 연구하며 발견한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한 작가노트를 비치해 전시장을 찾은 한국의 관람객들에게 한글이 가진 아름다움과 새로운 문화적 값어치를 전달하며 우리 고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은 올해 광복 80돌을 기념해 한지특별판 도서 3종과 독립운동 관련 콘텐츠 3종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은 일제강점기라는 억압의 시대 속에서도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외쳤던 선열들의 염원을 우리 전통종이 ‘한지’에 담아, 그 뜻을 오늘에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지로 다시 만나는 독립의 기록, 시대를 넘어 오늘에 전하다 한지특별판 도서로는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이육사의 「육사시집」,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 제작되었다. 표지 디자인에는 각 세대를 대표하는 디자이너 ▴박금준(601비상), ▴권준호(일상의실천), ▴함지은(상록)이 참여해, 전통 소재인 한지 위에 세대별 디자인 언어를 얹어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지를 재해석했다. 또한, 독립운동 관련 콘텐츠로는 「독립신문(상해판)」 창간호, 「국내외 동포에게 고함」, 「3·1 독립선언서」 영인본을 한지에 재현해, 역사적 값어치와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했다. 한지는 닥나무 섬유를 활용해 전통방식으로 제작한 우리 고유의 종이로 견고하고 통기성이 뛰어나 ‘천 년을 간다’라는 말이 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6월 14일 저녁 4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808.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씨어터’에서는 기타리스트 김진세 리사이틀 <별 헤는 밤>이 열린다. 기타리스트 김진세의 이번 성남아트센터 공연은 2024년 10월 발매한 3집 정규앨범 '별 헤는 밤'의 수록곡들로 구성하고 있다. 이 앨범은 한국의 대표 시인인 윤동주의 별 헤는 밤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앨범이다. 윤동주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19편의 시 가운데 하나인 별 헤는 밤에는 6가지 주제의 별이 등장한다. 화자가 추억, 사랑, 쓸쓸함, 동경, 시, 어머니라는 6가지의 별들을 통해 독자들을 만난 것처럼, 기타리스트 김진세도 시인이 우리에게 남기고 간 시구들을 떠올리며 직접 곡을 고르며 편곡하여 청중을 만나려 한다. 별 헤는 밤의 시구들에서 느낀 감정과 생각들을 떠올리며 선곡하였고, 연주자의 감정과 원곡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일반적인 6현 클래식기타가 아닌 11현 알토 기타를 함께 사용하여 작업하였다. 음악과 시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접근이자 도전처럼, 기타리스트 김진세도 일반적인 기타가 아닌 11현 알토 기타라는 새로운 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옥션은 오는 22일 저녁 4시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제183회 미술품 경매>를 연다. 올해 광복 80돌을 맞아 서울옥션은 일제의 조선침탈과 패망,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빛났던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와 작품들을 소개한다. 이 밖에도 나라 안팎 주요 근현대 미술가들의 작품과 럭셔리 품목이 다채롭게 출품된다. 출품작은 모두 132랏(Lot), 낮은 추정가 총액 약 110억 원이다. <제183회 미술품 경매>에는 불교를 통해 조선의 정신을 일깨우려 한 종교인이자 문학을 통해 조국 독립의 염원을 노래한 시인 만해 한용운의 <심우송> 병풍이 출품된다. 이 병풍은 만해 노년의 전형적인 서풍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그의 필적 가운데 보기 드문 10폭 대작이다. 보존 상태도 양호해 서울특별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됐다. 칠언절구 10수의 <심우송(尋牛頌)>은 불도의 수행경로를 동자승이 잃어버린 소를 찾는 여정에 비유하고 있다. 작품에서 소를 찾아 헤맨 끝에 마침내 소를 발견한 동자승은 이내 소와 자신의 구분을 잊는 무아의 경지에 이르고 깨달음을 얻는다. 깨달음을 얻은 뒤에는 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917년에 태어난 윤동주 시인은 일본 교토 도시샤대학 재학 중이던 1943년 7월 항일운동 혐의로 체포돼 수감생활을 하다가 1945년 2월 16일 후쿠오카 교도소에서 숨졌다. 그런데 윤동주 시인이 숨잔 2월 16일 앞뒤로 일본에서는 윤동주를 추모하는 모임이 해마다 열리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미국에서도 ‘윤동주의 시를 노래하는 밴드 <눈오는 지도(SNOWING MAP)>’는 해마다 윤동주 시인의 추모 공연을 해왔다. 기타리스트인 한은준을 비롯하여 <눈오는 지도> 단원들은 윤동주 시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작품에 곡을 만들어 음반에 수록(14곡), 지난 2007년부터 미국과 한국 등지에서 윤동주 시인의 기일인 2월 16일을 기해 추모공연을 해오고 있다. 그 <눈오는 지도>는 윤동주 서거 80주기를 맞아 고국에서 추모공연을 했다. 어제 2월 23일 저녁 7시 서울 선릉로 GB성암아트홀에서 뜻있는 공연을 올린 것이다. 무대가 열리자 6인의 <눈오는 지도> 단원들은 조용히 의자에 앉아 있다. 한은준(기타) 씨를 비롯해 정도현(해금), 최자연(건반), 김효영(더블베이스), 최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윤동주 시인의 일본 유학시절 하숙집이 있던 교토 타카하라(高原)에서는 시인을 추모하는 헌화식에 이어 ‘윤동주의 시’에 관한 세미나와 낭독회, 다큐영화 상영 등 다양한 추모행사가 있었다. 먼 고향 북간도의 조선 청년 윤동주(1917-1945)는 도쿄의 릿쿄대학을 거쳐 이곳 교토의 도시샤대학에 적을 두고 타카하라 하숙집에서 고독한 유학생활을 시작했다. 그 쓸쓸한 하숙집 방에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식민지 조국의 광복을 꿈꾸며 모국어로 시를 쓰다가 잡혀가 스물일곱에 삶을 마감한 윤동주, 그가 교토에 머물렀던 하숙집은 헐렸고 그 자리에는 일본의 명문 예술대학인 교토예술대학(京都芸術大学)이 들어섰다. 그러자 ‘시인 윤동주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그의 하숙집 자리에 2006년 시비(詩碑)를 세웠고 교토예술대학에서도 해마다 윤동주 시인의 추모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올해, 윤동주 서거 80주기를 맞아 교토예술대학에서는 지난 2월 14일, 추모행사를 이어갔다. 아침 10시, 국화꽃을 바치는 헌화식에 이어 윤동주 다큐 영화 <高原타카하라> 3회 상영, 문예표현학과 나카무라 준(中村純) 교수와 학생들의 세미나 ‘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내일(16일) 낮 12시 30분, 교토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学) 예배당에서는 아주 특별한 명예 박사학위 증정식이 예정되어 있다. 도시샤대학은 윤동주(1917~1945)시인이 다니던 대학으로 이 대학의 고하라 가쓰히로(小原 克博) 총장은 1875년, 이 대학 설립 이래 고인(故人)에게 수여하는 최초의 학위 수여자로 윤동주 시인을 결정했다. “지금도 한국으로부터 많은 고등학생이랑 관광객이 끊임없이 본 대학의 윤동주 시비를 찾아오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16일은 윤동주 서거 80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도시샤대학은 2025년에 설립 150주년을 맞이하며 그동안 전쟁의 시대가 있었고, 많은 학생들이 그 시대의 희생자가 되었던 사실을 잊을 수 없습니다. 2025년, 일본 사회가 전후(戰後) 80주년을 되돌아보는 한편, 윤동주 시비 건립 30주년을 기념하는 과정에서 우리 대학은 그 역사 속에 윤동주가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역사의 교훈을 마음에 새기며 새로운 시대를 전망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2024년 12월, 윤동주에게 명예 문화박사 학위를 수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수여식은 2025년 2월 16일)” 이는 도시샤대학 누리집에 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미국 뉴저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윤동주의 시를 노래하는 밴드 <눈오는 지도(SNOWING MAP)>의 한은준입니다. 올해는 윤동주 서거 80주기를 맞아 고국에서 추모공연을 마련했습니다. 70주기 때에도 고국에서 했었는데 벌써 10년이 지났네요. 2007년부터 해마다 윤동주 시인의 기일을 맞아 윤동주의 시를 노래하는 밴드 <눈오는 지도>가 추모공연을 해왔는데 이번에는 특별히 고국 무대에 서게 되어 설레입니다. 윤동주를 사랑하는 고국의 많은 분들과 공연장에서 뵙고 싶습니다." 이는 미국에서 해마다 윤동주 시인의 추모 공연을 해오는 ‘윤동주의 시를 노래하는 밴드 <눈오는 지도>’의 한은준 선생이 전해온 공연 소식이다. 기타리스트인 한은준 선생을 비롯하여 <눈오는 지도> 단원들은 1945년 2월 16일,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의 감옥에서 스물일곱에 세상을 떠난 윤동주 시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작품에 곡을 만들어 음반에 수록(14곡), 지난 2007년부터 미국과 한국 등지에서 윤동주 시인의 기일인 2월 16일을 기해 추모공연을 해오고 있다. "부끄러움을 모르던 시대에 부끄러워 하면서도 부끄럽지 않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인의 사랑을 흠뻑 받고있는 윤동주 시인은 올해, 순국 80주기를 맞이하는 해입니다. 윤동주 시인이 이곳 도쿄의 릿쿄대학(⽴教⼤学)에서 유학한 것은 1942년 일입니다. 이후 교토 도시샤대학(同志社⼤学)에 편입한 뒤 학업을 이어가다 한국어로 시를 쓴다는 이유를 들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숨진 지 8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하지만 윤동주 시인의 시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어 세계의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습니다. 올해 윤동주 시인 추도행사에는 특별히 니시하라 렌타(西原廉太) 총장의 강연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난 18일(토), ‘시인 윤동주를 기념하는 릿쿄모임(詩人尹東柱を記念する立教の会)’의 대표 야나기하라 야스코(楊原 泰子) 씨로부터 전해 들은 추도 행사 소식이다. 올해도 빠짐없이 윤동주 시인의 추도 행사가 일본 도쿄 릿쿄대학을 시작으로 열릴 예정이다. 윤동주 시인은 27살의 나이로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1945년 2월 16일 숨졌다. 이번 윤동주 시인 80주기 추도회는 2025년 2월 23일(일), 윤동주 시인이 8달 동안 유학생활을 했던 도쿄 릿쿄대학 교정에서 열린다. 1부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에서 3월이 되면, 사람들은 유관순 누나를 떠올리지만, 그보다 앞서 2월을 이야기할 때면 나는 ‘윤동주 시인’을 먼저 떠 올린다. 1917년 12월 30일에 북간도 명동촌에서 태어나, 1945년 2월 16일 일본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일제의 고문을 받고 27살의 나이로 삶을 마감한 청년 윤동주. 사실 내가 윤동주 시인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한 20여 년 전만 해도 ‘한국의 2월’은 나에게 맹숭맹숭했다. 그런 내가 해마다 2월이면 윤동주 시인을 떠올리게 된 계기는 윤동주 시인을 추도하는 일본인들을 알게 되면서부터다. 전국 각지에서 조선청년 윤동주 시인을 추도하는 일본인들을 취재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나의 2월은 ‘윤동주’가 자리 잡았다. (일본인들의 윤동주 추도 모임은 기사 맨아래 참조) 해마다 2월이면 일본 도쿄를 비롯하여, 교토, 후쿠오카 등에서 윤동주 시인을 추도하는 일본인들의 기사를 쓰면서 마음 한구석에는 ‘한국인들의 윤동주 추도는?’이라는 궁금증이 일었다. 등잔밑이 어둡다고 정작 내나라에서는 누가, 어디서 윤동주 시인을 추도하는지 알길이 없었다. 그러던 차에 ‘한국에서 말없이 윤동주 시인을 추도’하는 젊은 영화감독을 알게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