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이 문화체육관광부와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추진하는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면접전형 합격자 655명의 명단을 4월 4일(금) 저녁 5시 발표한다. 제17기 이야기할머니 면접전형은 지난 3월 12일(수) 대구 권역을 시작으로 3월 25일(화)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원주, 제주 등 7개 권역별 면접장에서 실시했으며, 3,280명이 지원 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가 43:1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면접전형에 합격한 예비 이야기할머니들은 5월부터 10월까지 신규교육, 월례교육 등 양성과정을 이수한 후, 평가를 거쳐 11월 3일(월) 최종적으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로 뽑는다. 앞으로 5년 동안 거주 지역 인근의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늘봄(돌봄)교실에서 주 2∼3회 이야기를 들려주는 활동을 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할머니 누리집(www.storymama.kr) 또는 이야기할머니사업본부 대표전화(☎ 080-751-07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이 문화체육관광부와 17개 광역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는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서류전형 합격자 3,239명의 명단을 발표하였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은 여성 어르신을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파견해 옛이야기와 선현미담을 들려주는 사업으로 2009년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1기 30명 선발로 시작하여 현재 3,2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가 8,300여 개 유아 교육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제17기 이야기할머니 650명 선발에 3,280명 지원, 5:1의 경쟁률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모집은 지난 1월 15일(수)부터 2월 1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650명 선발에 모두 3,280명이 지원해 5: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은 1차 서류전형에 합격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3월 12일(수) 대전을 시작으로 3월 25일(화)까지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원주, 제주 등 권역별로 면접한다. 면접전형에서는 이야기 구연 능력을 포함한 지원동기의 적합성, 유아 인성 교육자가 지녀야 할 자세, 활동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면접전형 합격자는 4월 4일(금) 17시에 누리집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1월 15일(수)부터 2월 14일(금)까지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해 유아들에게 옛이야기를 들려줄 제17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650명을 공개 모집한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무엇일까?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여성 어르신이 전국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해 옛이야기와 선현미담을 들려주는 사업으로, 2009년도에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제1기 30명 선발로 시작하여 현재 3,0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가 8,300여 개 유아교육기관에서 활동하는 전국 단위 사업으로 발전하였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선발에서 학력이나 경력 사항 등은 고려 사항이 아니며, 1951년 1월 1일 ~ 1969년 12월 31일 출생한 대한민국 국적의 여성으로 평소 자원봉사에 관심이 있거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한 분이면 누구든 지원할 수 있다. 다만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선발 제외 지역이 있으니, 공고문의 지역별 선발 현황을 확인해야 한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에 지원하려면 지원 방법은 이야기할머니사업본부 누리집(www.storymama.kr)에서 선발 공고문을 확인 후 1월 15일(수)부터 2월 14일(금)까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오는 12월 20일(금) 서울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명례방에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2024 제1회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 포럼’을 연다. 이야기할머니사업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열리는 전문 학술 포럼이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은 지난 2009년 30여 명의 할머니로 시작하여 2024년 현재 3천여 명의 할머니가 전국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늘봄, 돌봄)에서 활동 중이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은 미래세대의 인성 교육과 노년층의 사회 참여를 통한 자아실현, 전통문화의 세대 간 전승 등에 이바지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세대공감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통이야기 내용의 활용과 확산 모색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의 개회사를 필두로 모두 6명의 연구자가 발표를 진행한다. 1부에서는 옛이야기 구연 프로그램의 현재와 미래(유정월, 홍익대), 옛이야기를 통한 인성교육 현황과 과제(박현숙, 춘천교육대), 지역 전통이야기 활용과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류명옥, 부산외대)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에서는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K-Story의 나라 밖 보급과 확산을 위한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시니어 여성들의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11월 18일(월), 배우 문희경 씨를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1986년 가수로 데뷔한 문희경 씨는 영화, 드라마, 뮤지컬, 예능까지 종횡무진하는 전천후 연예인으로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힙합에서 트롯트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는 열정과 적극성으로 화제를 모았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은 여성 어르신이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해 옛이야기와 선현미담을 들려주는 사업으로 2009년에 시작하여 올해로 16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제1기 30명 선발로 시작하여 현재는 전국 3,083여 명의 이야기할머니가 8,300여 개 유아교육기관에서 약 50만 명의 유아들에게 우리의 옛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한국국학진흥원과 문희경 씨는 이번 이야기할머니 홍보대사 임명을 계기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더욱 많은 대중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적응해서 홍보할 계획이다. 홍보대사 위촉식은 대학로예술극장 내 대학로 공작소에서 진행됐으며, 문희경 씨는 앞으로 2년 동안 홍보대사로서 활동하게 된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홍보대사로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지난 9월 23일(월)부터 10월 18일(금)까지 연 ‘2024 이야기할머니 그림엽서 콘테스트’ 수상작을 발표했다. 이번 ‘그림엽서 콘테스트’는 이야기할머니 파견기관에 다니고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유아(만3~5세)부터 초등학생(1~3학년)까지 전국에서 모두 어린이 15,750명들의 그림엽서가 접수되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아동미술과 유아교육분야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주제 적합성, 창의성, 완성도를 기준으로 유치부 대상 1점, 최우수상 17점, 우수상 170점, 장려상 1,700점, 초등부 대상 1점, 최우수상 3점, 우수상 6점, 장려상 20점 등 모두 1,918점 작품을 수상작으로 뽑았다. 별도의 시상식은 없으며 수상자들에게는 엽서에 기재된 부모님의 연락처를 통해서 소정의 상품이 전달될 예정이다.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2024 이야기할머니 그림엽서 콘테스트에 참여해 주신 전국 어린이 참가자와 지도자 학부모님께 감사하다”라며 “앞으로도 그림엽서 콘테스트를 통해 이야기할머니가 들려주신 이야기를 되새기며 가족과 함께하는 참여의 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야기할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K-이야기 융복합 공연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를 오는 10월 26일(토)부터 내년 1월 25일(토)까지 전국 14개 도시를 순회하며 선보일 예정이다. 전통문화와 창작예술이 어우러진 K-전통문화 콘텐츠 지난해 첫선을 보인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는 주요 출연진들이 모두 이야기할머니들로 구성된 공연이다. 전통이야기를 중심으로 국악밴드, 창작뮤지컬, 마술, 사물놀이 등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융합하여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어린이 공연으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특히 올해는 그림자극, 국악 미디어아트, 인형극 등이 추가되어 더욱 풍성한 내용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이 사업은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문화체육관광부가 그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으로 축적해 온 전통이야기를 창작예술과 융합하여 K-전통문화 콘텐츠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전국 14개 도시에서 모두 28회 공연으로 대폭 확대 지난해 4개 도시를 순회한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는 올해 14개 도시로 공연 지역을 대폭 확대해 관객들을 찾아간다. 성남, 인천, 전주, 춘천, 안동, 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