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용산 개관 20돌 기림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연계 학술 행사를 7월 17일(목)과 7월 18일(금) 이틀에 걸쳐 연다. 연계 학술 행사는 특별전 출품작과 조선 전기 미술의 값어치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이들 모두를 위해 마련한 것이다. 나라 안팎 으뜸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연구 성과와 다양한 시각은 조선 전기 미술을 한층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조선 전기 미술, 나라 밖 연구자 초청 강연 7월 17일(목) 낮 2시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나라 밖 연구자 초청 강연을 연다. 동아시아 회화와 불화를 연구해 온 이타쿠라 마사아키(板倉 聖哲) 도쿄대학 교수와 이데 세이노스케(井手 誠之輔) 규슈대학 명예 교수 두 학자의 강연이 준비되었다. 이타쿠라 교수는 동아시아 회화 연구의 권위자로, 일본에 전해지는 조선 회화 작품을 발굴하는 데 크게 이바지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는 ‘조선 전기 산수화 재고-몇 가지의 해후를 계기로’라는 주제로 특별전에 출품된 작품을 포함한 조선 전기 산수화를 심층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이데 교수는 중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이하여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의 시작과 함께 꽃핀 15~16세기 미술의 정수를 한 자리에 모은 대규모 기획이다. 도자, 서화, 불교미술 등 당시 미술을 대표하는 691건의 작품이 출품되며, 이 가운데는 국보 16건, 보물 63건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지정문화유산이 포함된다.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작품도 23건에 달한다. 새로운 나라의 미술과 만나다 조선 건국 이후 200여 년 동안을 가리키는 조선 전기는 오늘날 우리 문화의 중요한 바탕이 형성된 때다. 유교를 통치 이념을 내세우면서 보편화된 유교적 가치관과 생활 규범은 오늘날 우리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훈민정음은 현재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소통 체계이자 시각 매체로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문화 형성에서 중요한 시기에 미술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동안 조선 후기 미술과 견주면 조선 전기 미술의 면모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 견줘 현존 작품 수가 적으며, 주요 작품 가운데 다수가 나라 밖에 있어 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