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평창 하리 유적에서 비파형동검 출토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 바로 펴진 주검 함께 확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 발굴조사 중인 평창군 하리 건물 신축터 내 유적에서 비파형동검과 주검을 바로 펴서 묻힌 사람의 인골이 함께 확인되었다.

*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청동기시대의 무기 혹은 제기(祭器)로 검신의 형태가 비파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

이번 발굴조사는 개인집 신축터에 대한 소규모 발굴조사(국비 지원), 2013년 입회조사를 통해 토기 조각, 마제석검편 등의 유물이 수습되어 청동기시대 무덤유적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706의 사업터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가 추진되었다.


    

 



조사결과 판석으로 만든 청동기시대 석관묘 14기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9기에서 뭍힌 사람의 매장부가 확인되었다. 특히 2호 무덤은 장축이 2.04m의 대형 석관묘로, 형식과 크기가 주변의 다른 무덤들과 분명한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출토유물 또한 지배층의 껴뭍거리(부장품)로 알려진 비파형동검이 반출되는 등 뭍힌 사람이 당시 이 지역사회의 유력자였음을 추측하게 한다.

 

비파형동검은 석관에서 출토되었는데, 동검을 구부려 부러뜨리는 방식으로 묻었다. 동검의 크기는 전체길이 26.3, 최대폭 3.8로 전형적인 비파형동검으로부터 점차 퇴화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비파형동검에서 세형동검으로 변화해가는 과도기적 양상이다. 주변의 다른 석관묘에서 출토된 발형토기, 마제석검, 관옥 등의 유물들과 종합해 보면 동검을 비롯한 유적의 연대는 청동기시대 중기로 보인다.

또한 2호 무덤은 뭍힌 사람의 인골이 비파형동검과 함께 출토되어 주목된다. 이는 지금껏 유례가 없는 것으로, 이번 발굴조사의 성과는 청동기시대 시신의 묻는 방법과 장례풍습 따위 선사시대 무덤연구에 필요한 중요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유구와 출토유물에 대한 고고학적인 검토를 통해 강원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양상을 파악하는 한편 고인골학과의 연계를 통해 묻힌 사람에 대한 의학적 검토를 병행할 것이며, 3차원 입체(3D)영상 기록을 통해 유구와 유물에 대한 디지털 자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오는 914시에 열리는 평창 하리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발굴 현장: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하리 240-4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