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차별ㆍ소외를 넘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 노래하다

국립극장, 음악극 <다정히 세상을 누리면>
‘홍경래의 난’ 소재로 돌아보는 차별과 불평등의 역사
소리꾼 정보권, 뮤지컬배우 김대현·도희원 등 참여, 국악과 양악의 조화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오는 9월 4일(목)부터 9월 7일(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음악극 <다정히 세상을 누리면>을 초연한다. 조선시대 홍경래의 난을 배경으로 한 창작극으로 노비의 딸, 말을 못 하는 소년, 이름 없는 개의 시선을 통해 차별과 불평등이 일상이던 시대를 그린다. 한글 자막, 음성 해설, 수어 통역 등 접근성 서비스가 어우러지는 무장애(배리어프리, Barrier-free) 공연이다.

 

<다정히 세상을 누리면>은 이름 없는 개가 해설자로 등장해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액자식 구성을 따른다. 개의 회상 속에는 딸에게 더 나은 삶을 물려주고자 반란군에게 가담한 노비 ‘먹쇠’, 억압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자 하는 ‘누리’, 말하지 못해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소년’이 등장한다. 작품은 이들의 이야기를 오랫동안 고착화한 우리 사회의 차별을 되짚고, 억압받는 삶을 헤쳐 나가는 인물들의 고민과 연대를 그려낸다.

 

 

‘먹쇠’는 “우리 이제는 어떻게 살지, 우리가 선택해서 살자”라며 자신에게 허락되지 않았던 삶을 향한 의지를 드러낸다. ‘누리’는 힘겨운 삶 속에서도 따돌림당하는 개와 말을 하지 못하는 소년에게 따뜻한 손을 내밀며, 작은 연대를 통해 변화의 가능성을 만들어간다. 그러나 신분제의 벽뿐만 아니라 이들이 극복해야 할 차별과 배제의 문제는 반란군 내부에서도 끊임없이 불거진다. 작품은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에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차별과 소외의 문제를 환기한다.

 

연출은 ‘공연배달서비스 간다’ 대표이자 <그때도 오늘>, <꽃, 별이지나>, <완벽한 타인> 등 다수 작품을 연출한 민준호가 맡았다. 극본은 민준호와 여러 차례 호흡을 맞춰온 오인하가 집필했다. 오 작가는 <비클래스>, <러브 스코어> 등을 통해 진정성 있는 이야기와 연대의 메시지를 전해왔다. 음악감독은 국악뮤지컬집단 ‘타루’의 정종임이 맡고, 2025년 국립국악관현악단 상주 작곡가로 선정된 손다혜와 함께 작곡에 참여해 국악과 양악이 어우러지는 섬세한 선율을 선보인다.

 

 

 

 

이번 작품에는 국악ㆍ연극ㆍ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배우들이 참여해 다채로움을 더한다. 소리꾼 정보권은 해설자 역할인 ‘개’ 역을 맡아 직접 작창한 소리로 작품의 깊이를 더한다. ‘누리’ 역은 뮤지컬배우 도희원이, ‘소년’ 역은 드라마ㆍ연극ㆍ뮤지컬 등 여러 방면에서 활동 중인 배우 김대현이 맡는다. 이 밖에도 ‘먹쇠’ 역에 차용학, ‘홍경래’ 역 및 멀티 배역에 박재윤, 멀티 배역에 최지현, 최미령, 김채은이 참여한다.

 

무대는 극 가운데 주요 오브제인 들꽃을 활용해 동화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또한 이름 없는 개는 다양한 형태의 인형(puppet)으로 표현되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무대 연출을 구현한다. 음악극 <다정히 세상을 누리면>은 5명의 수어 통역사가 배우들의 대사와 움직임을 함께 전달하며 관객과 소통한다. 음성안내 수신기를 통해 실시간 음성 해설도 제공된다.

 

예매ㆍ문의 국립극장 누리집(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