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지질유산의 법적 보호를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 보존ㆍ관리하기 위해 올해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등 14개 기관ㆍ개인이 보관 중인 익룡 발자국 화석과 잠자리 화석, 용암수형 등 표본 6,298점 가운데 928점을 국가로 귀속하였다. 이로써 국가유산청이 지난 2022년부터 지금까지 국가로 귀속한 지질유산은 모두 3,883점이 됐다.
* 지질유산 국가귀속 현황(총 3,883점): (’22년) 1,499점, (’23년) 831점, (’24년) 625점, (`25년) 928점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국공립기관과 대학, 사립기관, 개인 소장자가 보유한 화석이나 암석 같은 지질유산 보유현황을 전수조사하고, 이를 ‘지질유산 표본정보서비스’에 등록하는 지질유산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관계 전문가의 현장 실사와 가치평가를 통해 각 지질유산에 대한 국가귀속 여부를 판단하며, 최종 국가귀속된 지질유산은 지정된 보관관리기관에서 보존ㆍ관리되고, 필요시 추후 건립될 국립자연유산원에서 교육·전시 등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국가유산청은 관련 학회,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술적ㆍ교육적 활용도 지원할 예정이다.
* 지질유산 표본정보서비스: 국가유산청 누리집(https://gis-heritage.go.kr/gisExaminSample.do)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표본의 유형, 규격, 산출지, 이력 정보 등을 일반에 순차적으로 공개
올해에는 고 김항묵(전 부산대학교 교수) 씨가 개인 소장자로서 가장 큰 규모인 지질표본 1만여 점을 이관하였는데, 이 가운데 140점이 지질유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으며 30점이 국가귀속되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이관받은 1만여 점 전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구축하고, 국가귀속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지질유산 국가귀속의 효과와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하여 미신고된 매장유산(화석ㆍ암석 등)을 개별 보관 중인 개인ㆍ단체를 대상으로 9월 22일부터 10월 17일까지 30일 동안 제3차 자진신고기간을 운영하며, KTX 영상광고와 서울시청 광장 일원 옥외광고를 통해 대국민 홍보도 진행하고 있다.
* 자진신고기간: [1차] ‘25.1.20.~2.28.(40일간), [2차] ’25.5.26.~6.24.(30일 동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