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4.4℃
  • 구름많음강릉 15.9℃
  • 구름많음서울 15.5℃
  • 박무대전 14.9℃
  • 구름많음대구 14.0℃
  • 구름많음울산 18.2℃
  • 연무광주 16.7℃
  • 흐림부산 20.1℃
  • 맑음고창 18.2℃
  • 맑음제주 22.5℃
  • 구름조금강화 14.7℃
  • 구름조금보은 13.3℃
  • 구름많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19.5℃
  • 구름많음경주시 15.4℃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한국실험음악축제, 국악과 첨단예술의 경계 허물다

UC 버클리를 시작으로 UC 산타크루즈, 스탠퍼드 등 3개교 순회 공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황성운)은 오는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의 세 명문대학 UC 버클리, UC 산타크루즈, 스탠퍼드 대학에서 공동 주최하는 한국실험음악축제에 참가한다. 한국실험음악축제는 국립국악원과 미국 서부 명문 음악연구기관이 함께 펼치는 실험음악 축제로, 한국의 현악기인 가야금과 관악기(피리·생황·대금) 등이 미국 현악 사중주와 최첨단 전자음향 기술, 실시간 컴퓨터 음향처리와 결합하여, 새로운 작곡과 연주 형태의 세계 초연 작품을 선보이는 장이다.

 

국립국악원과 델 솔 현악사중주단이 주축이 되어, UC 산타크루즈, UC 버클리 CNMAT(신음악ㆍ음향 기술센터), 스탠퍼드 대학 CCRMA(컴퓨터음악ㆍ음향 연구센터) 등과의 2년여 협업을 통해 기획되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캠퍼스들에서 진행되는 무료 공개 콘서트 형태로 지역 사회와도 깊이 연계되어 있다.

 

 

축제의 첫 행사는 11월 11일 UC 버클리 음악대학의 헬렌 & 토마스 우 홀에서 열린다. 이날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가야금 연주자들과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델 솔 현악 4중주단이 함께 연주하는 작품들이 소개되며, 둘째 날에는 한국의 관악기 피리, 대금, 생황 연주자와 전자음악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연이 펼쳐진다.

 

이어서 14일과 15일에는 UC 산타크루즈 대학 음악센터 리사이틀홀에서 한국 관악기와 전자음악, 그리고 가야금과 델 솔 현악 4중주단이 함께하는 공연이 각각 2회 이어지고, 마지막 공연은 스텐퍼드 대학 CCRMA 무대에서 막을 내린다.

 

축제의 공동 기획자인 UC 산타크루즈 음악과 매슈 슈마커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를“살아있는 한국음악 전통과 첨단기술이 협력하는 실험적 시도”라며, “세 대학의 작곡가와 국악 연주자들이 협업해 전통의 경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음악 언어를 창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 작곡가 벤 리즈 카슨 교수는 “한국실험음악축제는 ‘서양과 비서양’이라는 전통적인 구분을 허무는 시도”라며 “이는 한국 국립국악원이 보여주는 ‘현대음악의 보편성’이라는 메시지와 맞닿아 있다”라고 평가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창작악단 단원 7명이 초청되어 각 대학의 작곡과 교수 및 박사과정생들과 협업했다. 이들은 지난 2년 동안 워크숍과 온라인 세션을 통해 한국의 선율, 장단, 즉흥 연주 방식 등을 공유하며 서로의 음악 문법을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특히 이번 축제는 국립국악원의 나라 밖 음악 전문가 초청 프로그램인 ‘국제국악연수’사업이 10년 넘게 이어온 국제 교류의 결실로 평가된다. 2015년부터 2025년까지 국제국악연수에 참가했던 전 세계 작곡가 가운데 8명이 현재 UC 버클리와 UC 산타크루즈의 교수 및 박사과정생으로 재직 또는 수학 중이며, 이번 축제에 작곡가로 참여해 자신들의 신작을 세계 초연한다. 이들은 국악에서 배운 음계, 장단, 즉흥 개념을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적 언어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국악이 현대음악의 새로운 영감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국립국악원 황성운 원장 직무대리는 “이번 한국실험음악축제는 한국과 미국의 음악적 경계를 허물고, 전통과 현대, 기술과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만남”이라며, 이를 계기로“양국의 문화교류가 한층 심화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