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524. 분청사기의 상감기법, 덤벙기법, 투각기법 이야기

1524. 분청사기의 상감기법, 덤벙기법, 투각기법 이야기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분청사기는 백자와 청자에 백토로 칠해 다시 구워 낸 것으로, 회청색 또는 회황색을 띠는 도자기입니다. 이 분청사기를 만드는 기법은 가장 흔한 상감기법(象嵌技法)을 비롯해서 투각기법(透刻技法), 덤벙기법, 인화기법(印畵技法), 박지기법(剝地技法), 철화기법(鐵畵技法), 귀얄기법, 조화기법(造花技法) 따위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 상감기법은 표면을 선이나 면으로 판 후 백토나 자토(裏土, 붉은 흙)를 집어넣어 무늬를 나타낸 것입니다. 또 투각기법은 도자기를 이중으로 만들어 안과 밖으로 붙인 다음 바깥부분을 무늬에 맞게 구멍을 내어 안쪽의 도자기를 볼 수 있게 만드는 기법을 말합니다. 그리고 덤벙기법은 백토물에 담갔다가 꺼내는 것이지요. 여기서 “덤벙”이란 말은 “크고 무거운 물건이 물속으로 떨어져 들어가는 소리” 곧 의성어인데 재미있는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