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758. 죽어서도 천 년을 떠도는 소리꾼, 구음 시나위

1758. 죽어서도 천 년을 떠도는 소리꾼, 구음 시나위

“사람 하나 찾아 평생을 떠돌다가 / 죽어서도 천년을 떠도는 소리꾼 / 그 혼이 뜯어내는 구음 시나위에 / 별들도 눈물을 글썽인다.”

이 시는 김영호 시인의 <미루나무의 구음 시나위> 일부입니다. 우리 음악엔 ”구음 시나위“라는 것이 있습니다. “구음”은 원래 거문고·가야금·피리·대금·해금 등 악기에서 울려나오는 특징적인 음을 악기 소리에 가깝도록 흉내 낸 소리를 말합니다. 그러나 구음 시나위가 발달한 전남 진도지역에서는 악기 소리를 그대로 흉내 내기보다는 ‘아-어-흐-우’ 등의 구음을 사용함으로써 악기와의 다름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 시나위라고 불릴 만큼 독특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음악성이 매우 뛰어나 오히려 악기를 이끈다는 느낌을 들게 합니다. 특히 진도씻김굿과 살풀이춤의 반주 음악으로서 구음 시나위는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요.

낮은 듯 깊으면서도 구슬프고 구슬프면서도 은근한 신명이 나며 무거운 듯하면서도 가볍고 가벼운듯하면서도 빠릅니다. 또 소리 내어 흐느끼는 듯하면서도 호소하는 듯하며 위로하는 듯하면서도 원망하는 듯한 가락이 거문고와 때론 교교한 달빛 속을 흐르는 대금 소리와 어울려 가슴을 적십니다. 아무에게도 털어낼 수 없는 아픔이 가슴 속에 있을 때 이 구음 시나위를 들어보면 어떨까요?